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201.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ondrodite form the Wondong mine, Korea, which is the first occurrence from the southern Korea, has been studied for its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It occurs in close association with penninite, phlogopite, diopside and garnet within the magnetite ore bodies, which are debeloped along the contact of the Hwajeol Formation and rhyolite. Two kinds of chondrodites are recognized by their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the high birefringent untwinned one and the low birefringent twinned one. The former has slightly higher Mn content than the latter. Twinning in chondrodite has been formed in close relation to substitution Mg (Fe, Mn) in the humite solid solution, as evidenced by the chemical variation across the twin lamallae.
        202.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에서의 고령토의 다양한 공업적 이용추세는 다량의 고품위 고령토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동-산청지역의 고령토 광석은 저품위가 대부분인 반면 그 양은 막대하다. 고령토의 저품위 현상은 산화철광물과 함철 규산염광물등 고령토 이외의 광물들이 고령토 광석에 다량 함유된데 기여한다. 그릴제거, 자력분리 및 디티오나이트에 의한 침출등 종래의 정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고령토 정광에는 아직도 상당량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정광의 품위가 높지 않다. 고령토 광석으로부터 분리해낸 순수한 할로이사이트는 평균 Fe2O3 0.4%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철분은 할로이사이트내에 구조철로 함유되어 있다. 고령토에 함유되어 있는 함철광물로는 산화광물(적철석, 자철석, 침철석, 티탄철석)과 규산염광물(감섬석,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녹니석)이 있다. 종래의 정제방법으로는 대부분의 산화철광물들은 제거 되었지만 버미큘라이트(Fe2O3 0.9%)와 일라이트 (Fe2O3 1.2%)는 고령토 정광에 계속 남아 있어서 저품위 정광이 되고 있다. 버미큘라이트와 일라이트의 함유가 주로 고령토 정광의 저품위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고품위 고령토 정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들 두 광물을 제거해야 한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