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업 부적응 등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밖 공간에서 학교 및 기타 학습공간으로의 복귀를 돕도록 기획된 단기 학습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 지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 지원하고 지역네트워크학교들이 실시했던 ‘징검다리 학습과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주제분석 및 계속비교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아이들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기관간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이들과의 관계, 프로그램 운영의 애로, 교사로서의 발전의 어려움 등을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가지는 지 논의하였다.
현재의 교실 수업은 입시중심 교실 수업, 교과 간 단절 상태의 단일 교과 중심 교실 수업, 학생과의 소통이 대체로 적은 교사 측의 일 방향 진행 수업의 형태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수업으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기대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창의성은 교과 간의 융합적 수업을 통해서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례 연구의 목적은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2009학년도 1년 동안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해서는 외부 평가위원들이 개발한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간’과 ‘인물’이라는 공통 주제를 가지고 10개 교과의 교과융합이 가능하도록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교과융합 프로그램 실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인 교육 성과물이 산출되어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창의적인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NLP 전략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제시전략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고루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아이디어산출형의 연구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아직 진로가 확정적이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명에게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에 진로지향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이 진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게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지향의 변화에 따른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를 더 확고하게 하는 등 이미 과학진로지향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 중 일부는 프로그램의 적용 후에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고, 일부는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등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축제와 행사 및 체험학교, 실내외 조경업체 및 화훼업체와의 취업연계를 위한 수요자 맞춤형 직업교육과정개발로 환경과 문화를 연계한 신 산업형 에코디자인 교육과정모델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개발을 위해 지역의 취업현황을 문헌조사하고 충남 지역 에코관련 산업체 전문가 및 에코디자인 교육전문가 20명을 전문패널로 구성하여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의한 인터뷰조사를 통해 핵심직무능력을 도출하고 이를 교육내용과 연계하여 에코교육프로그램을 시험적으로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천안거주 대졸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시험적 교육과정을 실행하였다. 이때 참가자의 프로그램별 만족도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전문패널의 검증을 거쳐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핵심 과목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산학연계 교육과정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은 수요에 맞춘 내용으로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필수 교육내용을 제시한 후 계속 교육환경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첨삭할 수 있도록 전문 직업 강좌, 이론 강좌, 실습 강좌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지역의 기술센터, 문화센터, 복지관, 식물원, 대안학교 등과 취업 연계 및 정보교환으로 교육내용을 피드백하는 유기적 교육모델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 본 연구는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교재 및 교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보완 된다면 궁극적 목표인 실무중심 교육과정 모델로 정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그 경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본 연구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집단발달단계의 시각에 따른 집단원예치료에 적합한 프로그램 구성을 제시하는데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위하여 선정한 108개의 실험에서 제시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Corey(1995)의 집단발달단계에 기초하여 한경희 등(2008)이 제시한 시작단계, 전환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단계를 분류하기 위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기본 총회기를 12회기로 보고 1-2회기 까지를 시작단계, 3-6회를 전환단계, 7-10회를 작업단계, 11-12회를 종결단계로 설정하였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집단원에치료프로그램의 단계별치료목표 분석에 따르면, 시작단계는 감각자극(11.9%),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9.3%), 자존감향상(8.6%), 인지능력의 향상(7.8%),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7,5%) 흥미와 호기심 유발(6.3%),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5.2%)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환단계는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1.4%), 자기표현, 감정표현 증진(9.3%), 자아존중감 향상(8.0%),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7.5%), 인지기능향상(7.5%),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2%), 성취감증대(5.4%), 감각자극(5.1%), 기억력증대(5.1%), 주의력의 향상(3.8%) 순으로 나타났다. 작업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 향상(13.9%),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0.7%), 감각자극(8.0%),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8%), 인지기능향상(7.0%), 자기표현, 감정표현의 증진(7.0%), 자존감향상(6.2%), 주의집중력 향상(5.6%), 협동심 향상(4.0%) 순이었고, 종결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9.2%), 소근육과 대근육의 운동기능향상(8%), 숙련도 향상(8%), 자존감향상(7%), 성취감 증대(6.1%), 주의 집중력 향상(6.1%) 등 이였다.
