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운회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들에 대한 자료를 설문조사하고, 각 해운회사간의 안전관리체제 이행에 따른 효율성을 DEA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998년~2004년까지 각 해운회사의 안전관리체체의 운영효율성을 DEA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 평균지수가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효율성 평균지수가 매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이유는 해양사고 건수, PSC지적 건수, 선박보험료, P&I 보험료는 매 년 감소하는 것에 비해 선박수리비, 선용품비와 선박 불가동일수는 매년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항산화제는 산소의 저장고로서 무혈청 배양액에서 주요한 작용을 하며, 복합배지에서 유용한 첨가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배양에 있어서 항산화제인 L-cysteine의 작용과 수정란의 발달 단계별 염색체의 분석을 통하여 체외 수정란의 배양 체계를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은 0.1% PVA, 0.1 mM L-cysteine 첨가 시 체외 성숙율은 73.4%, 94.6%으로 각각 나타냈으며, 처리간에 유의적
대공간 구조물은 힘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고, 휨모멘트의 영향을 가능한 저감 시켜 면내력만으로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역학 개념을 기초로, 구조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형태저항형 구조이다. 구조물의 경제성 분석은 그 프로젝트의 실행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공간 건설에는 일반 건물에 비해 많은 기술적 고려가 요구된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타당성 검토 단계에서 구조물의 전 생애의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대공간 구조물의 사례를 조사하며, 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공사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공간 구조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먹는 물 내에 존재하는 발암원인으로 의심되는 유기화학물질을 재래식 정수처리방법으로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을 AOP산화 & M/F membrane 혼성공정법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처리수로 처리하고자 지하수를 반응조에 유효용량으로 유입하고 유기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투입 혼합하여 충분히 희석시키고 이것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최적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유기 화학물질 중 VOCs는 페놀과 톨루엔을 그리고 농약은 파라치온, 다이아지논과 카바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각각 분류별 단일용액과 혼합용액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충분한 분해 및 제거를 위한 운전조건은 H2O2는 150 mL로 정량 주입하고, pH는 5.5~6.0, 온도는 12~16℃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존오존량은 5.0 mg/L이상, 반응시간은 30~40분이 최적 조건이었으며 그리고 같은 반응기 내 분리막의 사용은 0.45 μm 공경크기의 M/F membrane을 이용하여 대량의 음용수를 얻기 위한 결정이었다.
To resolve coelution phenomenon of acetone and acrolein in the HPLC‐based analysis of carbonyls, we attempted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ir separ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carbonyl Compounds is made by DNPH‐coated cartridges. Quantification of carbonyls is then initiated by the formation of hydrazone derivatives that are then separated by HPLC and detected by UV‐VIS spectroscopic detector (at 360 nm). To the course of this experiment, we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three major experimental variables such as 5 temperature (25, 30, 40, 50 and 60℃), 2 flow rate (1.0 and 1.2 mL min‐1), and variable relative composition of mobile phase (among acetonitrile, water, and tetrahydrofuran).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optimal condition for separation was found at flow rate of 1.2 mL min‐1 and temperature of 32℃ with the mobile phase composition of acetonitrile:water:tetrahydrofuran = 34 : 52.8 : 13.2.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instrumental detection method for samples containing various odorous compounds. For the purpose of our comparative study, the analysis of malodor compounds was made using a total of 70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industrial sectors which include: Food & beverage, Waste treatment and cleaning, and Miscellaneous facilities.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es converted into three different odor indices (the odor concentration (OC), odor quotient (OQ), and odor intensity (OI)) were used to statistically sort out individual odorous components with the major impac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ir dilution ratio value and instrumental odor concentration (of individual 12 compounds) indicate that butyraldehyde, CH₃SH, NH₃, and H₂S are the major odorous compounds that contribute most significantly to odor strength for the sample typ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Volatile fatty acids (VFAs) are malodor compounds which are produced from the decomposition of animal or plant species. It is very difficult to detect VFAs due to their strong adsorp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we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using headspace-GC/FID with an alkali-impregnated filter sampling. The addition of NaCl and H₂S0₄ makes the salt-out and pH-lowering effect, respectively. The high boiling points (141~185℃) and vapor pressures require a high temperature and long heating time for the standard sample in vials to reach an equilibrium. The analytical response was highest when the absolute quantity in the sample was 5 mL in a 22 mL vial. The addition of NaCl for the salt-out effect can give a higher sensitiviry by a factor of 1.1~4.2 than that of Na₂SO₄. The mass amount of 4.6 g of NaCl can result in a higher sensitivity, which is higher than the supersaturated solubility of 4.2 g. The concentration of H₂SO₄ is as low as 2% (v/v). When the concentration range is 8.3 -562.1 ppb, a coefficient of R²~0.99 can be obtained for the five VFAs samples. The analytical errors in a reproducibility test are less than 10% and the detection limit is estimated to be 0.05~0.1 ppb. Our headspace-GC/FID analytical method can be utilized to effectively detect the five kinds of VFAs which shall be restricted in Republic of Korea from the year of 2010.
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비상디젤발전기는 원전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기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 종류의 비상디젤발전기를 대상으로 가동중 진동을 계측하여 기초시스템에 따른 가동중 진동의 저감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원전은 영광 5호기, 울진 2호기 및 울진 3호기 원전의 비상디젤발전기로 하였다. 영광 5호기와 울진 3호기의 비상디젤발전기는 동일한 종류의 비상디젤발전기로서 기초형식만 앵커볼트 고정과 스프링-댐퍼시스템을 이용한 면진으로 구분된다. 울진 2호기 비상디젤발전기는 기초부분에 seismic block을 설치하고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진동저감효과를 고려하였으므로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이러한 진동계측의 목적은 기초형태에 따른 진동저감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스프링-댐퍼 시스템이 진동저감과 시스템의 안정적 거동측면에서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any gravitational wave detectors are now being built or under operation throughout the world. In particular, LIGO has taken scientific data several times, although current sensitivity is not sufficient to detect the weak signals routinely. However, the sensitivities have been improving steadily over past years so that the real detection will take place in the near future. Data analysis is another important area in detecting the gravitational wave signal. We have carried out the basic research in order to implement data analysis software in Korea@home environment. We first studied the LIGO Science Collaboration Algorithm Library(LAL) software package, and extracted the module that can generate the virtual data of gravitational wave detector. Since burst sources such as merging binaries of neutron stars and black holes are likely to be detected first, we have concentrated on the simulation of such signals. This module can generate pure gravitational wave forms, noise suitable for LIGO, and combination of the signal and noise. In order to detect the gravitational signal embedded in the noisy data, we have written a simple program that employs 'matched filtering' method which is very effective in detecting the signal with known waveform. We found that this method works extremely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