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편의 과채류의 소비형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채류의 구입장소는 수퍼마켓이 46.4%로 가장 많으며 APT지역 거주자가 일반주택지 거주자에 비해 백화점과 수퍼마켓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p〈0.05). 구입 빈도는 주2~3회 가 58%였고 미혼인 조사대상자의 50.0%가 주1회, 확대가족의 형태가 매일 구입하는 비율이 20.0%로 다른 가족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직업이 있는 사람보다 전업주부의 구입이 더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과채류의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의 70.2%는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고 고학력일수록(p〈0.01), 타지역에 비해 APT지역에 거주자들이 보다 고품질을 중요시하였다(p〈0.05). 3. 구입하는 과채류의 형태는 주로 생산된 그대로의 신선한 과채류였으며 최소가공처리 된 신선편의 과채류를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미혼(37.5%)또는 무자녀 가정 (16.7%)이었다(p(0.01). 4.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의 구입경험이 있는 사람은 81.0%로 저연령(20~30대), 고학력일수록 더 많이 구입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구입한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는 적정량의 단순 절단가공형태가 가장 많았다. 5.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의 구입동기는 조리시간 단축과 적정량 구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가격이 비싸거나 비위생적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6.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의 필요성에 대하여서는 92.5%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이를 위해 고려할 사항은 신선도와 위생적 처리, 좋은 외관과 영양소의 보존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신선도 저하와 비싼 가격 등의 문제가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의 생산과 판매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이 원하는 신선편의식품화된 과채류의 가격은 가공전 상태의 110~120%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본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야윈형 (BMI 20 미만), 정상형 (BMI 20∼25), 비만형(BMI 25 이상)을 각각 41, 48, 58명씩 총 147명을 선정하여 체형에 따른 식품 영향 섭취 실태와 식행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일 총 식품 섭취량중 아침과 간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한국인 영향권에 비해 일부 영양소(야윈형은 단백질, 인 정상형은 인, 비만형은 단백질, 인)만 권장량이상을 섭취하였다. 모든 체형에서 대부분의 영양소량이 권장량 이햐로 나타나 여대생의 영양섭취가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영양소의 섭취는 단백질(P<0.01)과 칼슘(P<0.05)으로 단백질은 비만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칼슘은 야윈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2. 모든 체형에서 열량은 영양권장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간식으로부터의 열량섭취는 체형별 창가 나타나 비만형이 간식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량을 섭취하였다.(P<0.05) 3.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과소인식형보다 과대인식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대인식형은 야윈형에서 61.0%, 과소 인식형은 비만형에서 17.2%로 나타났다(P<0.01) 4. 영양소 섭취에 직,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결식, 편식,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하여 자신의 인식 정도와 3일간의 식이섭취 조사에서 밝혀진 문제점을 비교한 결과, 편식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정확하였으나 결식과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여대생은 자신의 식행동과 체형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지 않았고, 영양섭취도 대부분이 권장량 이하였으므로 앞으로 올 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재배한 백복령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은 수분 58%, 회분 1.8%, 지방 0.9%, 단백질 0.6%, 섬유소 0.3%로 나타났으며 재배 장소와 방법, 수확시기, 건조조건에 따라 차이가 난다. 무기성분은 ICP로 측정한 결과 Zn 0.63Mg%, Cu 0.18mg%, Fe 1.56mg%, Mn 1.62mg%, Mg 5.28mg%, Ca 12.59mg%, Na 10.12mg%, K 52.39mg%로 나타나 K, Ca, Na 등의 양이온 무기성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복령 물추출물의 유리당은 glucose만 검출되었고 함량은 1.16㎎%였다. 아미노산은 구성아미노산 13종, 유리아미노산 9종이 확인되었고 함량은 각각 1247.17㎎%, 174.44㎎%였으며, Phe, Iso, Leu, Tyr, His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Silage comkv, suwwn 19). sorghum sudangrass(p. 988) and winter ryeNaton) were cultivated on imperfectly drained paddy field under two different draining methods, subsurface darinage by PVC pipes and open ditsched surface drainage. The crops were harveste
The quality of silages, made from whole crop barley, rye, spring oat, Italian ryeglass, orchardgrass, alfalfa and grass-legume pasture mixtures, were evaluated under two different conservation techniques in baled silage making (BS) and conventional silage
This study was canied out to ddermine optimum areas for various sizes of land coverage of the farm machinery utilization in 1993-1994. A kind of machinery size and work systems were classed as the power tiller of 10HP+man power, the tractor of 35~46HP (tr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azing performance of dairy cattle for winter rye,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oat including of rape in Hwa seong-gun, Kyeonggido, from 1993 to 1994. Each crops were utilized from the stage of 8-leaves to l
The yield performance and nutrient quality of barley for pellets making from whole crop material were discussed during 1993-1994. Barley (cv. Olbori) was grown on paddy land after rice cutivation and was harvested at early stage of physiological maturity.
A simple conservation technique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roage materials was discussed in Suwon and in Muan county during 1991 - 1992. Eleven species of forage crops and pasture grasses(maize. sorghum, pearl millet, barnyardgrass, rye, barley, spr
가공식품으로 많이 애용하는 마늘 장아찌가 생마늘과 같이 위점막 손상을 방비하는지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이들의 보호기전에 SH기가 관여하는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HCl-ethanol(약 60% ethanol에 15mM HCl을 함유)을 공복상태의 흰쥐에 투여하였더니 검고 붉은 선상의 괴사와 출혈을 보였다. 그러나 생마늘과 3주 된 마늘 장아찌을 투여한 군에서는 괴사가 방지되었고, 효과는 용량에 비례하였다. 3주 경과된 마늘 장아찌가 생마늘과의 효과를 비교해 볼 때 감소하였으나 유기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근지 5주 된 마늘장아찌를 투여한 군에서도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나 3주된 마늘 장아찌와 비교해 볼 때 원액과 1:10 희석액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1 : 100희석액에서는 작용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allyl disulfide 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SH차단계인 N-ethylmaleimide와 indomethacin를 각각 투여한 군에서는 위점막 보호효과가 감소하였다. Diallyl disulflde 함량은 생마늘에서 1.40㎎%이었던 것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3주에는 0.96㎎%, 5주에는 0.49㎎%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마늘 장아찌도 횐쥐의 위점막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으며 그 기전은 마늘의 SH기가 관여하는 듯하였다.
닭고기를 이용하여 소시지류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돼지고기와 닭고기에 인산함유 소금과 양념류를 첨가하여 cold cut을 제조하고 탈기포장하여 저장기간동안의 품질을 비교 연구하였다. 돈육 cold cut이 계육 cold cut보다 미생물의 증식이 더 빠르고 산가가 더 크게 감소하였으나 TBA가는 계육 cold cut의 증가폭이 더 컸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springeness, cohesiveness는 두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돈육 cold cut과 계육 cold cut의 관능검사에서는 색, 외관, 냄새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조직감, 풍미, 전체적인 수응도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닭고기를 이용한 소시지류의 제조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수분장애조건에서 오차드그라스(cv. Potomac) 종자의 발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 6,000(PEG) 및 생장조절제(GA, Kinetin, NAA)를 종자에 전처리하여 0 bar와 -5 bar의 두 수분조건하에서 17일간 발아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처리를 하지 않은 종자는 수분 삼투압 -5bar 조건에서 대조구(0 bar)에 비해 총 발아율은 감소되었으며 평균발아 소요일수와 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