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6

        136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isitors’ program satisfaction,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93 visitors during the exposition period from October 18 until October 27. Among visitors, female visitors were 19.4% more than male, the rate of 40s and 50s was high to 53.5%, farmers was most frequent to 26.5%, and residents in Gwangju and Jeonnam were the majority with 84%. The visitors with family as companion form were most frequent to 44.2%, the rate of first visiting was highest to 37.9% in number of visiting, and exposition held information was obtained most frequently to 49.9% by word of mouth. In survey of program contents, visitors preferred the subtropical garden the most among exhibition hall, and 65.9% of visitors were satisfied about guide. The rate of satisfaction was 71.6%, and 32.7% of visitors responded that it did not participate in experience program because there was no guide. In survey of satisfac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73.9% of visitors purcha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86.3% of purchaser were satisfied. The 65.1% of purchaser responded that they bought because of belief about agri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amount between 10000 and 20000 won was the highest with 33.6%. On the other hand, 41.3% of visitors did not purchase because they do not need. The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of in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was high to 82.6%, and the most unsatisfactory part appeared to drinking water facilities and parking lot. In survey of development possibility of agriculture through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86.2% of visitors were positive, and the rate of revisiting intention highly appeared to 80.4%.
        1368.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족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 달 정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연령, 학력, 경력과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학력,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혹은 유아교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136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Wee클래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사용 하여 학교상담의 주요 관련자(stakeholder)로서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초 점질문을 바탕으로 서울, 인천, 경기 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남자 3명, 여자 7명) 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도움요소는 총 12개의 군집으로 ‘군집 1. 자문 및 조언’, ‘군집 2. 심리적지지’, ‘군집 3. 정보 획득’, ‘군집 4. 교사 간 협력’, ‘군집 5. 상담환경 조성 및 홍보’, ‘군집 6. 외부기관 연계’, ‘군집 7. 예방 활동’, ‘군집 8. 위기 개입’, ‘군집 9. 학생과 공감적 관계 형성’, ‘군집 10. 상담교사의 전문성’, ‘군집 11. 학부모 상담’, ‘군집 12. 중재’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5점 리커트 척도)는 ‘군집 8. 위기 개입(M=4.60)’이 가장 높았고, ‘군집 12. 중재(M=3.75)’가 가장 낮았다. 반면 불만족요 소는 총 7개의 군집으로 ‘군집 1. 학생에 대한 지나친 허용적 태도’,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 ‘군집 3. 수업 중 상담의 문제’, ‘군집 4. 교사 대상 서비스 부족’, ‘군집 5. 상담교사 부족’, ‘군집 6. 상담 업무의 비공개성’, ‘군집 7. 상담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 는 ‘군집 5. 상담교사 부족(M=4.30)’이 가장 높았고,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M=3.60)’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교육의 측면에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137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whether horticultural activity is appropriate for personality education to prevent reformatory students from redelinquency, to make use of it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to take advantage of the research as based inform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s, the researches and surveys were taken in four parts targeting 262 reformatory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Youth Detention Centers out of ten centers in the country: simple mental health diagnostic inventory, general characteristics, preferences of personality programs that are currently underway to juvenile delinquents in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and awareness and preference of the plant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simple mental health diagnostic inventory, ‘depression’ appeared to be the highest while ‘hostility’, ‘somatization’, ‘obsessional think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anxiety’ and ‘psychosis’ emerged in the order. Secondly, as a result of preferences of personality programs, ‘social work’ appeared relatively the highest, while ‘Do-dream program’, ‘art therapy’, ‘career exploration’, and ‘sex education’ showed in the order. Thirdly, 53.3% students responded that personality programs through horticultural activities is desirable and 84% appeared that they prefer it. The most preferred plant species were fruit trees (strawberries, apples), flowers (roses, herbs) and vegetables (Scatter cucumbers, tomatoes). The most interesting garden activities were ‘growing (cultivation)’, ‘decorating (decoration and craft)’ and ‘feeling plants (appreciating).’ Therefore, it is well ascertained that juvenile delinquents in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consider introducing horticultural programs into personality education positiv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dentified that more various and specialized horticulture programs to prevent reformatory students from redelinquency should be developed for practical use.
