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고대 순환론이 과거 지향적 사고가 아니라 동 아시아의 독특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이었음을 논증하는 것이 다. 첫째, 엘리아데가 영원회귀의 신화에서 제시한 ‘원형과 반복’을 이용하 여 고찰한 결과, 고대 동아시아 순환론이 근대에 직선적 시간관으로 발전하지 못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동아시아인들은 고대 히브리 민족과 같은 강력한 힘을 가진 절대자 창조신을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래로 추동해 나갈 힘이 약했으며, ‘자연’을 ‘원형’으로 삼으면서 자연 주기와의 동조성이 강해 순 환론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둘째, 고대 동아시아 순환론이 과거를 중시하는 보수적 사고임에도 기원후 18C 이전까지 천 수백 년간 동아시아가 서구보다 선진 문화와 문명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고대 서구인들은 ‘원 형’을 체험하는 순환의 과정에서 ‘과거 시간’을 폐기했지만, 동아시아인들은 순환의 과정에서 ‘과거’를 축적하여 후대에 계속 활용할 수 있는 지식·정보 DB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주업이 정주 농경인 동아시아는 자연 주기에 동기 된 지식정보를 축적하는 데에 서구보다 유리했으며, 이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여 기원후 서구를 능가하는 번영을 이룰 수 있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에서 과거를 소중히 하고 순환론을 선택한 이유는 과거 지식과 정보를 재활용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라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과거지향의 소극적 사고로 평가 하는 것은 서구 중심적 관점이라 할 수 있다.
Hyperoxaluria is a disorder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stones, one of the most common conditions. For people with hyperoxaluria,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ffective therapeutic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oxalate-degrading enzyme, oxalate decarboxylase (OxdC), can inhibit crystallization of calcium oxalate (CaOx) in vitro, and whether it can prevent nephrolithiasis caused by CaOx induced by ethylene glycol (EG) in rats. When OxdC was appli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CaOx in vitro,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rystallization of CaOx. The OxdC was found to inhibit crystal formation as well as the formation of crystals that had sharp edges. In animal experiments, ra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EG showed impaired renal filtration functions, as well as increased deposition of CaOx crystals and the creation of kidney stones. It has been fou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OxdC to rats with chronic EG-induced nephrolithiasis that is characterized by CaOx intratubular crystal deposits with hyperoxaluria dramatically reduce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 to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treating human hyperoxaluria as well as CaOx nephrolithiasis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OxdC.
콩은 높은 단백질 함량과 다양한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식품 및 사료 산업에 필수적인 작물이다. 그러나 농촌 인구의 고령화와 저렴한 수입 콩으로 인해 국내 콩 생산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업 기계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며, 특히 콩수확기의 선별 메커니즘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CFD-DEM 결합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콩수확기의 선별장치 내의 유동 역학과 입자 움직임을 분석하여 선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한 진풍 콩(Glycine max (L.) Merrill)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별장치는 콩, 콩대, 줄기를 분리하여 콩알만 수집하도록 설계되었다. 실험 중에는 콩 줄기를 균일하게 투입하여 분리율과 수집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동 분석을 위해 표준 k-ε 난류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CFD-DEM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선별 장치 내의 내부 유동과 입자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추가로 CFD 분석 결과를 DEM 시뮬레이션에 활용하여 Ganser 항력 모델을 적용하여 콩과 콩대의 분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CFD-DEM 결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콩수확기의 선별 장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팬 회전속도를 결정하였다. 실험에서 팬 회전속도는 각각 900 rpm, 1,000 rpm, 1,100 rpm, 1,200 rpm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선별장치에서 측정한 풍구 회전 시의 공기 유속과 시뮬레이션 에서 팬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 유속 간의 RMSE 값은 0.64 m/s에서 1.12 m/s로 나타났다. 풍구 회전수에 대한 콩의 수집률을 시뮬레이션 결과 풍구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수집률이 감소했으며, 900 rpm일 때 최대 94.08%의 수집률을 보였다. 콩대와 콩줄기 분리율의 경우 900 rpm과 1,000 rpm에서 55%~60%로 낮은 효율을 보였다. 1,100 rpm에서 86.38%, 1,200 rpm일 때 86.14%의 분리율이 측정되었다. 콩 수집률과 콩대 분리율 모두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려면, 풍구 회전수는 1,100 rpm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the toxicity of a singl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and th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at the diagnostic dose were confirmed.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nce at a dose of 0, 0.67, 2.0, and 6.0 mCi/kg to 5 male and female rats per group. Mortality, general symptom observation, and weight measurement were performed for 2 weeks, followed by observation of autopsy findings. There were no death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weight change was observed. No abnormal systemic signs related to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were observe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echnekitty injection (Tc-99m) can be safely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doses up to 6.0 mCi/kg. Additionally, technetium-99m at an average dose of 2 mCi (74 MBq) has been verified as a diagnostic dose without adverse effects, allowing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to be used safely without side effects at this dosag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has a wide safety margin, supporting its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Moreover, these findings align with the nonclinical safety standards for radiopharmaceuticals, reinforcing its utility in veterinary medicine.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for clinical diagnosis as a veterinary drug in Korea.
