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69

        130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formance based design(PBD) is the method to make a fire safety design against them after predicting the factors of fire risk in a building. Therefore, predicting fire risk in a building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PBD. For predicting fire risk of a building, an engineer of PBD must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ignition location, ignition point, ignition source, first ignited item, second ignited item, flash over, the state of door and fire suppression system. But, it is difficult to trust fire safety capacity of the design because the process in Korea' PBD is unprofessional and unreasonable. This paper had surveyed some cases of PBD that had been made in Korea to find the problems of the process to predict fire risk. And it have proposed the improvements of process to predict fire risk of a building.
        4,000원
        1302.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 터널은 주간에도 조명이 필요한 구간이며, 특히 비교적 밝은 야외 환경과 접한 터널 경계부는 시각환 경의 복잡함을 고려 시 조명 설계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터널 경계부는 터널 입구, 혹은 태양에 의한 입구 그림자 선으로부터 터널 안쪽으로 정지거리만큼까지의 구역으로, 터널 경계부의 조명은 설계속도로 주 행 중인 운전자가 터널 입구 경계로부터 정지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터널 입구 경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터널 경계부의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휘도 수준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터널 경계부의 휘도는 운전자의 시각적인 특성과 더불어 설계속도 및 이에 상응하는 정지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원범, 정준화(2014)는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를 대상으로 터널로 접근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축소하 여 묘사한 조명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터널로 접근하는 운전자 시야 내 휘도분포를 묘사하기 위한 시나리 오를 구성하고, 피험자 21명 대상 실험을 수행하여 정지거리에서 터널 입구 경계에 위치한 장해물을 발견하 기 위해 필요한 경계부 휘도를 안전율별로 산정하였다. 안전율은 특정 순응 휘도와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는 운전자의 비율 또는 특정 운전자가 장해물을 확인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설계속도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설계속도 80km/h인 도로를 대상으로 피험자 19명을 대상으로 터널 경계부 휘도 도출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조원범, 정준화 (2014)의 연구에서 도출한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의 경계부 휘도 도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조 원범, 정준화(2014)와 동일한 실험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단, 조명 시뮬레이터는 연구대상 도로의 설계속도 80km/h에 상응하는 최소 정지거리 110m에 맞춰 수정․활용하였다. 본 연구와 조원범, 정준화(2014)의 비교 결과는 표 1 및 그림 1과 같다. 설계속도 80km/h 대비 설계속도 100km/h 도로의 필요 경계부 휘도의 비율(이하 ʻ경계부 휘도비ʼ)은 안전율 75%의 경우 1.3~3.0, 안전율 50%의 경우 1.3~2.8에 분포하며, 순응휘도가 증가할수록 경계부 휘도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 계부 휘도비는 80km/h 도로에서 필요한 특정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경계부 휘도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한 100km/h 도로의 경계부 휘도의 비율이다.
        130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tform-based product family design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o satisfy the mass customization which is a current market trend. In order to design platform-based product family successfully, it is the key work to define a good product platform, which is to identify the common modules that will be shared among the product family. In this paper the clustering analysis using dendrogram is proposed to capture the common modules of the platform. The clustering variables regarding both marketing and engineering sides are derived from the view point of top-down product development. A case study of a cordless drill/drive product family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overall procedu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4,000원
        1304.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항 콘크리트 포장 설계법은 경험적설계법에서 역학적설계법으로 변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환경조 건과 파손의 불확실한 예측 등의 이유로 완벽한 역학적 설계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현재는 기존 에 축적된 경험과 공학적 개념을 도입한 역학적-경험적 설계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연방항공청 (FAA)에서는 역학적-경험적 설계방법인 FAA-6E를 제시하였지만 이는 각 항공기 제원 및 포장층의 물 성 등 많은 입력 변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편리성이 떨어지며 환경하중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FAA, 2009). 따라서 최근 국․내외에서는 환경하중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박주영 외(2014)는 국내 지역의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의 지역별 콘크리트 포장의 환경하중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김연태(2014)는 DDT (Double Duals in Tandem) 기어에 의해 설계된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교통응 력과 환경응력을 고려한 응력회귀식을 개발하였고 산출된 총 응력은 환경하중의 영향이 고려되기 때문에 기존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응력과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기존의 피로모형을 이용 하여 설계 수명을 예측할 경우 상이한 결과가 도출된다. 따라서 교통 및 환경하중을 적용했을 때 합리적 인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구조적 수명 예측하기 위해서 적절한 피로모형이 선정이 필요하다.
