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31

        178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amage cases by debris flow and each investigation techniques used by the institutes associated with debris flow were analysed. It was concluded that considering urban debris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is essential to establish reasonable debris-flow damage investigation technique.
        178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organic rye to provide dairy farmers with safe organic feeds. Also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mount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verage 760~786 kg/ha) than i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353 kg/ha) (p<0.05).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s and the single-sowing of rye tended to improve by increasing the level of nitrous fertilization rather than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crude protein on the rye according to the mixed-sowing of legu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ture (average 8.29~9.90%) than in the single (average 4.93%) (p<0.05). The comparison by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for the rye in 50 kg N/ha than in fertilization treatments (p<0.05).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mount in the single-sowing of rye was average 46.86% and has lower than average 49.96~50.12% of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especially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with 54.55% in 150 kg N/ha for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p<0.05). The breeding ability of annual organic livestocks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feed value of ry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3.72~4.12 heads)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2.26 heads) (p<0.05). By summarizing above results, the mixed-sowing of legume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feed value of rye for increasing organic livestock breeding ability in southern area of Gyeongbuk regions, and the study for identifying the appropriate fertiliza-tion level using livestock excretions is further necessary.
        178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hanges of time series and spatial pattern s of tourism climatic conditions using Korea Tourism Climate Index (KTCI) of South Korea. Spatial patterns of KTCI represent climate characteristics in all seasons of South Korea,. KTCI also shows which tourism climate condition inappropriately (appropriately) shows the changes of tourism activity in the summer (winter) season in response to the global warming. KTCI is therefore expected to be a more suitable index than TCI (Tourism Climate Index) when it comes to the incorporation of the global warming into the index. KTCI can also be used for improving the future prediction about tourism climate condition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1784.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은 TGF-β superfamily의 구성원 중에 하나이며, 이 들은 원래 뼈 형성을 유도하는 능력에 의해 발견되었지만, 곧 세포분열, 세포자살, 세포이동 그리고 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매우 다기능적인 골 형성 단백질은 포유동물의 reproduction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알려진 바가 적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골 형성 단백질이 착상 전 oviductal environmen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Estrus 시기 생쥐의 oviduct cDNA를 통해 RT-PCR한 결과, BMP1, 2, 3, 4, 5, 6, 7, 8, 10, 15 mRNA와 BMP receptor인 BMPR1A, BMPR1B, BMPR2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BMP Inhibitor인 Noggin, Follistatin, Chordin mRNA의 발현 또한 확인하였다. 이들 중 BMP2, 3, 7, 15 mRNA의 level이 BMP5, 6, 10 mRNA의 level보다 많은 발현량을 보였다. BMP receptor 중에서는 BMPR2 mRNA의 level이 제일 높았다. BMP Inhibitor 중에서는 Chordin mRNA의 발현량이 제일 많았다. 이들 가운데 가장 높은 발현 수준을 보인 BMP2의 단백질의 localization은 Immunohistochemistry를 통해 확인하였다. BMP receptor와 BMP Inhibitor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에 있지만, 생식주기별 생쥐의 oviduct 내에서 BMP2 단백질의 발현수준은 proestrous, metestrous, diestrous보다 estrous stage에서 가장 강한 발현을 보였다. 이는 BMP2가 steroidogenesis에 영향을 주어 oviductal cell proliferation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178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Arisaema Rhizome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aqueous extracts. Arisaema Rhizome (Chunnamsong in Kor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lk remedy plants used in Asia. In the study, a 28-day rat oral gavag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xtracts from Arisaema Rhizome at dose of 1,250, 2,500 and 5,000 ㎎/㎏/day. The following endpoints were evaluated: clinical observations, body weight,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endpoints, it was estimated that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for male rats and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for female rats are 5000 ㎎/㎏/day of the water-extracts from Arisaema Rhizome.
