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17

        6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발생양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국제 무역 및 해외 여행객 증가로 인한 외래 병해충 유입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대표적인 비래해충 중의 하나인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ål, 1854)의 발생 범위, 출현율 및 빈도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피해를 호소 하는 농가들이 많아진 반면, 이들에 대한 대응책은 피해발생의 불규칙성, 이전 자료의 부족 및 불명확성으로 인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대비해 벼멸구의 온도발육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자료, NCPMS와 더불어 연발생 횟수와 분포 가능 범위 및 발생 시기를 예측하였다. 또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던 충남 예산, 경남 사천, 진주의 최초발생일, 최초비래일, 최고발생일, 발생최성일 기준으로 각각 발육영점온도 및 유효적산온도를 적용하여 세대별 발생시기를 예측하였다. 최초발생일과 최초비래일은 예산 7월 9일, 7월 16일, 사천 7월 2일, 7월 19일, 진주 7월 26일, 7월 26일로 나타났으며, 최초발생일과 최초비래일 사이를 초발생일 로 적용하면 다음세대 발생이 실제 조사한 지역별 최고발생일인 예산 9월 7일, 사천 8월 9일, 진주 8월 8일과 근접 한 시기로 추정되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6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various insect species for healing resources and develop a healing program in order to use insect as a healing agriculture. In this study, there are two kinds of breeding kit were developed, one for Gryllus bimaculatus and the other for Oxya chinensis sinuosa. Using these insect breeding kits, we conducted a survey of 60 children and the elderly. In the case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e insect breeding satisfaction showed that 30.6% said that the sound of crickets was very good, and 11.1% said that it was good. In addition, the higher the child's awareness of insect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hildren who wanted to raise insect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 survey of seniors, 45.2% do not like insects and 51.6% are not interested, meaning that most seniors are not very interested in insects. However, the emotions after breeding insects showed positive results, with 45.2% saying their personality became brighter, 48.4% reducing their anger, 48.4% relieving their irritation, 54.8% relieving loneliness, 58.1% feeling more responsible, and 51.6% developing intimacy.
        6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거저리 유충의 사료인 밀기울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일부 국가의 식량 수출 중단 조치 등에 따른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밀기울 가격은 인상되고, 식용곤충 판매가격이 하락하면서 생산비 절감을 위한 사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부산물 3종을 50% 이상 급이하게 되면 유충 생육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적정한 배합비율을 선정하기 위해 첨가사료 20, 30% 함량으로 밀기울과 혼합하여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갈색거 저리 유충의 생육 특성과 영양성분 변화에 대해 밀기울만 제공한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부산물 A와 B, C를 각각 30% 함유한 처리구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무게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먹이소화율은 부산물B를 20% 함유한 처리구가 80.5%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부산물C 30% 처리구에서 72.6%로 가장 낮았다. 갈색거저 리 유충의 생육일수 100일 기준으로 부산물B 30% 처리구에서 용화율이 76.1%로 대조구보다 1.6배 높았으며, 부산물A 20% 처리구는 29.2%로 용화율이 가장 낮았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조단백질 함량은 부산물 C 30% 처리 구에서 대조구보다 10.3% 증가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진행한 결과 sarcosine과 ornithine이 2.5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물 B나 C를 30% 함유한 사료를 급이하였을 때 사육 원가를 절감하여 유충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3년 경상북도 상주시 떫은감 과수원에서 잎 표피아래 굴을 파고 들어가면서 원형 또는 부정형의 식흔자국 을 남기는 증상을 관찰하였다. 해충의 유충은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하며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길이 3㎜, 갈색) 이 되어 탈출하였다. 본 해충에 대해 잎에서의 피해증상과 실험실에서 유전분석 결과 Genbank(GU816671,486bp DNA liner, 2016)에 등재되어 있는 감잎가는나방(Cuphodes diospyrosella)으로 동정되었다. 일본에서 1957년 최초 보고 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번 경북지 역에 처음 발견되어 떫은감 재배 농업인과 현장지도원의 감잎가는나방에 대한 피해증상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rhabdepyris Gorbatovsky, 1995, is a small genus in Bethylidae (Hymenoptera, Chrysidoidea), currently comprising only six valid species worldwide. A new species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from South Korea. Pararhabdepyris sp. nov., which appears closely related to P. paradoxus, i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s: the basal two-thirds of the scape are dark castaneous, coxa and femora are dark castaneous, the median and submedian metapectal-propodeal disc is rugulose, and the transverse posterior carina is straight. Image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an updated key to the seven world species of the genus are presented.