        1305.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저탄소 ․ 녹색성장과 친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교통부분 특히, 도로부문이 탄소배출의 주범으로 인식 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로건설로 인한 무분별한 환경파괴와 도로 운영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 교통량으로 인하여 CO2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설계시 도로건설과 도로운영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CO2의 저감, 발생된 CO2의 흡수를 위한 흡수원 확보 측면에서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기법을 개발하고 적용방안 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흐름은 그린네트워크 도로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계기 법의 개발, 기법 적용을 위한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여, 최종적으 로는 설계기법을 정립하여 설계편람을 작성하고자 한다. 그린네트워크 도로는 시공 ․ 운영 및 유지관리 등 도로수명주기 를 통하여 CO2발생을 최소화하는 도로로 정의하였으며 도로선 형, 횡단면, 도로수목을 설계요소로 포함하였다. ʻ도로선형설계기법ʼ은 CO2 저감을 위하여 평면 및 종단선형, 선형조합을 세부요소로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사례에서도 차량의 주행속도와 가‧감속이 CO2 배출의 주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듯이, 본 연구에서는 주행속도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평면 및 종단선형의 설계기법과 선형조합 방안을 개발 함으로써 CO2 저감을 유도하고자 하며, 도로의 운영기간 동안 증 가하는 교통량을 고려한 탄소발생량 산정하여 LCA를 기반으로 하 는 탄소저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주행속도와 탄소발생량 산정을 위한 프로그램화를 통하여 ʻ탄소저감 형 선형조합 평가시스템ʼ을 개발하여 최적의 선형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ʻ횡단면 설계기법ʼ은 도로수목 등 탄소흡수원 확보를 위한 녹지공간 마련을 목적으로 하며, 도로횡단구성요소에 서 중앙분리대, 비탈면, 환경시설대 등을 세부요소로 포함하였다. 중앙분리대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도로 폭원별 중 분대 폭원과 식재 유형을 제시하여 녹지중앙분리대 조성방안을 개발하였으며, 비탈면의 기울기 완화, 라운딩 기법 을 통하여 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식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비탈면 설계기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도로규 모별 횡단면 적용모형을 개발하여 탄소흡수원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횡단면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로선형, 횡단면, 도로수목 등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요소별 기술성, 경제성, 시공성, 환경성 등 도로 건설의 주요 지표를 고려하여 기법의 효과평가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최적의 선형계획과 횡단면을 구성하고 도 로수목을 식재함으로서 해당 노선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기법의 정립을 위하여 ʻ도로선형설계기법ʼ과 ʻ횡단면설계기법ʼ의 개발 및 기법 적용을 위한 ʻ효과평가ʼ 방안 위주로 연구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1306.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07.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건설 산업의 프로세스는 2D기반으로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시설물의 총 생애주기 동안 관리 및 시행 주체가 상이하다. 또한 건설 산업 참여주체들은 전문성에 따른 독립된 작업으로 인해 총 생애주기 동 안 건설정보의 전달방법의 통일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정보단절로 인해 건설 산업의 생산성은 타 산 업과 비교해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설 공종정보의 DB화 및 이를 활용하여 4D, 5D, nD-BIM 구현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BIM기반의 건설정보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건설산업에서는 BIM기반의 설계/시공/유지관리의 건설 전 생애주기 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성공적인 프로젝트 성과를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및 정책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공사의 시범설계로 각 공종별 BIM설계를 수행 하고, 기존의 2D설계와 BIM설계의 물량차이를 비교 하고, 향후 토목BIM의 발전을 위해 BIM설계의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설계단계-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근간이 되는 물량산출의 접근성에 있어서 BIM에 대한 국내외 건설 산업의 신뢰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토목분야보다 10년가량 먼저 BIM 도입이 추진된 건축분야에서도 물량산출의 접근성 측면에 있어서는 비정형 구조물에 대한 시각화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 다. 