        178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 백합‘Siberia’의 수확 후 수명 연장과 품질 향상을 위해 1-MCP의 효과적인 처리 농도, 시간 및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개화 단계는 모든 처리별 5°C처리가 개화지연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개화 단계가 지연되었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엽록소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은 대조구가 5일부터 감소되는 반면 5°C 조건에서 1.5mg·L-1 1-MCP 전처리를 1시간동안 하였을 때 11일까지 증가되었다. 수분흡수량에서는 대조구가 실험 종료일까지 꾸준하게 감소하는 반면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가장 높은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수분균형은 무처리시 7일부터 (-)값으로 급격히 떨어지는데 비해 대부분의 1-MCP 처리구는 9일부터 서서히 (-)값으로 떨어지고,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 1시간 처리구는 11일까지 유일하게 (+)값을 유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전처리별 조사 초기 색상 변화에서는 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녹색값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으며, 절화수명 및 절화 품질에 있어서는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19일로 가장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박테리아 발생량은 5°C조건에서 1.5와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에틸렌 발생량 및 호흡률은 대조구보다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도관의 미생물 발생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수확 후 절화 백합의 선도유지 및 품질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유통 과정 중에 상용적인 기술로 사용 가능함을 제시 할 수 있었다.
        178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60년대 이후 간척한 농경지 면적은 135,100 ha나 되지만 간척지는 토성이 불량하고, 염분농도가 높아 작물생육에 매우 부적합하여 작물 수량의 안정적 확보와 다양한 작물 재배를 위해서는 토양 개량과 그에 알맞은 재배기술 및 내염성 품종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간척지는 염분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다른 작물보다 내염성이 있는 벼를 재배하여 간척지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소비 감소로 인한 쌀 재고량이 급증하여 벼 대신에 밭작물 재배나 사료 작물 재배를 통하여 안정적인 농가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서산간척지에 재배 가능한 내염성 콩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 내염성 콩을 선발하기 위해 야생콩 PI483463(내염성) x Hutcheson(감수성) 유래 52개의 내염성 RIL, 65개의 감수성 RIL, S-100(내염성) x PI483463(내염성) 유래 106개의 RIL, Hutcheson과 우람콩(감수성)으로 여교배하여 DNA 마커로 선발된 94개의 내염성 BC1F3계통을 난괴법 2반복으로 재식하였다. 모든 계통은 무염포와 저염포(약 0.2%)에 심었다. 재식밀도는 70 x 15cm, 1주 2본으로 하였으며, 파종은 2015년 5월 8-9일간에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콩 생육을 살펴보면 무염포나 저염포에서 콩의 발아는 정상적으로 나타났으나, 저염포에서 감수성 콩 계통의 잎이 황변하고 하위옆의 경우 염해에 의해 타들어 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내염성 계통들은 염해의 증상이 없었으나 무염포 보다는 전체적으로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아 후부터 생육 전반에 걸쳐 내염성 계통과 감수성 계통이 저염 조건에서 농업적 형질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것이며 최종적으로 간척지중 저염지대에 재배 가능한 콩을 선발할 것이다.
        178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urban atmospheric environment map in Busan was made and it consis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element map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alysis map. The atmospheric environment element map covered the topography, the urban climate, the air pollutant emission, ozone and PM10 concentrations in Busan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alysis map include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the wind flow by using WRF meteorological numerical simulation. The meteorological elements from 2007 to 2011 in Busan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in the center of Busan and Buk-gu along to the Nakdong river was the temperature high. To analyze the air flow of Busan 3 clusters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were extracted with the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detailed wind field of each cluster showed that the weak ventilation could be happened locally at the specific meteorological condition.
        178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 examines the efficiency and the improvement measurement of Oilseed crops (Sesame and Perilla).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s of oilseed industry. In the second stag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iency and super-efficiency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produce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1) Changes in annual wholesale price of Sesame and Perilla; (2) An efficiency and ranking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producers; (3) The solutions and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inefficient producers
        179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Oilseed crops (Sesame and Perilla).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sesame and perilla industry. In the second stage,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esame and perill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 (1) Changes in annual wholesale price of Sesame and Perilla ; (2)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Sesame and perilla) ; (3) Feature comparison of productivity of oilseed crops.