최근 스포츠와 체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동기이론 중 자기결정이론은 사회적 요소인 학습 환경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욕구는 동기를 비롯한 인지, 정서, 행동 결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 내 지도자에 의한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및 인지, 정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근거를 토대로 하여 자율성 지지(Reeve, 2002)의 정의와 내포하는 의미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현장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지도자에 의해 조성된 자율성지지 환경이 학생 참여자들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자기결정동기, 및 정서-행동적 참여인 즐거움과 노력 등 미래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과를 검증한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율성 지지를 적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의 중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지지, 자율성, 자기결정 동기(내적동기, 확인규제),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즐거움/재미와 노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자율성 지지의 영향력과 효과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paper suggests a multiple robot simulator which considers the uncertainties in robot motion and sensing. A mobile robot moves with errors due to some kinds of uncertainties from actuators, wheels, electrical components, environments. In addition, sensors attached to a mobile robot can't make accurate output information because of uncertainties of the sensor itself and environment. Uncertainties in robot motion and sensing leads researchers find difficulty in building mobile robot navigation algorithms. Generally, a robot algorithm without considering unexpected uncertainties fails to control its action in a real working environment and it leads to some troubles and damages. Thus, the authors propose a simulator model which includes robot motion and sensing uncertainties to help making robust algorithms. Sensor uncertainties are applied in range sensors which are widely used in mobile robot localization, obstacle detection, and map building. The paper shows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simulator by comparing it with a simulator without any uncertainty.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아동복지센터에서 방과 후 활동을 하고 있는 초등학생으로 8세에서 13세 아동이다. 대조군은 여자 2명과 남자 5명, 실험군은 여자 4명과 남자 3명으로 각각 7명으로 2008년 3월 5일부터 2008년 6월 8일까지 월요일 15시 30분부터 17시까지 주 1회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자기조절능력 평가 결과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전체점수가 원예치료 실시 전 59.57점에서 실시 후 65.29점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9)
본 연구는 도시소비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활동참가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도시소비자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하고자 충청북도 청주시 농업기술센터의 대회의실과 원예치료체험실, 시설하우스 등에서 주 1회 방문 시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2시간 동안,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 동안 1일 2회의 활동을 수행하여 2009년 3월 17일부터 6월 24일까지 총 12주, 총 24회 활동이 총 90명의 도시소비자에게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한 결과는 참여동기로 ‘프로그램 자체에 흥미가 있어서’가 41.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정보습득경로는 ‘주위의 소개로’가 76.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프로그램 참여시 주요 고려사항은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이 가장 높았고 본 프로그램 중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는 ‘꾸미기’가 60.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가장 만족스러웠던 활동은 총 응답의 27.4%가 ‘테라리움’이였고 가장 불만족스러웠던 활동은 ‘압화활동’이 6.8%로 나타났다. 이외 프로그램이 진행된 장소의 거리와 위치, 이용료, 수강기간, 진행요일, 진행시각, 회기별 시간, 참가인원, 진행요원 수, 강사, 참가자들의 태도, 시설 분위기, 재료 및 도구, 충실도, 교육수준, 사회적 교류 증가도, 여가활동 시간증가 정도, 전문지식 및 기술증가정도, 흥미정도, 지역내 농특산물 및 원예식물 구입 가계소비를 포함한 전체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가 47.8%, ‘보통이다’가 37.7%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과 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P지적장애 생활시설 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2007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주 1회 금요일 총 38회 실시하였다. 손기능 평가 결과 악력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후 왼손이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손목 테스트의 경우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서행동 척도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항목 충동, 우울, 불안, 그리고 현실감 부재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기능과 정서행동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In 1977, the Main Street Program(MSP) of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by the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to revitalize downtowns which suffered major declines in their economy and popu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ology of MSP such as the Four-Point Approach and the Eight Principles, history of MSP, local program organizational structure, local program budgets and funding, official designation and so on. Three successful cases were discussed the background of an introduction to MSP, implementations, results and revitalization statistics. To be able to apply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this study showed the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for a program's ethic and methodology, a strong public-private partnership, a dedicated organization, a full-time professional program manager, a commitment to good design and comprehensive work plan, and an educational program of ongoing training for staff, volunteers and other residents.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D대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및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프로그램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원의 학습공동체는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나(평균 4.30점, 5점 만점), 운영적인 면에서는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3.79점). 둘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수들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평균 4.54점), 2회 이상 참여한 교수들은 전체의 43%(50명)을 차지한다. 셋째, 교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한 교수들 중 강의경력이 4-7년 된 교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는 대학교원을 위한 유용한 교수능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었다.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에게 동료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배운 지식을 자신의 강의에 활용하도록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다. 특히, 전공별로 적합한 교수법 연구 및 개발, 교재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는 대학교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재정지원을 통해 공동체에서 목표로 한 일을 실행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참여자의 자발성 및 동료들 간의 협력 등 비물질적 요인이 공동체 운영의 실제적인 요소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산의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5일부터 11월 13일까지 매주 1~2회, 회기 당 30~40분씩 총 14회에 걸쳐 유치원 교실과 옥상에 위치한 실외 텃밭에서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영·유아발달영역의 인지와 정서 영역에 기초하여 유치원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표현생활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1회기~8회기까지는 식물을 직접 기르며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는 것과 자연 환경에 대한 학습 활동으로, 9회기~14회기까지는 자신과 또래, 그리고 환경에 대한 정서적 표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물인 상추, 깻잎, 쑥갓은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르기에 쉬운 식물로서 재배 시기와 재배 장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4가지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되었다. 결과에서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예교육이 체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 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이들의 직업재활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K고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지적장애학생 8명을 대상으로 1차시기 2008년 3월부터 7월까지, 2차시기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월요일 2시간씩 총 30회기에 걸쳐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를 실시하고 지적장애학생들의 대인관계, 우울, 사회행동, 악력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대인관계 하위요인 만족감(p=.003), 의사소통(p=.000), 신뢰감(p=.001), 친근감(p=.003), 민감성(p=.003), 개방성(p=.000), 이해성(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둘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우울 하위요인 부정적인 태도(p=.000), 수행상의 어려움(p=.001), 신체적 요소(p=.002)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셋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사회행동 하위요인 언어적 행동(p=.000), 비언어적 행동(p=.006), 대화의 내용(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넷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43).따라서 본 연구의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이 직업을 가지고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학생 개개인의 독특한 행동요소들을 개선시키고 직업적응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훈련방법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운동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를 검토하기위해 남자 대학교 신입생 115명을 대상으로 1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주당 3회, 저항성 운동, 유산소성 운동, 유연성 및 평형성 향상 운동 등 복합운동으로 구성하였다. 체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체력요소(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들의 변화 정도로 검토한 후,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체력요소들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가 모든 요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복합운동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