IP :44.192.94.86
기관회원 로그인 | 개인회원 로그인 | 관리자 | 회원가입
天台 撰, 『法華三昧懺儀』의 구성과 文化史的 意義
차차석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11-40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
이성운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41-78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범패, 그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고찰
윤소희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79-120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조선중후기 불교계의 법화신앙과 의례
오경후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121-148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출토유물로 살펴본 경주 성건동 창고유적
차순철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149-188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불교수행자의 불교상담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CQR-M을 중심으로
손강숙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191-230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인도 전통의 차크라 개념과 6차크라 체계의 확립
심준보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231-256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불교와 진화생물학적 인간 해석에 대한 비교분석
김종용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257-284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사찰음식의 근원적 이해의 키워드로서 풀[草]에 관한 一考 - 사찰음식을 바라보는 선적 관점으로서 풀[草]이 가지는 이미지의 변화 과정에 대한 철학적 논의 -
신지하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285-310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미디어에 나타난 만해상(卍海像)과 그 의미
이성수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311-338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유근자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339-384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불설대보부모은중경』에 나타난 불교 효사상 -용주사본(龍珠寺本)을 중심으로 -
이은주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385-410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근현대(近現代) 유(儒)・불(佛) 효의례(孝儀禮)의 검토(檢討) - 제사(祭祀)・재(齋)의 간소화와 대중화 방안을 중심으로 -
명계환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17집 | pp.411-441 | 2021년 6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