국내 건축분야에서는 이미 단계적으로 BIM 납품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는 반면 토목분야는 BIM 도입의 초기단계임에도 불구하고 향후 3~4년 내 BIM 납품의무화를 위해 여러 공공기관에서 BIM 납품의무화 도입 을 준비 중에 있으며, BIM 납품의무화 시행을 위한 사전준비로서 부분적인 BIM설계 도입을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도로설계를 시행하기에 앞서 기존의 2D기반 물량산출 결과와 BIM기반 물량산 출결과의 오차를 비교·분석하여 그 신뢰성을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BIM설계의 확대 적용을 위한 기초자 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로공사에 필요한 공사 중 구조물공인 교량공, 터널공, 옹벽공, 배수공, 부대공과 비구조물공인 토공, 포장공 등을 대상으로 신뢰성 분석결과를 제시 한다. BIM설계와 2D설계간의 물량 비교를 위해, 도로구간 중 이설도로, 부채도로, 확장부 등 기존도로는 제외 하고 본선 및 램프구간 토공 BIM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교량은 확장교량의 기존교량은 형상만을 구현하 였으며 그 외의 모든 교량은 BIM으로 모델링하여 물량을 산출하였다. 터널은 모든 터널을 대상으로 BIM 모 델링을 수행하여 물량을 산출하였다. 배수공은 측구, 배수구조물, 암거 등 모든 배수공을 대상으로 BIM 모 델링을 수행하는 동시에 한국도로공사 배수공 표준도 적용하여 물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옹벽 은 L형옹벽, RC옹벽, 프리케스트옹벽 등을 BIM 모델링을 통하여 물량을 산출하였으나 보강토 옹벽은 BIM 모델링을 통한 물량산출이 곤란하여 형상만을 구현하고 물량산출은 기존의 2D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포장공 은 도로 토공구간과 연계된 사항으로 도로구간 중 이설도로, 부채도로, 확장부 등 기존도로는 제외하고 본 선 및 분기점, 터널 등을 대상으로 BIM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부대공은 표지판 등 부대 시설물에 라이브러 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합 모델링에 구현하여 부대시설 계획도에 반영함에 있어 향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이후에 적용하는 것으로 업무를 합리화하였다. 모델링을 통한 BIM 물량과 기존 2D기반의 물량과의 오 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BIM 설계의 신뢰성과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BIM기반의 물량산출 방식은 다양하 지만 본 과업에서는 여러 가지 BIM Tool 중에서 터널, 교량 등 구조물공은 Autodesk사의 Revit을 토공과 같이 지형 및 선형에 영향을 받는 비구조물공은 Autodesk사의 Civil3D를 적용하여 BIM 모델링 및 물량산 출을 진행하였다.
        130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views the status and validity of seismic design criteria (SDC) for major facilities in Korea, which are composed of performance criteria and technical standard. Various facilities with different seismic design response spectra a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seismic performance and necessity of eventual retrofit. The results are used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of SDC.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technical standard should be improved after the revision of the performance criteria.
        4,000원
        130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강도 산정을 위해 현행 미국콘크리트학회(ACI) 및 캐나다표준규격협회(CSA), 유럽콘크리트위원회(CEB-FIP)의 설계기준은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설계의 품질이 설계자가 구성한 트러스 모델 적합성에 크게 좌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 트러스 모델에 따른 현행 ACI, CSA 및 CEB-FIP의 콘크리트 깊은 보 설계기준의 타당성을 홍성걸 등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 소성학에 근거한 전단강도식의 예측치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한다. 비교 결과 ACI, CSA 및 CEB-FIP의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해 설계된 깊은 보의 경우 내부트러스 모델이 전단강도 예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EB-FIP의 경우 가장 높은 스트럿 강도 예측치를 보였다.
