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2

        134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the material performance of slump valu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hich was made by recycled sand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BFSP). The main variables are replacement ratio of BFSP.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is needed in long-term strength development and the compensation of slump value to the replacement ratio of BFSP.
        134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avities in Specimens were find using GPR equipment. Results of exploration deadline for plain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asphalt, gravel, depending on the type, asphalt pavement was most clearly exploration. Developed GPRiPP can represent a good cavitation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with the background removal.
        134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분무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다공성 PMMA 입자 내부에 TiO2 나노입자가 고르게 함침된 유/무기 복합분체를 제조하여, TiO2의 은폐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공성 구조체로 피지를 흡유하여 지속성 을 증대시키는 메이크업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끓는점이 다른 두 가지 공용매(디클로 로메탄 및 헥산올)의 비율과 고분자의 농도 조절을 통해 입자크기와 기공크기를 제어할 수 있었으며, TiO2 나노 입자를 제조된 시료의 전체 무게 대비 74.6 wt%까지 함침 시킬 수 있었다. SEM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복합분 체의 다공성 구조를 확인하였고, 절단면 이미지를 통하여 내부에 TiO2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함침 되어 있는 것 을 관찰하였다. EDX 매핑으로 Ti 원소가 복합분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orosimetry 분석으로 기공사이즈 및 공극률을 측정하였으며, TiO2 나노입자를 함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0% 이상의 공극률을 유지하여 흡유량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iO2 나노입자가 PMMA입자의 내부에 잘 분산되어 있어서 가시광선의 반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는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344.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토조에 설치한 관의 종류 및 매립 깊이, 공동 깊이 및 포장 조건 등에 대한 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를 진 행하여 매립관의 종류 및 공동 탐사 능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아스팔트 포장 및 비포장의 경우, 콘크리트 포장 및 철근 콘크리트 포장 대 비 매립관의 탐사가 용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공기 공동의 경우, 매립 깊이 1 m에서는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346.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solated 105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home-made kimchi and breast milk-fed Korean infant fece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rains of LAB including bile and acid tolerances, cholesterol assimilation and adhesion activity. Among the isolates of LAB, 54 isolate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14 strains), L. brevis (12 strains), L. sakei (9 strains), L. acidophilus (3 strains), L. casei (1 strain), and L. fermentum (1 strain). Acid tolerances under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for 2 h at 37°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Lactobacillus species.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 plantarum strains exhibited high tolerance in acid and bile.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exhibited high cholesterol assimilation activity an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olerance to 0.3% bile acid than other Lactobacillus strains (p<0.05). Based on these results, we selected the best strain, named NS1 (L. acidophilus) as a potential probiotic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manufacturing of dairy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134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athe scrap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or this purpose, the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lathe scrap were made for 2mm width and 40mm length of lathe scrap, and the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splitting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estim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splitting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plain mortar but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were only a slightly increased.
        134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flexural strength of lathe scrap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or this purpose, the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lathe scrap were repeatedly made 5 times for water-binder ratio of 30%, 2mm width and 40mm length of lathe scrap, and then th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estim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slightly larger than plain mortar but did not matter much.
        134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 far, vario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published on recycled aggregates. But the structural use of recycled aggregates were very limited. To use a recycled coarse aggregate as structural materials,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were proceed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135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dictability of the ground cavitation by GPR equipment. Water and sewage pipeline buried in sand and soil tanks and to prepare a specimen for exploration of water and air cavities. The sand for a dielectric constant 8, the soil using 6.5 is preferred to extract data for the asphalt pavement condition. After the GPR detections, the cavity in sand tank rather than soil tank is to obtain more precise data.
        135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성의 손으로부터 분리한 두 유산균의 co-culture에 의한 향장 활성에 대한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를 함께 배양하는 것은 최초이며, co-culture를 이용한 유산균은 tyrosinase 저해율이 L. paracasei와 L. rhamnosus에 비해 20.6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culture 유산균은 melanin 생성 저해율에서도 63.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주름개선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생성량이 3726.3 pg/mL로 확인되었다. 반면 단일 유산균 배양시 얻어지는 MMP-1 생성량은 각각 L. rhamnosus가 13613.5 pg/mL, L. paracasei는 13012.0 pg/mL이 확인되었다. Collage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co-culture 유산균이 380.7 ng/mL로 323.4 ng/mL의 양이 확인된 L. paracasei와 304.1 ng/mL의 양이 확인된 L. rhamnosus보다 많은 양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유산균의 co-culture가 향장 활성 증진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향장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유산균 배양을 통한 결과보다 co-culture 유산균의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35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기둥이 취약한 골조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둥을 아라미드 시트로 횡구속하여 취성적인 특성을 개선하였으며, S형 스트럿을 가지는 강재 댐퍼를 설치하여 에너지 소산 능력을 증진시켰다. 비보강 실험체 및 보강 실험체를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수평하중 저항 능력을 평가하였다. 파괴 양상, 강도, 강성 저하 및 에너지 소산 능력 등에서 보강 실험체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으로부터, 대상 실험체의 이력 거동을 예측 및 평가하였다.
