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27

        80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Best-Worst Scaling(BWS)을 이용하여 캄보디아 농촌 지역의 고등학교 교사의 교육 원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공여국에 의한 농촌 개발과 교육 부문을 통합하는 개발전략을 수립할 때, 교육을 제공하는 교사의 교육원조 선호도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기술직업교육 확대(항목 1)」,「현직 교사의 상 위학위 취득기회 확대(항목 2)」,「학교시설 건설 및 학습 기자재 제공(항목 3)」,「투명한 학교운영(항목 4)」,「빈곤 학생을 위한 재정적 지원(항목 5)」,「전문성을 키우는 교원교육(항목 6)」,「선진국 해외연수(항목 7)」,「교원 보수증대를 위한 재정적 지원(항목 8)」, 「선진화된 교과과정 개발(항목 9)」로 구성된 9가지 교육원조 항목을 선정하였다. 캄보디아 농촌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9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BWS 설문조사를 한 결과, 상위 3개 우선순위는 항목 8, 항목 6, 항목 2였고, 가장 낮은 우선순위는 항목 7, 항목 9, 항목 5, 항목 6으로 나타났다. BWS 분석방법은 국제농업·농촌개발전략 수립에 필요한 수혜자의 원조 선호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0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December 27,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published a policy intended to ban English education in public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policy instantly sparked a strong backlash from the public, who voiced concerns and opposition to it in online news comments. This study analyzed 5,815 online news comments to identify public perception of the ban in particular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general.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opponents of the ban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supporters (85.1% vs. 14.9%). The opponents disapproved the ba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ban would make parents turn to private education and eventually end up widening the gap between those who can afford it and those who cannot. Second, the ban clearly infringes on the basic right to get an education. Third, English is being taught through play-based curriculum, which causes little stress and emotional burdens for children despite the concerns of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ers underscored the role of parents 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native tongue to back up their arguments for the ban. Overall, this study may provide insights about how to utilize online news comments to study public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8,000원
        80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예체능 강사들의 자기효능감, 교수몰입, 직무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강사들의 자기효능감과 교수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방과 후 예체능 강사로 근무하고 있는 195명을 대상으로 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체능 강사들의 자기효능감, 교수몰입, 직무만족도의 경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4 점 만점에 평균 2.89(SD=.29), 교수몰입은 5점 만점에 평균 3.89(SD=.51), 직무만족도는 5점 만 점에 평균 3.13(SD=.30)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강사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몰입과 직무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그 영향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 다. 셋째, 강사들의 자기효능감이 교수몰입에 비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예체능 강사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교수몰입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봄으로써, 이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5,200원
        80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aspect of vocabulary”, which is used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considering the overlaps between vocabulary categories.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aspect of vocabulary and the way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vocabulary aspect education has not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among the vocabulary categories”. In this study, we set up a category of vocabulary with multiple features and categorized these features using “+” and “-” depending on the case. In this way, aspect of vocabulary is restructured more coherently. More discussion on the future studies and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5,700원
        80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위험요인을 밝혀 유아교육 기관 운영은 물론 교사와 가정의 영유아 보육(Edu-care)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원장 244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김혜경(2011)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와 Maslach와 Jackson(1986)의 소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검증 및 Scheffé의 사후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개인변인 중 채용유형, 학력, 월수입,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환경 위험요인의 하위변인 및 전체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환경 위험요인 전체와 하위변인 중 도전 기회부족과 역할 모호성은 냉소, 정서고갈, 개인 성취감 감소, 직무소진 전체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원장이 인지한 직무환경 위험요인 중 업무과다, 도전적 기회부족, 역할 갈등, 업무모호성은 직무소진 전체를 높이는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장의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원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80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의 제5권과 제6권에 수록된「대심문관의 전설」과「러시아 수도사」를 중심으로 도스토옙스키의 종교관을 분석한 후, 문학에 형상화된 종교성의 문제가 인성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기술의 발전과 축적된 자본의 세계화로 21세기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풍요로운 번영을 누리고 있지만, 배금주의가 빚어낸 도덕적 타락으로 개인의 개성과 인성이 파괴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물질적 번영보다 내면적, 정신적으로 성숙한 사회를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문학에 형상화된 종교적 테마는 인간의 본심(本心)을 일깨워주는 주요한 모티브가 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인간 본성의 한계를 정확하게 꿰뚫고 있는「대심문관의 전설」과 그에 대한 예술적 답변으로 기획된「러시아 수도사」는 죄의 근본적 의미와 인간이 어떻게 그 죄를 극복하여 서로를 용서하고 사랑하는 기적을 낳을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는 자유라는 이름으로 인간에 내재 된 신의 이미지로, 인간 내면에 관한 탐구는 곧 신에 관한 탐구이자 존재를 도덕적 주체로 입법하는 근본적 토대임을 형상화하고 있다.