        4,000원
        131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리다이나믹스 이론과 이진분해 기법의 병렬연산을 이용하여 동적 균열진전 문제에 대한 애조인 형상 설계민감도 해석법을 개발하였다. 페리다이나믹스에서는 균열의 연속적인 분기를 다룰 수 있으며, Explicit 시간적분법을 채택한다. 설계민감도 해석은 애조인 변수법은 경로의존성 문제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여기서는 응답해석의 경로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얻어진 해석적 설계민감도는 유한차분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유한차분법은 설계섭동량에 민감하여 비선형성이 강한 페리다이나믹스 문제에서 부정확한 설계민감도를 제시할 수 있다. 정확한 설계민감도 해석을 위해서는 이산화과정에서 C1 연속성을 가지는 체적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31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철근 공사에는 원청 건설사, 골조 전문건설사, 배근시공도 작성자, 철근 가공장, 감독/감리사, 구조설계자 등 다수의 업무 주체가 참여하고 있으나 이들간의 합리적인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비효율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철근공사는 RC골조 품질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업무이지만 참여 주체간 원활한 협업 부재로 인하여 골조의 품질 저하, 생산성 감소, 공기 지연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RC골조공사는 혁신이 매우 시급한 분야라 하겠다. 최근 BIM은 건설산업의 기술 환경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기술로 인식되고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3차원 모델 상에서 방대한 양의 철근상세정보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모델링 후에도 데이터량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프로그램 성능이 원활하게 발현되지 않기에 BIM 기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배근 설계와 시공과 관련하여 BIM 기술이 활용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기술은 3차원 BIM 환경 하에서 골조상세정보 모델링과 배근상세설계, 정밀물량산출 및 공사관리까지를 지원하는 Rebar HUB를 개발하여 RC 골조 설계 및 공사 프로세스를 합리화할 수 있는 실용적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4,000원
        131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nstruction issues and design for transverse steel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CRCP). METHODS : The first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CRCP) design procedure appeared in the 1972 edition of the“ AASHTO Interim Guide for Design of Pavement Structures,”which was published in 1981 with Chapter 3 “Guide for the Design of Rigid Pavement” revised. A theory that was accepted at that time for the analysis of steel stress in concrete pavement, called subgrade drag theory(SGDT), was utilized for the design of reinforcement of CRCP - tie bar design and transverse steel design - in the aforementioned AASHTO Interim Guide. However SGDT has severe limitations due to simple assumptions made in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As a result, any design procedures for reinforcement utilizing SGDT may have intrinsic flaws and limitations. In this paper, CRCP design procedure for transverse steel was introduced and the limitations of assumptions for SGDT were evaluated based on various field testing. RESULTS: Various field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e assumptions of SGDT are reasonable or not. Test results show that 1) temperature variations exist along the concrete slab depth, 2) very little stress in transverse steel, and 3) warping and curling in concrete slab from the field test results. As a result, it is clearly revealed out that the assumptions of SGDT are not valid, and transverse steel and tie bar designs should be based on more reasonable theories. CONCLUSIONS : Since longitudinal joint is provided at 4.1-m spacing in Korea, as long as joint saw-cut is made in accordance with specification requirements, the probability of full-depth longitudinal cracking is extremely small. Hence, for transverse steel, the design should be based on the premise that its function is to keep the longitudinal steel at the correct locations. If longitudinal steel can be placed at the correct locations within tolerance limits, transverse steel is no longer needed.
        4,000원
        131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tructural system, a certain amount of uncertainties always persists in material properties, geometric parameters and applied loads. In this study, the structure is designed to withstand the uncertainties which are caused by either measurement inaccuracy or system complexity. Random structures are modelled by using ANSYS probabilistic design module. It can be applied easily to any structural system with random paramete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optimal design for the beam with random input variables due to width and height and response parameters due to displacements and stresses. The probabilistic design is also carried out with ANSYS APDL and then the optimal design is sequentially solved. As the total volume of beam, stresses and displacements at the beam are treated as random parameters, the numerical results are obtained.'