        1353.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지에 자생하는 참취와 밭에서 재배하는 참취의 품질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참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높았고, 폴리페놀 함량은 야생 및 재배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각각 35.59, 26.83 mg/g으로 야생 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활성이 증가했고 블랜칭 건조가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야생 참취는 생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재배 참취는 블랜칭 건조에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pH 1.2에서는 생채와 재배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재배보다 생채 참취 추출물이 더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 결과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야생 참취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증가함을 보였고 블랜칭 건조가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야생 참취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재배 참취의 추출물에 비해 야생 참취의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생채 및 블랜칭 건조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자연건조 참취 추출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참취는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노화 예방에 우수한 식품이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54.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MBT), widely spread in Europe, is a process combined with mechanical separation and biological treatment. This i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accomplish WtE (Waste-to-Energy) and landfill diversion. Bio-drying, aimed to produce high quality SRF, focused on removing moisture of waste through generated heat when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 is partially degraded by micro-organism. However, most of SRF production facilities in Korea consist of mechanical treatment. In those, 40% of input waste have been generated as residue disposed of in landfill. As a resul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residue from target facilities, composition of food wastes, papers and plastics ranged 6.7 ~ 18.3%, 9.1 ~ 17.3%, and 5.8 ~ 12.2%,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residue was about 43%, and low heating value was analyzed a range of 1,300 up to 1,900 kcal/kg. Results showed that combustible material having potential to produce SRF is discarded and the amount of biodegradable material such as food waste is still large. Therefore, we assumed it may cause pollution in terms of landfill gas emission and high concentrated leachate generation. In this study, recent trends of Bio-drying is discussed as the alternative technology to solve problems at SRF production facilities in South Korea.
        135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생벼나 잡초벼와 같은 유전자원은 각 지역의 환경조건에 오랜 기간 동안 적응하며 집단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저항성이나 불량한 환경에 대한 내성 등 유용한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 유전자원에서 고수량성 및 미량원소의 함량 조절 등에 관여하는 유용 유전자를 선별적으로 재배벼에 이전시키는 육종방법을 개발하고 우량 품종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들 목적을 위하여 재배벼의 유전적 배경에 야생 유전자원의 염색체 단편이 이입된 근동질 계통을 육성, 이용하여 양적형질유전자의 고밀도 지도를 작성하고 관여 유전자 특성을 분석 중에 있다. 야생벼와 재배벼 (화성벼/O.rufipogon) 교잡 유래 이입계통을 이용하여 출수기 조절 유전자, gw9 를 탐지하였고 이들 유전자좌에서 유력한 후보 유전자 3 종, male sterility 5 (MS5), ascorbate peroxidase(AP), glutelin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이들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화성벼와 O. rufipogon 사이에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하였다. 야생벼인 Oryza grandiglumis 에서 유래된 종자중 관여 유전자 qGW2 의 근동질계통을 이용하여 벼의 아연함량 조절 유전자, OsPCR1 (plant cadmium resistance 1)과 qGW2 유전자가 서로 상호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qGW2 근동질계통의 종자 발달시 OsPCR1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구에서 보다 증가하였고, OsPCR1 형질전환체에서 종자중과 아연함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 OsPCR-1 의 염기서열을 다양한 벼 품종들간에 비교한 결과, 자포니카형 품종들과 인디카형 또는 야생벼 (O. rufipogon, O. glaberrima, O. grandiglumis) 간에 염기서열 변이가 존재하여 아미노산 서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직파재배에서 중요한 중배축 신장성에 관한 유전자 고밀도지도 작성을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탐색된 QTL (qMel-1, qMel-3) 을 잡초벼/일품벼 조합계통에서 분석한 결과, qMel-1 과 qMel-3 은 각각 염색체 1번의 RM8260과 염색체 3번 RM426 에서 탐지되었고, 중배축 신장성 관여 유전자의 분리를 위하여 Nipponbare/Kasalath 교배조합의 근동질계통을 이용하여 초고밀도 지도를 작성하였다.
