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2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의 환기제어시 외기온도와 풍속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온실내 온도제어성능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 퍼지제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제어로직이 복잡하여 대용량 메모리를 갖는 컨트롤러가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용량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순퍼지제어 알고리즘을 개 발하여 시험하였다. 개발한 단순퍼지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텝제어 알고리즘 을 도입한 제어프로그램으로 온실의 천창환기에 의한 온도제어를 실시하여 두 알고리즘의 성능을 직접 비 교하고, 또 PID 및 표준 퍼지제어 성능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 성능을 평가하므로써 온 실의 환기냉방제어의 유리한 제어기법을 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단순 퍼지제어에 의한 실내온도 최대 제어오차는 1.2℃, 1시간동안의 평균환기창 적산열림량과 조작회수는 각각 84%, 13회 로 나타났으며, 문헌조사에 의한 퍼지제어에서 각각 1.3℃, 75% 및 12회에 비해 동등한 제어성능을 보였 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순퍼지제어는 제어로직이 PID제어보다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스텝제어와 PID제 어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퍼지제어와 동등한 제어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ernative subirrigation way, capillary wick system (CWS) was tested to reduce labor cost, waste water,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and use of fungicide compared to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CWS helped reduce remarkably the working hours for watering from 4 hours in OSI to just 5 minutes. Labor cost was saved 98% in CWS compared to OIS.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wing media, 1 coconut coir+2 perlite (v/v) mixture was selected because it had an ideal distribution of three phase, e.g. 1 solid: 1 liquid: 2 gas phase. Medium mixture containing scoria had so high bulk and particle density to hurt root. In bark-containing medium, the liquid phase and the percent saturation of liquid phase with time elapsed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mixture. It meant that the mixture contained very low level of water. Application of CWS for cyclamen pot produ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ncident of fusarium wilt symptom from 18% in conventional over watering system to 4%. Cyclamen pot irrigated by capillary wick had shorter petiole and more leaves than those by overhead watering. As a result, this system was highly beneficial to get uniform pot products with high quality. It improved water and nutrient solution efficiency relative to conventional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4,000원
        2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sodium hypochlorite and ethephon on the germination of narrow-leaved purple coneflower (Echinacea angustifolia) was investigated. Treatment of seeds with ethephon (1 mM) for 2 h followed by soaking in 0.525% sodium hypochlorite greatly increased germination (>90%). The treatment of seed with a combinati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ethephon shortened number of days required to reach 50% of the final germination (T₅₀) from 4.2 days in control to 1.1 days. Seedlings grown from ethephon-treated seeds had shorter and thicker hypocotyls and roots with higher dry weight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ame trend was observed during seedling emergence from soil. Ethephon treatment longer than 2 h resulted in weaker seedlings, probably due to leaf senescence. Anthocyanin content in seedling leaves increased linearly from 0.04 mg/g fresh weight in control to 3.72 mg/g fresh weight in 24 h treatment as the time of seed exposure to ethephon increased. Seed treatment with bleach and ethephon may well be practiced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E. angustifolia in the field.
        4,000원
        2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ripeness stages on fruit quality of chilli pepper (cv. Nockgwang) during storage at 5, 7, and 10 . Fruits ℃ at three ripeness stages were selected based on uniform fruit size and three maturities on peel color: S1 (fully developed fruit just before the onset of ripening), S2 (fruits in the onset of color change), and S3 (fruits in completely red in color). Lower temperature attributed to increase fruit weight loss (WL) and WL was higher in S2 than the other ripeness stages. The highest respiration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was found at S2 fruit while those of fruit in green and red showed similar and remained lower level during storage. Electrolyte leakage (EL) was higher as storage temperature decreased. After 28 d storage, EL rates of fruits at 5℃ were 43, 36, and 17% in S1, S2, and S3 while those at 10℃ were 17, 19, and 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chilli pepper fruits are tended to lose more water at lower temperature partially associated with increased EL. Thus, threshold storage temperature must be considered for avoiding chilling during storage and for extending the storage life of fresh pepper fruits.
