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 주부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일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 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향후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원예치료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일반주부들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일상적 스트레스감소에 게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시장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많은 게임 피해사례들이 증가하고 그 사례 또한 매우 다양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봇(Bots)'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게임의 몰입도 뿐만 아니라 보안 측면에서도 맡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게임 제공 업체에서는 클라이언트 단에서 packet을 분석하여 봇를 분별하려 하지만 클라이언트 단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므로 그 정확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서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사용자 및 봇의 행동 패턴을 모델링하고 이를 비교하여 봇 검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비교 모델을 완성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들어 심각해져가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하여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안 방향을 설정하였고, 중등교사 147명과 중고등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에게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교사의 정서적 지지 기술․평가적 지지 기술․정보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으로 하여 예비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가들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이렇게 최종 구안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D시에 근무하는 중등교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4주에 걸쳐 주 2회기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은 동수의 중등교사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사전-사후 점수를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학습기술 검사에 포함된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5개의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읽기의 6단계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11회기의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28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명철, 정태근(2001)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맞게 제작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수업적용 가능성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정보사회와 컴퓨터 과목에서 ‘VI. 정보처리의 이해’ 단원에 대해 컴퓨터 실습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중심으로 주제통합형 수업을 설계하고,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주제통합형 수업을, 비교집단은 기존의 실습형(이하 주제독립형) 수업을 실시한 후에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주제통합형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주제독립형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히 여학생 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남학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향상되어 주제통합형 수업이 성변인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만족도 검사에서는 주제통합형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공적 요인으로 중시하는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남대학교에서 지난 4년 동안(2005-2008) 개발하여 운영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결과,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유형은 ‘글쓰기 강사 워크숍’, ‘특별 연수 프로그램’,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한 교수공동체’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글쓰기 강사 워크숍’의 주제는 교재 분석, 강의안 개발, 피드백 사례 공유 등이었다. ‘글쓰기 강사 워크숍’의 효과 분석을 위해 9차 워크숍에 참여한 43명의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결과, 워크숍은 실제 강의에 도움이 되며, 워크숍에 많이 참석한 강사들이 적게 참석한 강사들보다 강의에 어려움을 덜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유념해야 사항을 ‘프로그램 목적의 명료화’, ‘워크숍 참여의 의무화’ ‘평가의 중요성’ 등 세 가지로 나눠 논의했다.
최근 미-북간 관계 개선 등으로 인하여 북핵 문제가 핵 검증단계로 진전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제부터 우리 정부는 북핵 프로그램의 성공적 검증·폐기를 위해, 북한의 신고 후 전개될 상황에 대비하여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소련과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검증·폐기 사례로부터 두 나라의 대량살상무기 검증·폐기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여, 북핵 검증·폐기 과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행동지속을 위한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노인복지관에서 생활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 등 총 50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은 윤기운(2008)이 제안한 운동심리상담 모델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기초욕구평가, 심층적 평가, 목표구성 및 기초실행, 응용모델 실행, 결과 및 평가의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성되었다.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상담 전후에 운동참여지속성, 운동결과기대, 운동만족을 측정하였고 SPSS 14.0과 AMOS 6.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결과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심리상담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동심리상담은 노인의 운동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omposed over a period of 10 times and was performed to be conducted in an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08 by selecting 32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32 control group students from OO Middle School in the Busan area.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IM(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 was composed by selecting a the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mong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which influenc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after apply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IM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IM is more effective among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an control group students in regards to environment-friendly sensitiv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IM is more effective among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an control group students in regards to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Third, it was seen that even students responded very favorably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