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나무 순의 saponin을 추출하여 그 구조를 밝혀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산 날 것 식용적기의 crude saponin에서 aglycon으로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외에 1,3-methylenedioxy-3-dehydroxyoleanolic acid를 동정하였으며 당으로 α, β-glucose와 arabinose, rhamnose를 확인하였다. 2. 자연산 날 것 식용적기에 가장 많은 ‘b’ saponin(elatoside FH2)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그 구조는 3-0-[α-L-arabinopyranosyl(1→2)-β-D-glucopyranosyl]-28-O-β-D-glucopyranosyl oleanolic acid라 추정된다.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green tea leaves at different cooking conditions-blanching and frying-were surveyed as a method of utilizing low graded green tea leaves which missed appropriate plucking ti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during cooking. But contents of chlorophyll, tannin, vitamin C and caffeine were decreased during cooking, contents of chlorophyll and caffeine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frying than blanching. Content of total amino acid of green tea leaf was 15.8% and blanching showed bigger diminution of its content in comparision with frying during cooking.
적채시기별 녹차의 침출조건에 따른 유리당, 총질소 및 탄닌함량은 침출온도(55~95℃)가 높을수록 침출시간(30초~10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침출조건에 따른 녹차의 관능검사 결과 유리당 및 총 질소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탄닌함량과는 15~30mg/g의 농도에서 변곡점을 형성하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r=-0.9061)을 나타내었다. 탄닌함량과 관능검사에 의한 녹차의 최적 침출조건은 상급차의 경우 낮은 온도(55~75℃)에서 단시간 (0.5~1분)이었고 중급차는 85℃ 이하에서 2분 이내가 최적 조건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general and mineral components between the original sample and water extract in each part of omija. The content of Carbohydrate was highest in endocarps, and that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seeds. The contents of K and Mn in the fruits, endocarps, and seeds were all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ations. The content of K and Zn in endocarps were three to four times as much as those of seeds. and the content of Na, Ca, and Cu in endocarps were 1.5 to 1.75 times of seeds. Mineral contents by water extract in each part were ordered as K, Mg, Ca, and Fe. As the percentage of each ion in water extract on the basis of original sample, Fe was the highest ratio of behavior, and Mn was low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for adding rice flour. The A. annua powder was added to the rice flour at ratios of 1% (30 g/3 kg), 2% (60 g/3 kg), 3% (90 g/3 kg, w/w). As the amount of A. annua powder in rice cake dough increased, carbohydrate, ash content, total amino acid, and dietary fiber contents increased wherea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Hunter’s L value decreased as A. annua powder content increased. On the contrary,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sensory score of the rice cakes containing 30 g of A. annua powder was the highest of all the rice cakes tested. Based on these results, adding A. annua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The excellence of pigmented rice with respect to its nutritional composition was proven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ve kinds of rice (Jindo black rice, Jindo jeongmi, Boseong black rice, red rice, and green rice) were compare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black rice harvested in Boseong (10.15%)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varieties. The crude fat contents of pigmented rice (black, red, and green)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shed rice (Jindo-jeongmi and black rice). Boseong black rice had the highest crude fat content. The major free sugar types in the rice varieties were maltose and glucose. The major mineral contents of the unpolished rice (pigmented rice) varieties were as follows: of P, 361.32~570.11 mg%; K, 196.63~210.04 mg%; Mg, 104.11~128.02 mg%; Na, 2.49~8.14 mg%; and Ca, 12.10~16.82 mg%.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five kinds of rice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The fatty acid contents of the rice varieti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black rice (Boseong) had a higher amino acid content than the other varieties. The hunter color values of rice varieties were affected by the colors of tha samples. The L (lightness) value of black rice (Jindo, Boseong)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The thiamine and riboflavin contents of the red rice (0.48 mg/100 g and 0.14 mg/100 g,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varieties (thiamine: 0.36~0.24 mg/100 g and riboflavin: 0.09~0.06 mg/100 g). The hardness of the rice varieties differed significantly (10.75~14.64 ㎏).