        1371.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ood stor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the customers as the interest into local foods is increasing. The main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use the local food stores based on the trust in the origin of the products and good quality. Seco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had a positive (+) directivity. Third, reliability, assurance, empathy and tangibles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impact among the 5 aspects of service quality except for responsiveness.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local food stores, and reliability, assurance and empathy had a positive (+) impact on revisiting intention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except for responsiveness and tangibles among the 5 service quality aspects.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required to keep having interests into service quality to gain a competitive edge as a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since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ood stores has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1372.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병원 방사선사의 복지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병원내복지의 만족요인과 개선해야할 사항들 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4년 7월14일부터 8월14일까지 경남에 소재한 대학병원방사선사를 대상 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2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병원복지지원요인별 복지만족수준을 살 펴보면 생활복지지원(2.83±0.43), 금융지원(4.25±0.65), 주택지원(2.28±0.46), 교육지원(2.58±0.50), 건강의료지원(3.02±0.56), 문화 및 여가지원(2.79±0.45), 기타복지지원(2.70±0.48)으로 병원복지지원 요인에 대한 만족수준은 평균정도의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병원복지에 대한 욕구조사나 일반기업이 제공 하고 있는 복지제도를 벤치마킹하여 효과적인 병원복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73.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직무만족과 이직의사를 일반적 특성과 질문지를 통한 내용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출신 병원사 무장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대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그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체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를 살펴보면 전체 직무만족는 3.00점이고, 이 직의사는 2.79점이다. 5점 척도에서 직무만족는 평균 2.5점 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여 그다지 높은 직무 만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이직의사에서도 평균점을 조금 넘는 점수를 보여 대체적으로 이직하 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방사선사출신 병원사무장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받게 되는 정체성 때문에, 미래를 위한 새로운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현실에 안주하는 병원사무장이 아니 라 미래를 준비하는 병원관리자로 방사선사출신 병원사무장들의 미래가 투명해 지길 기대한다.
        137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T 조영검사 예약환자의 원활한 검사 진행과 조영검사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여 CT 조영검사 예약환자의 검사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 4년 2월까지 CT 조영검사를 예약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했던 2,846명의 환자들 중 예약시간에 검사를 시행 하지 못하고 지연된 21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연사유를 분석한 후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구상 및 개발하여 2015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처치가 필요한 644명을 대상으로 SMS 전송 시행율, SMS 전송내역, 예약시간 준수율, 예약시간 지연 사유, 예약 시간보다 지연된 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2014년 1~2월 외래 CT 조영검사 예약환자는 2,846명이었고, 그 중 예약시간에 검사 를 시행하지 못한 환자는 214건으로, 약 7.5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예약시간보다 지연된 세부적인 사례는 creatinine 미확인이 98건(46%), creatinine 1.3 이상이 40건(19%), 과거조영제부작용이 34건(16%), 금 식 등 전처치 미흡이 25건(11%),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4건(2%), 기타 이유가 13건(6%)으로 나타났 으며, 평균 지연시간은 creatinine 미확인이 120분, creatinine 1.3이상이 30분, 과거조영제부작용이 40분,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120분,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30분, 기타 사유가 60분으로 나타났다. 2015년 1월~2 월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적용하여 전처치가 필요한 대상자 644명중 SMS 전송시행율은 515건(80%)으 로 나타났으며, SMS 전송내역을 분석한 결과 당일 검사가 283건(44%), 진료과 방문이 185건(29%), 전처치 불필요가 47건(7%), 외래과에서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 미확인으로 SMS 전송이 안 된 건수가 129(20%)건 으로 나타났다. CT 조영검사 예약시간 준수율은 전체 644건 중 560건(87%)이 예약시간 안에 검사를 시행 하였으며, 예약시간보다 지연된 세부적인 사례는 creatinine 미확인이 23건(28%), creatinine 1.3이상이 11건(1 3%), 과거조영제부작용이 7건(8%),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30건(36%),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6건( 7%), 기타 이유가 7건(8%) 이었다. 예약시간보다 평균 지연된 시간은 creatinine 미확인이 90분, creatinine 1. 3이상이 20분, 과거조영제부작용이 30분,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120분,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30분, 기타 사유가 60분으로 나타났다. 조영제 부작용의 효율적인 관리적 측면과 CT 조영검사 예약시간에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적용해본 결과 적용 전에 비해 전처치 준비 시간이 줄어들고 CT실, 진료실, 채 혈실, 주사처치실 등의 방문횟수 및 동선이 줄어들어 CT실을 찾는 고객들의 검사만족도와 의료서비스 향 상에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37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perceived risk,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this, we separate consumer with two groups that one is the experienced, the other is the not-experienced. Four factors is respectively adopted in perceived value and risk wi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hasizing the value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important to the not-experienced. And to decease the risk is more effective to the experienced for activating market.
