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을 달리 살아온 고국의 문화와 정서를 익히고 외로움을 달래는데 초점을 둔 원예치료 활동이 분석결과 표와 같이 대상자들의 고국생활 적응과 만족에 상당한 영향력을 주었음을 보여준 연구라 할 수 있겠다. 결과에서와 같이 각각의 대상자들이 원예치료활동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에 만족하기 보다는 사할린어르신들의 살아왔던 생활과 환경에 관한 연구와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로 원예치료가 더 많은 사할린어르신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of Upo wetland ecotourism website, Upo Wetland Cyber Ecological Park.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specifically, the desire to revisit and :recormnend it to others. The four factors were ecotourism contents, design, system charaderistics, and trust. It was found that four factors, i.e., ecotourism contents,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and trust were significantly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n tum affected revisit and word of mou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management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과 연계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이 노인의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또한 욕구충족을 통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D노인주간보호소 에셔 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 7명을 대상으로 2005년 2월 14일부터 12월 26일까지 주 1회씩 총 41회를 실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셜계하였다. 안정욕과 인정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작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식물심기와 감자 속 파기 둥과 같은 과거 익숙한 작업을 션택하여 노인들이 쉽게 배워서 아동에게 가르쳐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 감자, 당근, 보리, 창포 둥 과거 친숙한 소재를 제공함 으로써 과거 일을 회상하여 아동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건강을 자랑하고 싶은 생존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당한 힘이 요구되는 작업을 선택하여 아동 스스로 할 수 없을 때 노인들이 도와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인의 욕구 충족에 의한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은 42.86검에서 실시 후 49 점으로 유의하게(p=.038)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하위항목별 변화는 과거 차원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14.57점에서 실시 후 16.86.으로, 현재 차원에서는 18.14점에서 21.43점으로, 미래 차원에서는 10.14점에서 10.71점으로 조금씩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생은 없었다. 아동과 연계하여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우선적으로 유대관계형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아동들이 대상자에게 많은 것을 묻고 대답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상자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 었다. 뿐만 아니라 늘 몸이 불편하여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나약한 존재로만 여겨왔던 것이 이번 활동을 통해 비록 어린 아동이었지만 그들에게 자신들의 능력과 정력을 폰중받을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되었다. 노인들은 본능적으로 자식이나 젊은이에게 사랑을 베풀고 싶어 한다. 이러한 내리사랑을 배풀 수 없을 때에 노인들은 외로움을 느낀다. 이번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틀에게 잠시나마 그러한 내리사랑을 베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 것이 상당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 여자프로골프협회(KLPGA)에 소속되어 있는 회원 중 1부, 2부 3부 투어에 참가한 334명을 대상으로 골프선수들의 등급과 수준에 따른 자기관리와 운동만족의 차이와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원다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골프수준에 따라 자기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골프수준 상집단선수들이 하집단보다 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운동만족은 상집단 선수들이 외부환경만족, 선수생활만족, 사회적 승인만족에서 하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기관리가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리그별 상하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 하위변인들이 외부환경만족, 선수생활만족, 사회적 승인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가 아동과의 상호작용 중에 보여준 행동과 태도를 아동이 지각한 바에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여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생 30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행동은 아동의 전체 학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과 지시적 행동, 학생에 대한 기대와 학업 기회 및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지의 여부가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visitors' satisfaction and residents' benefits on Hansan Ramie Fabric Ecotourism Festival.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23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urists more satisfied with event interesting, variety, and experiences at this festival than resi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ourists significantly satisfied with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s compared to residents. It was found that tourists spent more money than residents, and the festival contributed to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d only few festival event programs. For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programs of the festival and examine the determinants factors of visitors' and residents'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측정시기에 따라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동아리에 가입한 학생(n=100)과 교양체육을 수강하는 학생(n=100) 총 20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분할구획요인설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2주 간격을 두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스포츠 집단에 관계없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외적 동기는 교양체육 집단보다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웰빙 변인 중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은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자율성 지지의 환경이 심리적 욕구 만족과 동기 발달 및 심리적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양건축물 또는 워터프런트 개발계획에 있어 특히 워터프런트에 입지하는 주거단지 계획에 역점을 투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기존 워터프런트 주거단지의 거주환경 만족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통일 주거단지 내에서도 각층별, 방위별, 위치별 쾌적성에 대해 분석하여 가장 선호하는 층, 방위 위치 통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만족도의 순서는 남향, 남동향, 동향, 남서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향, 남동향의 선호 경향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 응답자의 67%이상이 향보다는 외부로의 조망이 좋아야 한다고 응답하여 워터프런트 주거단지에 있어서는 조망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경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안벽형 워터프런트, 호안형 워터프런트 덴 하천형 워터프런트의 세가지 Type의 경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고층부 경관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저층부 경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에서 개발된 대학 운동선수의 만족 척도(ASQ: Riemer & Chelladurai, 1998)를 국내 실정에 맞도록 제작된 한국판 척도의 구조적 타당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절차는 (1) ASQ의 국문 예비판을 제작하고, (2)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3) 확정판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였다. 국문 예비판은 번역과 번역본 검토 단계 및 1차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535명의 8개 팀종목(농구, 럭비, 배구, 아이스하키, 야구, 축구, 필드하키, 핸드볼) 대학 남자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8요인 4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대학 남자운동선수 125명을 대상으로 문항 간 내적일관성 분석과 검사-재검사에 의한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일관성과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측정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전선수와 비주전선수 간의 개인수행, 능력활용, 훈련과 지도, 팀기여, 팀응단합과 헌신 요인에서 주전선수가 비주전선수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게임 완성도 향상 및 수출 증가 등 게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수요자들의 게임만족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해야 되며 이를 위하여 기존 또는 향후 개발되는 게임들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산업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게임만족도 요소들의 점수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RPG 게임을 대상으로 얻은 설문자료에 근거하여 SAS/INSIGHT의 모수적 밀도함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만족도 요소들의 점수분포를 각각 정규분포로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 또는 향후 개발되는 게임들의 만족도 수준과 기준을 예측할 수 있는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Drawing on Herzberg's two-factor theo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visitors to rural tourism base their overall evaluation with an experience on their consideration of two types of aspects referred to as either 'motivators' and 'hygienes' by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233 critical incidents described by 121 participa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exclusive factors which are named as experiential factor, cognitive factor, and affective factor. The application of Herzberg's two-factor theory to rural tourism suggests 'satisfiers' to come from the experience-activity itself, experiential factor. While more peripheral elements constitute 'dissatisfiers', cognitive factor. The paper provides the advancement and broad application of Herzberg's theory to further understand rural tourist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