본 연구는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를 활용한 인력파종 및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를 활용한 기계파종을 비교하여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여름감자 파종작업에 대한 작업효율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작업효율은 일정 면적을 파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도출하였다. 동일한 작업효율을 가지는 조건에서 인력파종 및 기계파종의 연간 고정비와 연간 유동비를 산출하여 각 파종작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고정비로는 감가상각비, 이자 및 수리비를, 유동비로는 인건비와 유류비를 고려하였다. 또한, 총비용 소요 분석을 통해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가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 대비 경제성이 높아지는 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파종이 인력파종 대비 약 4.6배 높은 작업효율을 보였으며 파종률은 두 방식에서 모두 100%로 나타났다. 경제성의 경우 구매 비용은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가 높았으나, 인건비 측면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보였다. 이에 따라 4년 9개월 이후부터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의 총 소요비용이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의 총 소요비용 대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계파종이 인력파종 대비 생력화 효과가 크며 경제성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 덖음 꽃차 8종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radical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LO), 산수유(Cornus officinalis, CO) 및 카모마일(Matrecaria chamomilla) 꽃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21, 13.39, 12.39 mg gallic acid equivalent/g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 CO, 및 매화(Prunus mume) 꽃차 순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은 10,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특히, LO와 CO 꽃차 추출물은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100 μg/mL 농도에서 CO, LO, 및 목련(Magnolia kobus) 꽃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70%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식용 덖음 꽃차는 radical 소거 활성 및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LO와 CO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과 성공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에서는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불안의 원 인과 불안 극복의 맥락, 극복 전략, 결과를 분석하고 인문학 전공 대학생 들의 취업 성공을 지지할 수 있는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인문학 전공을 했으나 취업에 성공한 5명의 직장인이 참여했다. 자료는 1:1 심층면담으로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 분석 결과 59개의 의미 요약 과 16의 범주가 나타났다. 이러한 범주를 취업 불안의 원인, 불안 극복 의 맥락, 극복 전략, 결과의 분석 단위에 재배열했다. 결과는 일의 진정 성, 더 좋은 세상 만들기의 정체성, 사회적 통찰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했고,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능력 강화를 위한 논의와 제언을 했다.
Thyroid scanning using technetium-99m (99mTc) i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feline hyperthyroidism. In cats with an overactive thyroid, a thyroid scan is the most appropriate imaging technique to detect and localize any hyperfunctional adenomatous thyroid tissue. In this study,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developed as a diagnostic agent for feline hyperthyroidism using 99mTc as an active ingredient, were tested in FRTL-5 thyroid follicular cell line and ICR mice. The percentage of cell uptake of the Tc-99m in FRTL-5 thyroid cells was 0.182 ± 0.018%, which was about 6 times higher compared to Clone 9 hepatocytes. This uptake decreased by 38.2% due to competitive inhibition by iodine (sodium iodide). In tissue distribution tests by using ICR mice, the highest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liver, kidneys, spleen, lungs, and femur at 0.083 hours after administration, and this distribution decreased as the compound was excreted through the kidneys, the primary excretory organ. Maximum distribution was confirmed at 1 hour in the small intestine, 6 hours in the large intestine, and 2 hours in the thyroid gland. Additionally, the total amount excreted through urine and feces over 48 hours (2 days) was 78.80% of the injected dose, with 37.70% (47.84% of the total excretion) excreted through urine and 41.10% (52.16% of the total excretion) through feces. In conclusion, the Tc-99m has the same mechanism of action, potency,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characteristics as 99mTc used for feline hyperthyroidism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other countries, because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contains 99mTc as its sole active ingredi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chnekitty injection (Tc-99m) is expected to be safely used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feline hyperthyroidism.