        4,000원
        2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로에 껍질과 육질 추출물이 Collectrichum gloeosporioides, Fusarium oxysporum, and F. solani 의 세 가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알로에 추출물의 용매 및 농도별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용매의 종류에 따른 알로에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은 C. gloeosporioides, F. solani에 대하여 물>메탄올>에탄올의 순서로 항균활성이 높았다. 알로에 껍질과 육질추출물의 항균활성에 있어서 F. oxysporum은 껍질 추출물에서, C. gloeosporioides와 F. sloani는 육질 추출물이 활성이 높아 껍질 보다는 육질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알로에 육질의 물 추출물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은 F. oxysporum는 100㎕/ℓ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000㎕/ℓ의 농도에서 9.5%의 항균율을 보인 반면, C. gloeosporioides 100㎕/ℓ의 농도에서 활성반응을 시작하여 100,00㎕/ℓ의 농도에서 최고 29.3%의 항균율을 나타내었다. F. oxysporum에 대한 알로에 육질 추출물 엽면살포 처리의 방제효과는 육질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방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g/ℓ 농도 엽면살포 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6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n vivo에서도 F. oxysporum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내어 예방차원에서의 알로에 육질 추출물 엽면살포 처리는 F. oxysporum에 의한 시들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2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빗자루병에 의하여 심각하게 이병된 제주도 5.16도로의 왕벚나무 가로수들에 대하여 피해 상황과 이병 발병 원인을 생태적으로 밝히고 그에 따른 방제 대책을 마련키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왕벚나무 가로수 중 45년생 이상의 노거수들은 거의 모두가 심각한 정도의 빗자루병에 감염되었으며, 30년생 역시 모든 나무들이 감염되었으나 중간 정도의 발병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수령이 23년생 미만의 왕벚나무들은 병징을 찾아볼 수 없는 건전주로 생장하고 있었다. 3년 주기로 전정 작업을 실시한 제주대학교 입구에 식재된 왕벚나무에서는 도로변 남쪽면의 나무들이 북쪽면에 비해 병 발생이 심하고 생육 또한 저조하였다. 병 발생이 심각한 산천단으로부터 견월악까지의 횡단로 좌우 인근 30m내에 자생하는 벚나무들은 수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병 발생이 경미하였다.
        4,000원
        27.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화 재배온실에서 사용되고 있으면서 수작업 시 많은 노동시간이 요구되는 국화 유인네트를 대상으로 작업의 소요시간을 대폭 절감시켜 재배 작기를 증가시킴은 물론 국화재배용 유인네트의 베드를 기존 및 신축 국화재배 온실에 보급할 목적으로 네트의 베드를 설계한 후, 베드 및 기존 온실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총 15종류의 부재에 대한 단면의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검토하고 각각의 부재에 대한 응력비를 검토한 결과, 이들 파이프 중 ∅38.1×1.7t와 ∅38.1×2.0t의 경우, 응력비는 초과하지 않았지만 처짐의 제한 값인 10mm를 초과하였으므로 응력비와 처짐의 제한 값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 파이프는 ∅48.1×1.5t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인네트의 베드를 중방에 설치할 경우, 베드 하중, 풍하중 및 설하중 때문에 중방은 트러스로 설계되어야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방을 트러스로 시공할 경우에도 풍하중 및 설하중이 작용하면, 베드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창지역의 국화재배 온실의 경우, 기둥과 방풍벽에 발생되는 응력은 허용응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적절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to grasp how many particulate matter (PM) which is a problem in urban area are absorbed and removed by street trees. The morphology, size and element composition of PM deposited on leaves of five street trees (Quercus glauca, Q. myrsinaefolia, Ginkgo bilob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Pinus densiflora) in Jinju city, South Korea were analyzed. The size of PM was classified into three as PM2.5 (0.2~2.5 μm), PM10 (2.5~10 μm), and PM100 (10~100 μm). The element composition of PM deposited on the leaves at the study sites mainly comprised of O, C, N, Si, and Al. The PM at industrial area and university campus was irregular and spherical shape, respectively. Total PM accumulated on the leaf surfaces of P. densiflora was 71.65 μg/cm² at industrial area and 40.66 μg/cm² at university campu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pecies. The ratio of PM2.5, PM10, and PM100 deposited on the leaves was 9.2%, 37.0%, 53.8% at industrial area and 15.8%, 27.1%, 57.1% at university campus, respectively. P. densiflora deposited the most PM2.5, PM10 and PM100 in leaf wax at the study site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pecie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