        5,500원
        80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천문학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선정한 후 사고력 학습 발달 모형을 응용하여 시연과 관찰, 문제 제시와 사고 활동, 지원과 모둠 토의, 시연과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학생들의 수준 변화를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와 관련하여 관측된 천문 현상을 우주에서 보는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모델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고, 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천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스템을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5,700원
        808.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lifestyle factors, dietary attitudes, food habits, and dietary nutrition intake of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A total of 44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ietary nutrient consumption was obtained from the one day 24-hr recall. Scores on ‘Concerns about health (p<0.05)’, ‘Regular exercise (p<0.01)’, and number of steps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training. The dietary attitude (31.3 vs. 33.7, p<0.01) and food habits (53.5 vs. 59.7,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training. The scores on ‘Eating a lot of food that I want to eat is more important than nutrition (p<0.01)’, ‘I am interested in information on nutrition and health (p<0.01)’, ‘Have three meals a day (p<0.01)’, ‘Have breakfast regularly (p<0.01)’, ‘Drink milk every day (p<0.001)’, ‘Have fruits every day (p<0.05)’, and ‘Apply nutrition knowledge to daily life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training. Among the nutrients intakes, the protein (p<0.05), vitamin C (p<0.01), and calcium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training. Nutrition education improved the lifestyle factors, dietary attitudes, food habits, and dietary nutrition intakes.
        4,000원
        809.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유아교육기관의남자유아교사가담당하는학급의부모들이학기초에남자유 아교사에대하여어떤인식을가지고있는지, 남자유아교사가자녀의학급담임교사를담당 한 후에 어떠한변화가 있는지를비교분석함으로써 남자 유아교사의유아교직 적응도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남자 유아교사의 필요성, 남자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을 유아교직 적응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제공하는데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남자유아교사 가학급담임교사를하는 유아교육기관에자녀를맡기는11개 유아교육기관의학부모312명 이며, 연구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을 구하였고 학부모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 남자 유아교사 에대한사회인식, 학부모의인식변화를위해교사교육, 부모교육등의연구를통해인식변 화가 필요하고 남자도 유아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유아교육이 양성교육을 지향하는 곳이 되도록 노력해야함을 시사해준다.
        5,200원
        81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Korean adul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The education program was 45 minutes of short-term training,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and exercise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stage, talking about status and reasons for checking nutrition labels; in the development stage, explana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their content, reading, and identifying sample nutrition labels, as well as comparing nutrition labels and selecting better foods; in the closing stage, summary of nutrition labeling and a pledge to check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A total of 53 adults (88.5% female) aged 30 years and ov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trition labeling awareness of the subjec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5.8 to 96.2% after the education. After the education, the correct recognition rate of a nutrition lab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6.9 to 78.8% for the amount of food, from 25.0 to 73.1% for the calorie content, from 36.5 to 69.2% for the nutrient contents, and from 30.8 to 82.7% for the percent daily value. The self-efficacy of checking nutrition label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before the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4.2 out of 5. The outcome show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nutrition labeling improv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and self-efficacy towards checking nutrition labels.