        6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odoptera exigua is one of the worldwide distributed agricultural pest insects and has been known to show high resistance to conventional chemical insecticides. Autographa california multiple nucleopolyhedrovirus (AcMNPV) has been used as eco-friendly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S. exigua, as it exhibits high level of host specificity, stability and safety. In this study, for formulation of AcMNPV,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ss-production of AcMNPV polyhedra was established using S. exigua larvae. Mass-produced AcMNPV polyhedra was formulated as wettable powder using microencapsulation method and its control efficacy against S. exigua was evaluated both in laboratory and semi-field experiment.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the AcMNPV formulation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damage rates, suggesting that the AcMNPV formulation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control of S. exigua
        6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 (Bt) is widely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secticide compared to chemical insecticid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difficulty in direct practical application, limited efficacy duration, and stability have been identified. To solve these issues, formulation-based research is being extens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high insecticidal activity strain Bt IMBL-B9,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was subjected to large-scale cultivation using a fermentor. Subsequently, various formulations were developed through formul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wettability, suspensibility and particle size were assessed to select the optimized formulation.
        6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Lepidoptera: Pyralidae), is a serious pest of stored products. We assessed the efficacy of combined application of Beauveria bassiana AAD16 and azadirachtin against P. interpunctell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by using filter paper dipping method. P. interpunctella larvae showed lowest LT50 in combined application of AAD16 and azadirachtin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only azadirachtin. The mycosis rate of P. interpunctella larvae was 100% after 14 days of the combined application while AAD16 only application showed 9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 bassiana AAD16 and azadirachtin combined solution can be an effective controlling technique against P. interpunctella larvae.
        6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산림해충들이 새로운 국가 또는 인접한 지역으로의 분포 확대가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외의 대표적인 산림해충 분류군인 나무좀아과와 하늘소과에는 넓은 기주식물 범위를 가지고 있어 산림 생태계에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야기하는 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남북 접경지(강원 철원군, 양구군, 고성군) 내 혼합림에서 린드그렌 퍼넬 트랩(Lindgren funnel trap)을 활용하여 4가지 유인제(Ipsenol, Ipsedienol, Alpha-pinene, Monochamol) 조건별 나무좀류와 하늘소류의 유인효과와 시기별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나무좀아과는 총 26속 45종 7,743개체, 하늘소과는 총 35속 42종 649개체를 확인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남북 접경지에서의 시기별, 지역별 나무좀류와 하늘소류 발생 양상과 4가지 유인제별 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다.
        7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기후변화 및 산업화 등으로 생물다양성 감소,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지속가능한 미래설 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 도시숲인 국립세종수목원에 조성된 총 16개 전시원을 대상으로 총 6차례에 걸쳐 방문곤충과 화분매개곤충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별 분석결과로 2차(‘23.7.31) 조사 시기에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총 80종), 전시원별 분석결과 숲정원에서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총 59종). 또한 주요 식물 6종(배롱나무, 나무수국, 무궁화, 좀개미취, 범부채, 부처 꽃)에 7~10월 기간 중 양봉꿀벌, 애황나나니, 호박벌, 네발나비, 호랑나비, 흰점박이꽃무지, 호리꽃등에, 배짧은 꽃등에가 화분매개 행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2023년 국립세종수목원 전시원 내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다양성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곤충의 보전 필요성, 도시숲 내 체계적인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조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7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halcididae belong to a medium-sized family of parasitoids in the superfamily Chalcidoidea (Hymenoptera). Chalcidids can be recognized by the swollen hind femur, the indistinct prepectus, the sharp occipital carina bordering the gena posteriorly, and the strong punctation of the mesosoma. They have been recorded parasitizing six insect orders, and several species are facultative or obligate hyperparasitoids. More than 1,500 species in 90 genera have been recorded worldwide, of which 12 species in six genera have been recorded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axonomic and faunal studies on Korean Chalcididae, we have found two newly recorded species, Haltichella nipponensis Habu and Dirhinus anthracia Walker, in Korea. These species were discovered using Malaise traps, Lindgren funnel traps, and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in Jeonbuk, Gangwon province, and Sejong city in 2023. The genus Haltichella Spinola, 1811, is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is presentation, we provid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se species.