본 연구는 중국 근대 여성교육과 미션계 교육의 상관성을 역사적 맥락 속 에서 분석하고, 19세기 말 서구 열강의 영향으로 전통적 교육에서 근대적 여 성교육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아편전쟁 이후 중국은 외세 의 침략과 내적 혼란 속에서 국가의 자강과 부흥을 도모해야 했고, 이러한 맥 락에서 교육 개혁이 필수 과제로 부상했다. 특히 여성교육은 기존의 유교적 전통에서 배제되었던 여성들에게도 근대 교육을 통한 자아 확립과 사회적 참 여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로 주목받았다 . 본 연구는 미션계 교육의 주요 특 성을 서술하고, 미션계 여학교들이 종교적 목적 외에 여성의 사회적 역할 확 장을 목표로 서구의 다양한 교과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킨 점을 강조하였다. 미션계 여학교는 서구식 교육과 기독교적 가치를 중국 여성들에게 전달하며 사회 전반에 서구 사상의 수용을 촉진하였다. 이는 여성해방 사상을 불러일으 키며,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에 대한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한편, 중국 내에서는 양무파, 유신파 등 사회 개혁가들이 자강의 일환으로 자발적인 교육 개혁 을 추진하며, 중국 전통을 반영한 여성교육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개혁의 일 환으로 중국인이 설립한 여학교들은 서양식 교육과정을 도입하되 민족주의적 성격을 담아내며 근대적 변화를 도모하였다 . 본 연구는 미션계 교육과 중국계 여성교육이 상호 영향을 주며, 중국 근대 여성교육의 발전에 기여했음을 논하 였다. 미션계 교육은 서구식 학문과 기독교적 가치관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중국계 여학교들은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한 교육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참여를 확대하고 남녀평등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eeding behavior and growth performance of 31 Hanwoo steers (10 months old; 278 ± 36.13 kg) within a precision livestock farming system using Roughage Intake Control (RIC) units for real-time data collection. Feeding behavior traits were derived from RIC database data using R software, with subsequent analysis conducted using SAS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eers visited the feed stations every 31.12 ± 11.99 minutes, averaging 11 ± 3.37 visits/day. Each feeding session lasted an average of 5.90 ± 1.55 minutes, resulting in a feed intake rate of 77.98 ± 22.53 g/min. Mean daily feed intake was 4.76 ± 1.36 kg, and body weight increased consistently, reaching an average of 412 ± 43.44 kg, with an average daily gain (ADG) of 1.26 ± 0.38 k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visit duration (r² = 0.621; p < 0.01) a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feed intake duration (r² = −0.445; p < 0.05), indicating behavioral adapt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feeding behavior traits concerning growth performance,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animal behavior and its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while emphasizing the role of advanced technologies in optimizing feed utilization in confined livestock systems.