환경친화적 저농약 재배로 생산된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올벼쌀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의 경우 올벼쌀이 1.13%로 백미(0.3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현미찹쌀과는 비슷한 수준이었고 조회분은 멥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비슷하였다. 총 식이섬유는 올벼쌀이 3.79%, 백미가 1.67%로 올벼쌀이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의 경우 올
돈차는 전남 서남부 지역 7개 군에서 이용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장흥군에서는 10군데의 마을에서 이용되었다. 돈차의 기본적인 제조공정은 “채엽→찌기→찧기→성형→건조→구멍뚫기→꿰기→건조→숙성” 이었다. 돈차의 건조는 그늘이나 햇볕 조건에서 꼬치를 꿰어서 걸어놓는 방법, 소쿠리에 올려놓는 방법, 화력에 의한 건조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1930-40년대 돈차는 전차, 단차, 벽돌차, 곶차, 강차, 차, 청태전 등으로 불린 가운데, ‘차’라는 이름이 대중적으로 이용되었다. 모양은 엽전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지름 2.3-10.0cm로 다양했다. 용도는 감기치료용, 배앓이 치료용, 두통치료 등에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음료수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돈차의 쓴맛, 떫은맛은 찻잎을 8월, 4월, 6월에 채취한 것 순으로 좋았고, 단맛, 향은 채엽 시기가 늦을수록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추출 횟수에 따른 맛은 첫 번째 추출물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돈차의 제조 후 숙성기간에 따른 맛은 4, 8개월이 경과된 차에서 식미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좋은 차맛을 갖는 돈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돈차를 제조 후 4개월 이상 숙성을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채자원 및 신선나물류의 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태백, 홍천, 횡성과 전남 나주, 담양, 장성의 오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를 판매하는 곳은 나주 22개소를 제외하고는 34개에서 49개소까지 다양하였다. 신선 나물류의 출하 품목은 강원도는 27-29종류였는데 산채 종류가 많았다. 반면에 전남은 15-19종류였는데 원예식물의 종류가 많았다. 참
고등학교 물리 선택과목 개정 작업은 2006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수탁사업으로 수행하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이를 수정․보완하여 2007년 2월에 고시하였다. 본 글에서는 2007년 2월에 고시한 물리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 및 개정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강원도 산지에서 채취한 만병초 잎의 70% ethanol 추출물과 다른 유기용매 분획 과정을 통한 3가지의 분획물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과 유전독성, 여러 암세포에 대한 항암 기능, 면역세포에 대한 면역기능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만병초 잎의 EtOH 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물 들의 사람의 정상 세포인 HEL 299와 Chang에 대한 세포 독성을 SRB assay로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시료 0.5 mg/ml 이하의 농도에서 35% 이하의 세포 독성이 나타났다. 2. 만병초 잎의 70% EtOH 추출물 및 각 다른 용매 분획물만 처리한 정상 세포에 대한 유전독성을 comet assay에서 측정한 결과, 양성 대조구 (10-2M, H2O2)과 비교시, 가장 높은 농도인 1 mg/ml의 농도에서 1/3 이하의 낮은 DNA damage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세포독성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각 시료가 세포 DNA에 대하여 매우 약한 손상만 일으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사람의 암세포에 대한 SRB 및 MTT assay를 이용한 만병초의 잎의 모든 시료의 1 mg/ml의 농도의 70% EtOH의 추출물은 실험대상인 모든 사람의 암세포에 대하여 80% 이상의 항암 기능을, EtOAc fr.는 모든 암세포에 대하여 가장 높은 농도인 1 mg/ml에서 70% 이상의 높은 억제 활성이 보인 결과로 부터 유효한 성분이 역시 EtOAc fr.에 함유되어 있을 것을 시사하였다. 4. 만병초 잎 추출물의 면역세포 생육에 대한 조사에서 사람의 B-cell과 T-cell에 대하여 0.5 mg/ml의 농도에서 배양 3일째에 BuOH fr.에서 대조구와 비교시 1.6배 정도의 생육 촉진활성을 보였다. 5. SCGE를 통해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만병초 잎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유전독성 억제 기능은 EtOAc fr.이 100 μg/ml 농도에서 대조구 대비 68.5%의 가장 높은 산화손상 억제율을 보였으며 BuOH fr.에서도 강한 유전독성 억제기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수용액 분획은 매우 약한 유전독성 억제 활성을 보여 각 분획의 특성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만인과 당뇨병환자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용식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게 유기농현미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고 각종 기능성 요소가 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50여종의 식품원료를 조성으로 한 분말형 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glucose 농도 및 지질구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당뇨유발 후 28일동안 각 처리별 식이를 급여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감소했다. 당뇨유발군중에서는 특용식이 100% 처리군에서 체중감소가 가장 많았다. 혈장 중성지질총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특용식이 50%, 100%에서는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50%, 100%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량은 전 처리군에서 30mg/dl 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각 처리에 따른 일정한 변동경향을 볼 수 없었다. LDL-cholesterol량은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어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여타 처리군들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혈장glucose량은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는 120mg/dl의 수치를 나타내어 정상수준의 범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