        137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for the trails of urban parks. For this purpos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users of trails in Gwanggyo Lake Park.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importance was 4.2 and satisfaction was 3.54. Overall,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need intensive management were the convenience of moving with a wheelchair or a stroller, the amount of shades and vegetation, nearby amenities,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nd separation of walking trails and bicycle trails. It was found that management strategies and improvement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facilities of trails and convenience of users.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measures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users.
        137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공 서비스의 공공 앱을 통해 넓게 분산된 시민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공공 서비스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고, 시민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공 앱을 주요한 공공 서비스 전달 수단으로 인식 하고, 공공 앱의 내용과 기능을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정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현재 모바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앱 45개를 토대로 서울시 공공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 서비스용 모바일 증강 현실 앱의 서비스 유형에는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정보,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안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안전한 스마 트 공공 서비스 환경 및 개인 정보 보호 등이 강화돼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공공서비스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모바일 공공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137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licy impacts of the ‘2014 Rural Field Forum’. From 20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mplemented Rural Field Forum to push forward rural development of inhabitants′ initiative.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at Rural Field Forum has crucial impacts on residents′ competence, region capability and driving force of project by targeting the 374 residents of 350 villages in 9 states who participated in 2014 Rural Field Forum. We also sought for the solution to institutional improvement. Futhermore we analyzed each of leader group and normal residents for departmentalization of policy effects. Taken together, the analysis reveals that: 1)Rural field forum is demonstr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village development plan and all of its necessary components. 2)Regarding the effect on the village capabilities,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village organization was shown to be improved. 3)About regional capabilities, the interest in village project was advanced. 4)In terms of the project execution, Rural field forum turned out to affect the village council processes positively. 5)lastly, between the leader and the residents, the difference effectiveness between them revealed, with the same directivity and considerably bigger effect felt by the leader than by the residents overall.
        1379.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nature-based ecotourism motivation of ecotourists influences destination image and satisfaction of ecotouris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s, the study carried out a literature study and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obtained data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study designed a model for the empiric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turns to nature, knowledge. fitness and escape as ecotourism motivation of ecotourist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ecotourism destination image,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 However, effect of novelty on cognitive image for destination had not significant results. Second, ecotourism destination image,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ecotourism satisfaction of ecotourists. The results of the article provid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for promoting ecotourism destination and suggest some guidelines for the eco-education of tourists.
        138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신을 교과전문가로 인식하는 중학교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3주기 중학 교 데이터(2010년)의 교사 6,357명 자료를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매개효 과 분석,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상대적으로 수업지 도성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학교 풍토 조성’과 교직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덜 긍정 적이었다. 둘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 고, 교사의 교수효능감 역시 교직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의 교수효능감은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교직만족 제고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위시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