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ROS생성 저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 물에 의한 지방축적과 ROS 생성을 관찰하였다.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100, 200 및 400 μ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 및 aP mRNA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주요 유전자인 NOX4 및 catalase의 유전자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연화 열수 및 에탄 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와 더불어 ROS 생성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비만과 같은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 의 활용이 기대된다.
        42.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다소비 되는 십자화과 새싹채소 7종(콜라비, 적무, 브로콜리, 배추, 유채, 무순 및 다채)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함량은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이 23.97±0.46 mg TAE/g 및 24.40±1.24 mg TAE/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무순 추출물이 15.30±1.35 mg CE/g으로 다른 새싹채소 추출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ORAC value를 측정한 결과, 콜라비가 DPPH radical 소거능(IC50=1.95 mg/mL)과 ORAC value(79,032.5 μM TE/g)에서 모두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채를 제외한 새싹채소 추출물 6종 모두에서 세포 내 ROS 생성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십자화과 새싹채소 중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43.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화 및 연화주에 대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화 및 연화주의 영양성분, 항산화성분 및 다양한 모델에서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연화 및 연화주의 수분함량은 각각 85.90 및 92.87%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1.04 및 0.15%, 조단백질 함량은 1.91 및 1.70%, 조지방 함량은 0.30 및 0.11%, 탄수화물 함량은 10.85 및 5.17%이었다. 연화 및 연화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168 및 6,341 mg/kg 이었고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485 및 2,246 mg/kg으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약 26.0 및 35.4%이었다. 연화에는 fructose가 0.14 g/100 g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주에는 glucose 1.85 g/100 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연화의 경우, palmitic acid(C16:0)가 약 38.63%로 가장 높았고, 연화주의 경우 oleic acid(C18:1n9c)가 약 76.24%의 비율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연화(390 mg/100 g) 및 연화주(27.40 g/100 g)에서 모두 K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연화에서 citric acid(2,222 mg/kg)가 가장 많았고, 연화주는 lactic acid(5,427.90 mg/kg)가 가장 많았다. 한편, 연화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연화주 동결건조물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총 페놀 함량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ORAC value는 연화 에탄올 추출 및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272.9±7.6 및 275.3±2.6 mM TE/g을 나타낸 반면, 연화주 동결건조물에서는 11.5±0.4 mM TE/g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연화 추출물은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방식에 의해 제조된 연화주의 항산화 활성은 연화에 함유된 일부 항산화 성분의 침출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연화추출물 및 연화주는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저감에 일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44.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내한성 강원양파의 건조방법을 달리하 여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FD, HD 40 및 HD 60의 세 가지 분말에 대해 일반성분 분석, 색도, 갈색도, 총 페놀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FD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각각 10.99%, 0.84%로 HD 40 및 HD 60 보다 유의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Hunter's value로 L값 (lightness), a값(redness), b값(yellowness)으로 나타내었다. FD의 L값이 77.19±0.01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나머지 a값 및 b값은 각각 6.09±0.01과 24.60±0.03으로 HD 60이 높게 나왔다. 갈변도의 경우에도 HD 60이 0.200으로 제일 높은 값으로 나타나 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양파의 갈변정도가 커진 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 HD 40과 HD 60이 FD 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의 농도를 0.1, 0.5, 1 mg/mL로 처리하 여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FD 보다 HD 40 및 HD 60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45.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d to assess its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s of the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ere 5.58, 37.16, 13.69, 3.52, and 40.05%,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in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as 391.99 mg%. The major free sugar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were fructose(3.29%) and sucrose(1.74%). Linoleic acid(79.46%) was a major fatty acids in the crude fat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The K and Ca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arthamus tinctorius L. seed.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the ethanolic extract were 55.52 ± 0.99 mg GAE/g and 78.69 ± 0.91 mg QE/g, respectively. The extract from Carthamus tinctorius L. seed showed growth inhibitory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Clustridium perfring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can inhibit food pathogen associated with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46.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besity, a strong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 facilit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at accumul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reduced ROS production by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SME) could protect the development of obesity through inhibition of adipogenesis.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SME for up to 8 days following standar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The extent of differentiation reflected by amount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assay. Treatment of SME significa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t is depend on down regulation of NADPH oxidase 4 (NOX4), a major ROS generator,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E can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 reduced ROS level that involves down-regulation of NOX4 expression or via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47.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NADPH oxidase 4 (NOX4)-mediat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proposed to accelerate adipogenesis of 3T3-L1 cel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OX4,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ntioxidant enzym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markedly inhibits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Cheonnyuncho extract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oxidant enzyme such as NOX4 and theNADPH-producing G6PDH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heonnyuncho extract was found to upregulate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Cu/Zn-SOD (copper/zinc-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 reductase (GR), and catalase, all of which are important for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These data suggest that Cheonnyuncho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NOX4 and G6PDH gene expression or via upregul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48.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80% ethanolic extracts of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were assessed for their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d anti-adipogenic effects. Our results show that total phenol contents of 80% ethanolic extract from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were 17.35±0.41 and 8.20±0.28 μg GAE/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ethanolic extract from tartary buckwhe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mon buckwheat extract (p<0.05).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80% ethanolic extracts of tartary and common buckwheat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compared to control cells. We further evaluated the effect of buckwheat extracts on the changes of key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3T3-L1 adipogenesis and ROS production. Tartary buckwheat extract was more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s (PPARγ and aP2) than that of common buckwheat extract. Moreover, tartary buckwheat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both NOX4 (NADPH oxidase 4) and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adipogenesis effect of tartary buckwheat can be attributed to phenolic compound that may potentially inhibit ROS production.
        49.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천년초 선인장은 녹차 및 양파와 같은 피토케미칼(phytochemical)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중요한 소재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열수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천년초 열수 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와 mg GAE/g로 나타난 반면,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80% 에탄올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