        135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세대 DNA 염기서열 분석장비 (NGS)의 발달은 유전체 대상의 DNA 정보 생산에 필요한 가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고, 그 결과로 많은 식물들의 신규 유전체 정보가 생산 되고 있다. 또한 transcriptome, non-coding RNAs, methylome 등의 NGS기반의 데이터들은 유전체 sequence내에 유전자의 위치탐색과 유전자간 또는 유전자와 regulatory element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유전체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돕고 있다. 벼, 콩, 옥수수, 토마토, 고추, 배추 등 주요 농업작물 표준유전체 정보의 완성은 유전체 정보를 분자육종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NGS기술 (resequencing 또는 Genotype-by-Sequencing)을 통한 다양한 유전자원대상의 유전변이 정보의 생산은 유전체 정보를 육종에 적극 활용하여 중요 농업 형질과 연관된 유전적 변이를 발견하고 이를 작물개량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유전체기반 분자육종시스템은 분자육종의 현장에서 효율적이고,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3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수행한다. 1) 각기 산재되어있는 다양한 유전체정보 (유전체, 전사체, SNP정보, 분자마커 정보, 표현형 정보 등)를 수집하여 통합 유전체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시스템 내에서 유전체, 전사체 정보를 정보를 비교, 분석이 가능한 형태로 운영하며 상호 연결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한다. 2) 또한 최근 들어 농업에 적극 활용되는 NGS기반의 SNP genotyping에 필요한 효율적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여, GBS 또는 resequencing 기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genetic map구축, QTL동정, association mapping, 분자마커 개발 등에 효율성을 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3) 유전체정보와 변이정보를 연동하여 visualization 할 수 있는 브라우저와 분자마커 개발에 필요한 도구의 개발이다. 통합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효율적 genotyping 시스템, 통합브라우저 등의 구축은 데이터의 생산과 분석에 표준화된 지표, 용이성을 제공하여 고도화된 유전체 정보를 분자마커 개발, QTL 탐지, 후보 유전자 동정 등 분자육종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서 분자육종의 선진화와 종자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135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의 다목적댐 운영은 기존의 홍수조절, 용수공급, 수력발전과 같은 수량뿐만이 아니라 수질, 생태환경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암조절지댐의 저온 심층수 방류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온을 조사하고, 수온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조절지댐, 하류하천, 순천만 지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수온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3차원 수치모형(EFDC)을 활용하여 방류량과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들을 고려하여 하류하천 및 순천만에서의 수온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 결과 댐의 저온 방류수 영향은 대체적으로 4월~9월 기간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댐 저온수 방류 영향이 방류시기, 방류수온, 방류량, 기상, 조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복잡한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댐의 저온수 방류로 인한 하류하천 및 연안지역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댐 운영 개선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35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kin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stems and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evaluated by theextracts obtained from various extraction processes such as using hot water at 100oC, 70% ethanol at 85oC, and 70% etha-nol with ultrasonication at 60oC The 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95.62% of the highest cell viability in addition of0.3㎎/㎖ of the extracts into the normal human fibroblast cell, CCD-986sk. For antioxidant activities, the extracts using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 80.27%, followed by 75.88% and 62.44% for theextracts using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The ultrasonicated extract also showed the highes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 25.32%, compared to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based method at 22.01% and 12.88%, respectively. MMP-1production was most effectively decreased down to 2908.1pg/㎖ with ultrasonicated extract while 6640.8pg/㎖ with waterextract and 3609.3pg/㎖ with ethanol extract, in addition of 0.3㎎/㎖. Collagen production was increased up to 154.7ng/㎖in addition of ultrasonicated extract, and followed by 121.4ng/㎖ and 31.2ng/㎖ for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 should have skin anti-wrinkling activities and can be improvedby the ultrasonication process that high energy input elute more amounts of bioactive substances eluting more amounts ofbioactive substances from the high energy input of ultrasonication.
        136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as natural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re 53.41%, 25.00%, 7.95%and 13.64%. And the calories of Wasabi leaves was 385.23Kcal. Total dietary fiber was 52.27%. The K was the largestmineral followed by Ca, P, Mg which means Wasabi leaves is alkali material. The contents of sinigrin and allyisothiocyanatein the wasabi leaves were 69.2㎎/g and 241.0㎎/g,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70%ethanolic extract were 19.44±0.23 and 19.33±1.17㎎ GAE/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s content of the hot waterextract and the 70% ethanol extract were 7.69±0.71 and 19.25±1.41㎎ QE/g, respectively. The general nutrients and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