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1761.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아동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남 무안군의 마산리 남성 노인과 성남 어린이집 아동 간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무안군의 동암리 여성 노인과 푸른솔 어린이집 아동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19회기 실행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은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남성 노인들은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노인들은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노인들의 아동이미지 변화는 남성과 여성 노인 간의 차이가 없었다.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여아보다 남아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정서적 행동특성은 여아와 남아 간의 차이가 없이 안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노인 이미지변화는 남아와 여아 간의 차이가 없었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176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영천시 P지적장애 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주 금요일 총 38회, 단계적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회기술 평가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기표현 평가결과 하위항목 내용의 경우, P<0.01 수준에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항목 음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은 높아졌다. 하위항목 체언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적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이고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63.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0년에 C교대 교육연구원과 S초교간의 PDS 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운영에서의 쟁점을 분석하고 앞으로 협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운영 개선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분석을 위한 준거로 연구자와 교사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따른 상호 신뢰와 유대감 형성, PDS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참여자들의 탐구지향적인 학습을 설정하였다. 연구자들은 C교대와 S초교의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 운영에서 어떤 쟁점이 나타났는지, 프로그램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S수업 함께 보고 함께 읽기”, “우리 학교에서의 수업 이해하기”, “단위학교 기반의 PDS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운영에서의 쟁점이 발생한 원인으로 교사들의 낮은 참여와 연구자-교사간의 의사소통 부족, 교사의 탐구지향적인 학습의 충실성 정도, 우수수업에 대한 관점 검토, PDS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등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협력의 초기에 PDS에 대해 충분한 오리엔테이션 제공,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융통성있는 조절, 명확한 협력 목표와 계획 설정, 대안적인 교실 수업 개선 실천들의 연대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1764.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지연행동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의 과정을 거쳤으며,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총 11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경상남도 소재의 G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30명씩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11회기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최윤정과 김성회(2008)가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업적 지연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지연행동 개선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지연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지연행동 개선을 위하여 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고,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전략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765.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으로서 언어와 문화가 통합적으로 제시된 중학교 영어 지도의 교재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영어 교재는 대체로 언어학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언어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수적인 문화적 내용이 소홀하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문화 내용을 통하여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어교재와 지도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Byram(1991)과 Kramsch(1993)의 견해에 기초하여 언어와 문화를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교재 개발을 위하여 문화교육과 관련한 이론들을 고찰하고,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화 관련 지침들과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들을 분석하였으며,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주제중심 언어학습 원리에 따라 문화 주제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의 통합하는 교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단원의 교수요목을 조직하였으며, 문화 내용을 각 언어 기능 학습에 자연스럽게 통합시켜야 한다는 Lafayette(1978)의 주장에 근간하여 문화 내용을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어휘 그리고 문법에 이르는 언어 학습 전반에 내용적 배경이나 소재로 활용하여 지도 모형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재와 지도모형은 원어민의 교정, 현장 교사와 학생들에 의한 평사 작업과 파일럿팅 수업 실시를 통한 적정화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 완성되었다.
        176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rs’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ational Recreation Forest Service Programs quality,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ultural benefit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within the programs. An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to determine significant patterns. The IPA results showed that most users’perceived as important how well the service programs performed to meet their expectations. The enclosed study finds, for example, users’answered that three factors which were less important to them were entrance fee, size of program center or facilities and amount of information. These factors performed poorly, and the program of guidance indicates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se factors. In addition, the finding also suggests how recreational service programs in the future can complement and improve what they offer. These are as follows.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content of the program order need to be effectively established. The Program Director needs to maintain a friendly attitude and must have ongoing training on how to provide effective programs. For programs to be enjoyable and satisfying for users, the location of the programs should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Also, detailed program guidance is required for users’ conveni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when ameliorating and establishing the marketing strategy of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Service Programs.
        176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과학캠프 참가 만족도 및 효과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가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설문을 실시, 분석하였다. 캠프참가 이전 과학 흥미도는 초등학교 4~6학년(50.7%), 중학교 1학년(44.3%), 중학교 2학년(39.5%)순이었으며 캠프 이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한 학년별 차이는 초등학교 4~6학년(68%), 중학교 1학년(63.3%), 중학교 2학년(54.4%)순으로 연구되었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관한 긍정적인 응답은 초등학교 4~6학년(71.7%), 중학교 2학년(60.5%), 중학교 1학년(53.2%)순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캠프 재참여 의사는 초등학교4~6학년(56.4%), 중학교1학년(50.6%), 중학교2학년(35.8%)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캠프 참가로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중학교1학년(43.1%), 초등학교4~6학년(40%), 중학교2학년(29.6%)순으로 나타났다.
        176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노인대상자는 전남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와 청계면 월선리 노인들이 참여하였고, 아동대상자는 무안읍 성남 어리이집과 청계면 푸른솔 어린이집의 7세 아동들이 참여하였다.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2월 12일 부터 5월 28일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16회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우울 점수는 프로그램 전에서 비해 프로그램 후에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노인들의 아동의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들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정서적 행동특성은 프로그램 전 21.47점에서 프로그램 후 19.26점으로 2.2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있었다. 아동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 23.57점에서 프로그램 후 31.65점으로 8.08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대통합 원예활동은 아동들의 정서적 행동특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176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활동과 창의성 요인을 분석하여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S시 G구 H 어린이집 4-6세 남․여 총 21명을 실험집단으로, 원예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A시 G구 K어린이집 4-6세 남․여 총 21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사전․사후 측정 유사 실험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주 2회씩 매 회기 1시간씩 진행되었고 홀수 회기는 모둠활동을 하였고 짝수 회기는 개별 활동을 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두 집단의 창의성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일한 집단임이 입증되었고, 총 20회기의 원예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창의성 종합 점수가 상승되었다(p=.000). 따라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인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 상상력으로 나누어서 살펴본 결과 첫째, 융통성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8).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융통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창성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독창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창성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p=.038)과 실험군(p=.000) 모두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실험군의 점수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유창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상력의 종합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욱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33).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 수업이 유아의 상상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 결과,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언어 영역에 대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은 생소한 원예수업이 창의성을 접목하여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1775.
        2011.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중증지체장애인의 정서적ㆍ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고 실시하였다. 중증지체장애인남여 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6일부터 2011년 2월16일까지 4개월간 주1회기 총 15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에 정서적ㆍ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결과 정서적인 경우 긍정적 정서는 실시전 1.20에서 실시후 2.90로 1.35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며. 부정적 정서에서는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3.00로 1.49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다. 사회적인 경우 의사소통에서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3.00로 1.37로 높아졌으며, 유의차 0.00수준이다. 대인관계 실시전1.10에서 실시후 2.90으로 1.34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2이며, 참여성에서 실시전 1.00에서 실시후 3.00으로 1.52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0이며, 돌봄에서는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2.60로 1.23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였다. 이상의 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지체장애인의 정서적ㆍ사회적인 부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증지체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지체장애인의 적극적인 재활 목적으로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