        4,000원
        131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교량 내진설계의 목적은 붕괴방지설계이고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교량구조의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설계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또는 현장여건에 의해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이 비합리적인 경우 차선책으로 취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여 붕괴방지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기존 설계방식과 함께 내진설계편은 연성도 내진설계를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성도 내진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으로 구성되는 교량에 적용하며 설계자가 하부구조의 소요응답수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심부구속철근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각기둥과 강재받침으로 설계된 일반교량을 선정하여 기존 설계방식과 연성도 내진설계를 모두 적용한 결과로부터 차이점을 확인하고 설계자가 내진설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 설계방식을 모두 고려하는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4,000원
        131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아이소-지오메트릭 해석법을 이용하여 고주파수를 가지는 파워흐름 문제에 대하여 연속체 기반 형상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아이소-지오메트릭 기법을 형상 최적설계에 적용하면, CAD 기하 모델링에서 쓰이던 NURBS 기저 함수가 직접 쓸 수 있기에 정확한 기하학 정보가 수치계산에서 고려되고, 이에 따라 형상 최적설계 관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유한요소법에 비해 향상되고 부드러운 설계 섭동량을 가지는 설계 매개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정확한 기하 모델이 응답 해석과 설계민감도 해석에 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설계영역 전체에서 법선 벡터와 곡률이 연속적으로 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밀한 민감도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몇 가지 수치예제를 통하여 개발된 아이소-지오메트릭 설계민감도가 유한차분 설계민감도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형상 최적설계 문제를 통해서 본 방법론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4,000원
        131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브리징 스케일 분해를 기반으로 멀티스케일 문제에 대한 설계민감도 해석법을 개발하였다. 나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나노 수준의 해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분자동역학과 연속체역학의 연성문제에서 많은 해석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성시스템 해석을 위해 브리징 스케일 기법을 사용한다. 전체 영역의 분자동역학 시스템의 해석은 많은 양의 계산 비용이 들기때문에 분자동역학과 연속체 시뮬레이션의 연성시스템을 선호한다. 분자동역학과 연속체 수준 사이의 정보 교환은 분자동역학과 연속체의 경계에서 일어난다. 브리징 스케일 법에서 일반화된 랑지벵 방정식은 축소된 영역의 분자동역학 시스템 해석을 위하여 요구되고, 시간이력 커널을 사용하여 구한 GLE 힘은 분자동역학 시스템에서 경계에 있는 원자들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분자동역학과 연속체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분리해서 해석할 수 있으며 계산 과정을 가속시킬 수 있다. 연성문제의 시뮬레이션 이후에는 설계의 최적화를 위해 설계민감도 해석의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전체 시스템의 성능은 나노 스케일의 효과를 고려해서 최적화된다. 설계구배 기반 최적화에서 설계민감도가 요구되지만 유한차분법으로 구한 민감도는 문제가 대형화될 때 계산비용의 제한때문에 비실용적이나 해석적 설계민감도는 효율적인 강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연성된 분자동역학-연속체 멀티스케일 문제에서 해석적 설계민감도를 유도하여 정확성과 향후 최적설계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31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national casino game industry has adopted G2S (game to systems) protocol for the future communication standards between slot machines and gaming hosts. G2S protocol uses the internet protocols and XML message format. Not simply G2S protocol replaces the SAS protocol currently in use but with many limitations, but provides diverse application and business chances to the casino indust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verview of technical features of G2S system, and describe our design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core G2S protocol engine for slot machine devices. The G2S engine provides key protocol stack of G2S (HTTP, XML, and SOAP) and runtime services, using open source softwares and custom classes. The protocol compatibility of the implemented G2S engine is confirmed against an openG2S host software contributed by IGT. Also the measured memory size and perfroamcne is compact enough for typical slot machine hardware specification.
        4,000원
        132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풍동실험에서 얻어진 풍하중에 대하여 모드에 기초한 풍응답 해석을 수행하여 사용성을 검토하고, 목표 응답수준을 획득할 수 있는 수동 및 능동 질량형 장치의 예비설계까지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초고층 건물의 풍동실험결과에 적용하여 TMD와 AMD의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가속도 응답과 질량체 이송거리를 중심으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TMD와 AMD 모두 요구되는 응답 수준을 만족하는 최소의 질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질량체 이송거리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AMD는 TMD 보다 적은 질량체로도 사용성 기준을 만족하는 응답수준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질량체의 이송거리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주파통과필터와 같은 부가적인 이송거리 저감대책이 요구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