Fetal Bovine Serum (FBS) plays a crucial role in animal cell culture;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bovine fetuses used and sacrificed solely for FBS collection has raised ethical concerns globally. The welfare of fetuses during FBS blood collection has become a key focus of debate among animal welfare and ethics organizations worldwid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heat-inactivated coelomic fluid (HI-CF) from the earthworm Perionyx excavatus may serve as a viable FBS alternative in adherent cell cultures. This study evaluates the potential of HI-CF as an FBS substitute during the in vitro maturation (IVM) stage of bovine embryo culture, with a focus on improving developmental rate through antioxidation effects. In this study, 2% HI-CF was incorporated into IVM media, assessing its impact o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ntioxidation. The group of 2% of HI-CF exhibited a trend toward increased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antioxidant genes such as NRF2 and GS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 trend toward increased expression was observed. Conversely, GPX1 displayed a trend of decreased expression. Notably, IGF1 and NQO1 were significant upregulated (p < 0.05) in the 2% HI-CF group. Additionally, oocytes stained with H2DCFDA showed a significantly reduced ROS levels (p < 0.05) in the 2% HI-CF group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CF's antioxidative effects support enhanced cell growth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 surpassing those observed with FBS. Consequently, HI-CF shows promis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FBS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Non-human primates, due to their high genetic similarity to humans, are used as laboratory animals in biotechnology researches. The growing demand has recently led to a shortage of primate resources, which has become a significant issu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hortage has been further exacerbated by the COVID-19 pandemic.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resource conservation through effective primate management is increasing.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proper quarantine procedures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 Quarantine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protects not only animal health but also public health significance. Non-human primate quarantine procedures were organized in order.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quarantine procedur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US, EU, and Australia. In addition, the etiology, clinical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of representative infectious diseases of quarantine concern (tuberculosis, monkeypox, monkey immunodeficiency virus, salmonellosis, and shigellosis) were summarized. A literature review of nonhuman primate quarantine procedures in other countries revealed minimal differences in the basic structure. The quarantine periods were similar around 30 days, but we found some differences in details such as legal requirements, documentation forms, and quarantine authoriti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ing method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enhancing quarantine management methods.
본 연구는 액티브 명상의 방법 중 걷기 명상과 관련 연구에 대한 국내 연 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24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걷기 명상에 관한 논문 19편을 대상으로 2명의 평정자가 발행연도, 논 문성격,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걷기 명상을 주제로 한 논문은 2004년도 학위논문 1편을 시 작으로 이후 지난 20년간 꾸준히 발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 구동향에서 연구대상은 유아가, 성별로는 여성이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동향에서 연구자가 분류한 5개의 주제영역 중 기타 영역, 정서 영 역, 생물학적 영역의 순으로 연구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 법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분포하고 있는 22개 오름의 식물상 자료를 활용하여 식물 생육형별 종풍부도에 대한 경관(오름 면적, 오름 높이, 오름 임상 다양성, 500m 내 녹지 면적) 및 환경인자(기후인자, 토양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2개의 오름에서 총 153과, 486속, 870종의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각 오름 내 종수를 활용하여 생육형별 종풍부도를 산출하였다. 식물의 생육형별 종풍부도의 제어인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모형추론법과 일반최소자승법을 수행했다. 그 결과, 오름 내 식물의 종풍부도를 제어하는 주요인자는 오름 면적, 높이 및 임상 다양성과 기후인자로 나타났다. 반면, 경관적 연결성을 대변하는 오름으로부터 500m 내 녹지의 면적과 토양인자는 종풍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면적 관계 이론에 기반한 면적효과와 서식지 이질성 효과의 증가는 균등한 자원분배와 다양한 서식지 유형을 야기하여 식물의 종풍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기온 감소와 강수량 증가는 식물의 수분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종풍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기온 및 강수량에 따른 강한 환경 여과 효과는 이러한 기후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토양인자와 분산 여과 효과정도를 대변하는 500m 내 녹지 면적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면적이 작고 서식지 유형이 단순한 오름은 종의 멸종과 개체수 감소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름 내 서식지 이질성을 높이거나 환경에 적합한 식물종을 도입하는 등 경관 및 환경인자를 고려한 구체적인 관리전략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현재의 표고버섯 시장 및 수급상황과 신선 표고버섯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접종배지의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에 사용한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도별 시계열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전대수를 적용한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수요의 가격 탄성치는 –1.10%로 나타나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수요량은 1.10% 감소하였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공급량은 0.33%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톱밥접종배지가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과 최근의 소비시장의 상황을 반영한 모형을 