        4,000원
        81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로프로그램과 영어교과수업을 융합한 영어진로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학생들의 글로벌 리더십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영어교과 학습동기를 높여 학생들이 영어수업에 즐겁게 참여하고 영어교과 시간에 꿈과 끼의 탐색에 필요한 다양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어 학습동기를 높이고 글로벌 리더십교육을 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꿈-ING 영어진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700원
        81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for children’s health UP’ (DECHUP) on the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KAP) of nutrition and food safety i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DECH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8 and consisted of education and activities focusing on the children’s levels of understanding. Data were collec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6 weeks after DECHUP using the same metho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0.0.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subjects to nutrition and food safety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an before DECHUP, but the attitude of boy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6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havior for nutrition in the practice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behavior of food safe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DECHUP, the more positive the change in knowledge, and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and practice behaviors. Therefore, DECHU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KAP of the subjects, and it will be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desirable eating habits if it can be carried out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4,000원
        81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단원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기존의 국어 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수가 감소하여 문학 단원의 작품 수가 현저히 줄어듦을 지적하면서 문학 단원에 수록된 소설 작품 양상을 분석하였다. 21세기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고 학생들의 정서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소설 작품의 필요성을 제기한 후, 교과서 수록 작품의 변화를 제안한다. 그 대책으로 문학 단원의 소설 작품 수를 적절히 늘리면서 ‘청소년 소설’을 교과서에 수록하기를 요구한다. 아울러 2015 중학교 국어 문학 영역의 핵심 개념에서 문학의 본질, 문학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 조건을 충족하는 청소년 소설을 모색하고, 성취기준과 연관성 있는 청소년 소설 작품을 예로 제시하였다.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 작품이다. 우리는 문학을 통해 삶의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고 타자와 소통하는 방식을 배운다. 이러한 문학의 가치는 청소년기 문학 교육의 중요성을 주지시키며, 청소년 소설 선정 기준에 심미적 체험의 소통, 문학을 통한 삶의 성찰이 잣대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문학교육은 학생들이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와 소통하며 문학 독서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러한 까닭에 청소년기 중학생들이 알맞은 청소년 소설을 많이 접할 수 있도록 교과서 단원 속으로 적절한 텍스트를 끌어오는 것은 문학 교육적으로 중요하다.
        7,800원
        81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든 인간은 평생을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생애주기 속에서 학습하는 삶살이 존재이다. 특히, 심신의 불편함과 사회적 불평등을 넘어서야 만 하는 장애인에게 교육은 삶 그 자체일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장애인 특수교육은 평생교육이자 평생복지로서 인간 존재의 생(生)과 명(命)을 존중하고 행복을 발현하는 미래 배움의 중핵이어야 한다. 이런 논지에서 고령화 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은 “관점의 대비”가 아니라 “관점의 넘어섬”을 추구함으로서 학령기 중심의 특수한 교육적 처치에서 장애 가능성을 지닌 모든 존재에 대한 관심과 이들의 평생 삶살이 전반에 걸친 보편적 인간중심의 준비여야 한다. 즉, 장애인의 전 생애별 주기를 고려한 복지와의 접점 속에서 학습을 넘어서서 진로와 생활, 여가 및 평생 삶살이를 구상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특수교육은 개인 능력의 유무 판정이 아니라, 서로 다른 능력 존재라는 인식기반 위에 인간 존중 실천학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고령화시대에 모든 인간의 삶살이와 교육은 “살아있음에 기반하여 서로 다름에 대한 공감력 신장으로 소통의 사회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그 동안 학령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던 장애인 특수교육은 학령기이후를 포함한 계속교육으로서 전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령 장애인에 대한 복지의 이중적(노인/장애인) 접근, 실천 지향적 평생학습권 보장, 고용기회의 확대, 주거 공간 확보, 여가문화 참여기회 확장, 자연친화적 환경조성 등이 필요하다.
        6,000원
        816.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금융 이해력, 금융 행위, 금융 성과, 금융교육의 효과를 소재로 진행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를 통해 우리가 확실하게 알게 된 사실은 생각보다 많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뿐이다. 혼자 힘으로 금융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하지 못하여 최적의 금융 성과를 얻지 못하는 금융 소비자가 다수 존재하며, 금융 이해력은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량 가운데 하나이고,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금융교육보다는 특정 금융 행위에 초점을 둔 특화 내용의 금융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 데 더 기여한다는 정도뿐이다. 금융교육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금융 행위와 금융성과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는 근거는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으며 엇갈린 발견이 보고되고 있다. 금융교육 확대를 주장하기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금융 이해력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안 탐구하기, 금융교육이 개인의 금융 성과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증거 확보하기, 금융교육의 긍정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전략 모색하기, 금융교육과 기타 경제교육 정책 수단의 효율성을 비교하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8,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