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hays, which had been harvested in different seasons and grown with different levels of potassium (K)fertilizer, were fed to foats in metabolic cages in order to know the effect forage mineral content on mineral balance
금번조사를 통해 한국산 납작잎벌과의 Neurotoma속 및 Onycholyda속은 5종과 6종으로 각각 정리된다. 이중 Onycholyda속의 1 신종, O. odaesana sp. nov.가 새로이 기재되며, O. zinovjevi Shinohara와 O. sertata(Konow)등 2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N. coreana Shinohara의 숫컷표본이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상기 두 속의 간략한 연구사를 정리함과 동시에 속 및 종의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봄철에 자라는 목초를 다른 계절의 목초와 비교하면 어떤 특성이 있는지, 또 그 시기의 칼룸질 비료의 시용이 목초의 수분 또는 마그네슘 함량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오차드그라스 (Dacctylis glomerala L.) 채초지에서 시험했는데, 그 결과는 칼륨 시용에 따른 무기질과 수분함량에 계절차이가 뚜렷하다는 것이었다 본 시험에서 봄철 (4월)에 생육하는 목초의 무기질함량은 다른 계절보다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칼륨함량은 높고 마그네슘함량은
We calculated the solar monopole abundance limit by comparing the observed solar neutrino flux and the calculation of non-fusion solar neutrino flux produced by Rubakov process in the solar core. We included the produced meson's enhancement effects by the surrounding ions in the solar core. We find that the monopole number N M < 1.9 × 10 20 ( 1 m b / σ 0 ) , where σ 0 is the characteristic proton decay cross section of Rubakov process. This is similar or stronger than strong limits obtained from neutron star's luminosity.
우리나라에 발생하고 있는 벼멸구 생태형의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고자 생태형 1, 2, 3의 단시형 암컷과 숫컷의 다리부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앞다리, 가운데 다리 그리고 뒷다리의 제3부절의 형태를 51개 부위에서 조사한 다음 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정준 판별 분석법을 도입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Mahalanobis distance는 숫컷의 경우 생태형 2와 3 사이에서 가장 짧았고, 암컷은 생태형 1과 2 사이에서 가장 길었다. Scatter plot diagram상에서 각 생태 형간 분리현상이 뚜렷하여 중심점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각 생태형에 속하는 개체는 중심점 부근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각 생태형간의 Group membership 조사에서 암수 모두 각 생태형은 각각 동일한 생텨형을 분류되었다.
한국p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1차로 1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중 1신종, 애기물결자나방, E. bicornuta sp. nov.를 기재 발표하고 이른봄애기물결자나방, E. clavifera, lnoue, 삼각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signigera Butler , 둥근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supercastigata lnoue , 흰애기물결자나방, E. viidaleppi Vojnits , 실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addictata Dietze , 긴점애기물결자나방, E. repentina Vojnits et Laever , 연갈색애기물결자나방, E. antaggregata lnoue , 너도애기물결자나방, E. consortaria Leech와 긴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kamedai Inoue등 9종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벼멸구 수컷 정소에서 염색체의 변이정도를 생태형 별로 관찰하였다. 세포 분열 지수는 생태형 3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태형 1, 생태형 2이었다. Agmatoploidy, aneuploidy, 성염색체의 loose pairings과 같은 염색체의 구조적 변화는 생태형 1, 생태형 2, 생태형 3순으로 높았다. 감수분열 제1분열기 중기는 성염색체가 상염색체로부터 현격하게 분리되어 있는 세포의 수는 생태형 2에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