추정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선 표고버섯의 원산지 변경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과 톱밥접종배지 생산자에 대한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정책실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자립준비청년은 원 가정에서 분리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가 종료된 뒤 자립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이들은 경제적, 교육적, 심 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 복지부 중심의 자립지원정책이 2019년부터 본격화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와 논의들은 자립지원정책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본 연구는 정책자료와 학술자료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립지원정책은 부처 간 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자립준비청년 간 자립역량과 자립수준의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현 정책은 청년이 된 이후의 지 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청소년기부터 개인별 자립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로드맵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의 개선 방안으로, 자립지원 전달체계의 통합과 자립지원 방식의 다 각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분야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림기능구분도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산주, 공무원, 임업 분야 종사자, 연구원으로, 이들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활용 현황 및 개편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성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제도나 지침에 따른 형식적 경영계획 수립을 지양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산림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 및 단순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생활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보전기능과 수원함양기능이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경관 제공,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 산림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기능은 추가적 고려 및 강조가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기능구분도의 개편 및 중장기 산림 관리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는 209종의 수록 화학염색한지의 색상과 색 특성을 조사하고, 2개사로 부터 오방색과 오방간색과 유사한 화학염색한지의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국내 화학염색한지는 먼셀의 10색상이 모두 있었으며, R과 YR 계열 색상이 각각 17 %로 가장 많았고, 이어 Y (15 %), RP (13 %), PB (11 %), GY (10 %), P (5 %), G (5 %), B (3 %), BG (3 %) 계열의 순으로 청색계열의 색상이 가장 적었다. R, YR, G, B, RP 계열의 화학염색한지는 각 계열의 거의 모든 색상의 한지가 제조되고 있었으나, BG, PB, P계열 화학염색한지 의 색상범위는 다른 색상의 화학염색한지 보다 좁았다. 2개사의 오방색과 오방간색 화학염색한지에 대하여 72시간 자외선 조사처리에 의한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72시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상이 변한 것은 B사의 자색 화학염색한지의 색상이 9.9RP에서 1.1R로 변한 것 외에는 없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의 화학염색한지에 대해 72시간 자외선 조사 후의 색차는 황색(btY) >> 벽색(btB), 유황색(mY) > 녹색(myG), 홍색(vpR), 자색(dpR) > 적색(srO) > 청색(sB) > 흑색(Bk), 백색(미염색한지 : Wh)의 순이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으로 화학염색한 한지안에서의 색 견뢰도는 황색이 가장 좋지 않으며, 흑색과 백색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독일의 문학가 괴테의 1774년 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을 중심으로 청년기 자살생각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사랑과 자아존중 감의 직간접적 사례를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청년기 발달과업 획득과정 에서 삶의 특정한 과제와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한 요인으로 사랑과 자 아존중감은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문학작품은 친 구의 약혼녀에 대한 괴테 자신의 실연경험과 친구의 자살을 소재로 쓴 서간체 형식의 소설이다. 감수성이 풍부한 청년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고, 괴테를 국제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이 작품은 자살을 소재로 하고 있어서 베르테르를 따라 자살하는 사건이 아직도 잇따르고 있다. 텍스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랑과 자아존중감은 청년기 자살생각에 대한 보호요인으 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 대로 청년기 자살생각에 대한 예방적 보호요인으로 사랑과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review examine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practical enteric methane emissions from ruminants, considering their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warming. Global warming is significantly driven by an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with rising methane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accelerating global warming recently. To successfully mitigate CH4 emissions and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it is essential to apply reliable measurement techniques. This will allow for an accurate assessment of on-farm CH4 emissions. The priority should be to gather CH4 emission data that reflects the actual state of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The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ethods used to measure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by compiling existing researches. It introduces the concepts,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these methods to facilitate comparisons between existing approaches. This review discusses methods for measuring enteric CH4 emissions from ruminants at the farm level, including the tracer technique, laser methane detector, GreenFeed, and sniffer system. These methods are highlighted as potential tools to accumulate substantial data on on-farm CH4 emission from domestic animals with provides examples of international cases. Among these, this review introduces the Sniffer method, a CH4 emission measurement techniques that are suitable for on-farm use under domestic condition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ts application. In addition, by presenting international cases where predictive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on-farm CH4 measurement techniques, it is projected that if predictive models for CH4 emissions are developed by accumulating data at the farm level, it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livestock industry in various promising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