        179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해양안전에 대한 높은 관심과 IC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선박에 다양한 디지털 장비들을 도입하는 전자항법체계인 e-Navigation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e-Navigation은 해양안전뿐만 아니라, 해양정보 서비스에서 새로운 ICT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과 관련하여 IHO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범용 수로데이터모델 S-100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전자해도 및 해상정 보의 융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Shore 기반의 해상정보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Shore 기반 해상정보 서비 스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전자해도와 날씨, 조류, AIS 정보 등의 센서정보, 그리고 육상지도 정보와의 융합 처리 및 웹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 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의 웹 서비스는 스마트 폰 또는 웹 패드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간단한 WebApp 또는 App을 이용하여 전자해도 및 다 양한 해상정보 서비스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끝으로, 제안된 플랫폼은 기존의 S-57 전자해도와 더불어 S-101 표준을 지원할 수 있 으며, 웹 서비스 과정에서의 표준과 관련해서는 ISO 19100 시리즈 및 OGC의 공간정보 웹 서비스 표준을 지원한다.
        179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has been estimated based on the local gauge correction (LGC) with a fixed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which is not optimized in taking effective radius into account depending on the radar error. We developed an algorithm, improved local gauge correction (ILGC) which eliminates outlier in radar rainrate errors and optimize distance power for IDW. ILGC was statistically examined the hourly cumulated precipitation from weather for the heavy rain events. Adjusted radar rainfall from ILGC is improved to 50% compared with unadjusted radar rainfall. The accuracy of ILGC is higher to 7% than that of LGC, which resulted from a positive effect of the optimal algorithm on the adjustment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from weather radar.
        179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pth of low permeable layer in Jeju Island was analyzed using the geologic columnar section data. The highest low permeable layer was found in center of Mt. Halla and the deepest area was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study area, Seongsan watershed,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where the low permeable layer showing deep in a northward direc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MODFLOW modeling was performed for groundwater flow of Seongsan watershed. The boundary of Seongsan watershed was set up as a no-flow and the modeling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0.26~0.62 m compared to the observed groundwater level. Meanwhile, MODFLOW model results considering low permeable layer showed -0.26~0.36 m differences compared to groundwater level and indicated more accurate than no-flow method result. Therefore, to interpret the groundwater flow over Seongsan watershe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ncluding the low permeable layer distribution below the basalt layer is needed.
        179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의료용 초음파 볼륨 데이터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 한다. 초음파 영상은 잡음이 심하여 필터링이 필요하다. 기존의 2차원 필터링은 인접한 슬라이 스 간 정보를 무시하고 기존의 3차원 필터링은 속도가 느리거나 잡음 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필 터를 적용하였고 또한 초음파 데이터의 샘플링 특성을 고려치 않아 균등하게 필터링 하지 않았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잡음제거에 효과적인 양방향 필터를 병렬로 빠르게 처리하고 필터 영 역에 따라 윈도우 크기를 달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공간 필터의 합산영역 테이블을 이용하여 병렬로 빠르게 필터링하고 윈도우 크기는 필터 영역에 따라 비례적으로 결정한다. 실험은 평균 필터와 양방향 필터, 양방향 적응 필터를 적용한 초음파 볼륨 렌더링 영상에서 잡음 제거와 원 본 손실 정도를 비교한다. 이렇게 하여 양방향 필터링을 빠르게 수행하면서 기존 보다 균등하 게 필터링하여 잡음을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179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seismic retrofit of buildings using damper of apartment buildings, it was found that using genetic algorithm is efficient for seismic retrofit compare to existing way of retrofit. Therefore using genetic is recommended when seismic retrofit applied.
        180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able production of green manure crop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in South Korea. Most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hairy vetch cultivated in South Korea must be passed cold winter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zones on green manure crops under paddy field in South Korea using on minimum temperature and drainage class. In order to build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hairy vetch, triticale, barley, rye, and clover as green manure crop were selected and mea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drainage class in paddy field were considered as limiting factor for stable growth of green manure crop. And cultivation zone on green manure crop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vailability area’ and ‘Safety area’. Low limit temperature on green manure crops in this study was the following. Temperature on ‘Availability area’ was –10℃, –8℃, –6℃, and –20℃ for hairy vetch (including triticale), barley, clover, and rye respectively. And temperature on ‘Safety area’ was lower –2℃ compared to that of ‘Availability area’ exception rye which was the same degree. Rye was expected to safely cultivated the almost whole paddy field (99.71%) of South Korea. ‘Safety area’ among the whole paddy field for hairy vetch, barley, and clover were 86.58, 53.06, and 15.76%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green manure crops re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he policy and agricultural management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using green manure crops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