        7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otal of 187 species are involved in the genus Pidonia Mulsant (Coleoptera: Cerambycidae: Lepturinae) worldwide, of which 174 species are distributed in Eurasia. Since Bates recorded P. (P.) gibbicollis in 1888, a total of 17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After An & Kwon’s study on Korean Pidonia in 1991, no taxonomic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almost 30 years,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species due to their mutations. In this presentation, we provide an update on the taxonomic study of Korean Pidonia and report a newly recorded species, P. (P.) obscurior hakusana, in Korea.
        7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jor pests of greenhouse strawberry includ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and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causing significant damage in both yield and quality. We compared control efficacy of two entomopathogenic fungus strains of Beauveria bassiana, AAD16 and GHA, against T. kanzawai and B. tabaci. Both fungus were applied as a foliar spray targeting the undersides of leaves. In preliminary studies in the laboratory, adult T. kanzawai and B. tabaci showed lower LT50 values when treated with AAD16 strain compared to GHA. In the greenhouse, the densities of the both mites (adult and nymph) and whiteflies (adult)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wo fungus strai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ycosis rate was 88-94% in T. kanzawai and 48-59% in B. tabaci on collected lea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auveria bassiana AAD16 can be an effective mycoinsecticide against both T. kanzawai and B. tabaci.
        7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하면 식물의 생장속도가 빨라지거나 영양학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음이온 처리 시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이온을 온실해충인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 처리하여 방제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음이 온 처리 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서 살충효과와 기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점박이응애 알에서도 음이온 처리가 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에서 밀도실험 결과, 700,000 ion/cm3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밀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이온 처리 시, 부가적인 효과로 온실해충(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에 대해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
        7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ve insecticides (Acrinathrin, Dinotefuran,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and fluxametamide) approved for tomato cultivation were evaluated in Frankliniella occidentalis populations collected from Chungcheong province (Cheongyang, Chungju and Gongju). Leaf dip bioassay was used to evaluate resistance levels (LC50). Bioassays on Acrinathrin demonstrated higher LC50 concentration in evaluated populations. In particular, the Chungju population was 745.61 times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of the insecticide. Other remarkable resistance levels were recorded for the Dinotefuran with 435.06 times and 196.29 times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s for the populations from Chungju and Gongju, respectively. Bioassays for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and Fluxametamide showed low resistance to insecticides in the evaluated populations.
        7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Yellow flower thrips (WFT), Frankliniella occidentalis is mainly controlled using chemical control methods. But the continuous use of chemical pesticides in greenhouse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leven insecticides against the WFT occurring in greenhouse pepper cultivation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no resistance in treatments with emamectin benzoate, fluxametamide, and flometoquin while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recorded in treatments with acrinathrin, acetamiprid, and dinotefuran. The Anseong and Yeoju population was more resistant against spinetoram and chlorfluazuron, respectively, than populations from other regions.
        7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깡충거미과의 모습을 의태하여 시각적 포식자인 깡충거미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전략은 여러 나비목 곤충 에서 진화하였다. 하지만 나비목 곤충이 깡충거미 간의 의사소통 신호를 의태한다는 가설은 제안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깡충거미과의 구애/영역성 행동을 의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붉은꼬마꼭지나방(Atkinsonia ignipicta)의 빗살 모양 더듬이와 추켜 올린 다리가 포식을 단념시키는 의태 신호로 작동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 하였다. 깡충거미 의태라 추측되는 붉은꼬마꼭지나방의 형태적 및 행동적 특성들을 단계적으로 제외한 뒤 포식 자(흰눈썹깡충거미, Evarcha albaria)와의 조우 시 생존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붉은꼬마꼭지나방은 비슷한 크기의 비-의태 나방에 비해 포식자의 공격을 덜 받았으며, 더듬이나 다리 중 하나라도 결여되었을 때 흰눈썹깡충 거미의 공격이 증가하였다. 이는 붉은꼬마꼭지나방의 더듬이와 다리 모두가 시각적 방어의 중요한 신호로 작동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흰눈썹깡충거미가 붉은꼬마꼭지나방을 향해 구애/영역성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는 점에서 깡충거미의 낮은 공격 빈도가 같은 깡충거미 종류로 오인해서인지 다른 이유에서인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사층깡충거미(Marpissa pulla)는 붉은꼬마꼭지나방을 상대로 영역성 행동을 잦은 빈도로 보였으며, 이는 붉은꼬마꼭지나방의 형태가 깡충거미 의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