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통하여 요양원 노인에게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대상노인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상당히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노인들의 연세가 높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해서 보조자의 도움도 받으며 약간의 호기심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주기적으로 꾸준히 원예치료를 받으면서 점점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또한 결과물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스스로 표현하며 대부분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원예치료시간을 기다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시설입소노인의 증가추세에 대응하여 다양하고 체계적인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적인 프로그램 활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군포, 양평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에 참여하는 2~5학년의 학생들 4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매주 1회, 회기 당 1시간20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를 검사하였는데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아동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교과목과 연계한 다양한 원예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영역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들의 언어폭력 예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언어폭력의 정의와 유형, 그리고 언어폭력 유발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언어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사소통훈련 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훈련 방법에는 자기표현하기, 경청하기, 공감하기, 문제해결하기의 4가지 구성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토대로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총 11회기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경기도의 H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구자관(2007)의 언어폭력 검사지를 전문가들의 자문을 얻어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을 감소시켜 언어폭력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이 나날이 심각해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예방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실정을 감안할 때, 언어폭력상황에서 직접 실천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용 쑥 종묘 유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용도별 쑥의 소요량, 종묘 유형별 수확기 까지 소요일 및 수확량, 용기 크기와 쑥의 수확량, 유통조건에 따른 쑥 종묘의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쑥 종묘의 패키지 개발 및 쑥 종묘의 유통 방법을 유형화 하였다. 쑥의 용도별 소요량은 전, 쑥떡 및 쑥버무리기는 200g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10, 15 및 40g이, 실크 스카프 1개를 염색하는 데는 40g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 10cm를 기준으로 종묘 유형별 쑥의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은 실생이 39일, 삽목묘 32일, 1년생 근경이 25일 이었으며, 1차 수확시 수확량은 각각 0.3, 2.1 및 13.2g이었다. 쑥의 근경 및 묘를 예취한 것을 식재하면 27일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용기 종류 및 크기를 달리하여 식재한 결과 1차 수확시 포트(H 8.5 × R 10cm)에서는 13.3g, W 12.5×L 18.0×H 5.5cm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35.6g, W 12.5 × L 20.0 × H 10.0cm 용기에서는 39.4g을 수확할 수 있었다. 종묘는 저온에서 3일 동안 유통을 시켜도 품질의 변화가 없었다. 쑥 묘와 함께 용기, 원예상토, 배수층,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이용설명서 등을 패키지로 한 것을 이용하여 1개월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쑥 묘의 유통은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 쑥의 근경이나 묘 등과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이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감소를 돕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방안인 신체적, 심리·정서적, 파괴적 방법들에 도달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우울 감소를 위하여 개인이 선호하는 원에소재의 종류와 색을 조사하여 활동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전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평균은 62.86점에서 수행 후 48.71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z=-2.20a, p=0.03*),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전 우울의 평균은 26.71점에서 수행 후 18.14점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z=-1.78a, p=0.06).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for the last decades, and schools make efforts for education in the systematic environment.
To keep pace with trends such as the open school and the open clas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Parents’ active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ll provide excellent basis to operate environmental education efficiently and advise fruitful ope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a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of deciding the students’ life habits or attitudes about environment, their participation is greatly meaningfu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03 fourth and fifth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in Ulsan city that operated the model school for protecting the forest from March to December, 2009 and their par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interest in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Second,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Third,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Fourth,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parents’ participation attracted their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about school environment problems, and a lot of conversation and attent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mproved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This survey was performed with 262 dwellers who live in the city from April 1 to 30, 2009. The following analysis methods were execu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 tourism motivation and rural experiential tourism program preference of city dwellers. Rural tourism motivations are novelty experience, advantageousness, self-attainment, aesthetics, deviation, relationship, relaxation, and nature-scenery. And rural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farmhouse life experience, traditional rural culture experience, outdoor activities experience, wellbeing healthcare experience. Authors found that rural tourism motivations affect rural experiential tourism program preference. So, authors argue that rural tourism needs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설에 입소한 우울증상이 있는 노인들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각 6명씩 선정하여 9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매주 수요일,1회 1시 간씩 총 14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파 후에 노인 우울 측정지 (GDE Ⅱ)와 자아존중감 측정지률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매회기마다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울정도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헝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 23.5에서 실시 후 18.5로 강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여 주었으나, 대조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24.0에서 실시 후 24.0으로 변화가 없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 18.8에서 실시 후 27.3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19.0에서 실시 후 18.2로 약간 낮아졌다. 원예활동평가에서도 참여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대인관계능력, 운동지각 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웅력 릉 6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시설노인들의 우울을 개선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원예활통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