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61.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traits were studied in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obesity rates were calculated via the measured heights and weights of the subjects. Food behavior was surveyed via a questionnaire. Personality traits were evaluated using an authorized personality test. The obesity rates in the child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1%in the male children, and 28.7% in the female children, and the rates of underweight were 18.2% in the males and 28.7% in the females. The percentage of obese children was slightly higher in the male population than in the female population. With regard to food behavior, the female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than the males, particularly on the items designated 'slow eating' and 'stop eating upon satiety'.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assessed herein, which included emotional stability, general activity, sociability, masculinity, responsibility, reflectiveness, and superiority, the female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sociability scores than the males. The personality traits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besity rate. However, the obese children scored lowest on all personality trait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traits, children with high stability,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superiority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food behavior scor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aintenance of good food behavior may enhance stability,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superiority in children.
        4,000원
        6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yridine could be successfully removed in the polyurethane(PU) biofilter inoculated with activated sludge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The elimination capacity for pyridine in the PU biofilter was approximately 27 g m⁻³ h⁻¹ at the tested loading range, The pH value of drainage was increas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ammonia which was one of the metabolites of pyridine, Four pyridine-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PU biofilter, and they were closely related with Rhodococcus pyridinivorans(98~99% similarity). The specific growth rate of the isolate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pyridine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ranged from 0.038 h⁻¹ to 0.051 h⁻¹.
        4,000원
        6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nalyze removal efficiency of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Grit chamber and night soil treatment facility using biofilter with microbial catalyst. Air dilution method was used for mixed odor gases analysis. UV-vis spectrophotometer for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were measured using GC/PFPD. Sample gases were collected at the inlet and outlet of biofilter.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average concentration of major odorous compounds were ammonia with 5,100 ppb and hydrogen sulfide with 797 ppb from grit chamber and ammonia with 1,407 ppb and hydrogen sulfide with 2,475 ppb from night soil treatment facility. Hydrogen sulfide was the most influential compound of malodor based on odor quotient index. The average dilution threshold of odor was 923 at grit-chamber and 1,267 at night soil treatment facility. The removal efficiency of odorous compound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y were more than 94% using polyurethane foam biofilter within empty bed contact time 3sec. The emitted concentration to the atmosphere was satisfied with the criterion of the offensive odor control law.
        4,000원
        6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67.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물종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꼬마잠자리는 잠자리과에 속하는 초소형 잠자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국내의 서식처는 중남부 일부 지역에 매우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복원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꼬마잠자리의 서식이 확인된 4개 지역 10개 지점의 경관, 서식처 면적, 식생 유형, 수환경, 수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대부분 산지의 묵논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서식처 면적은 113.4m2~1,153.1m2로 나타났다. 식생은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2.6~7.3cm 사이였고, 수온은 16~27.8℃이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고산 습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조사 결과 해발 고도 139~243m 사이의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주변이 위요된 육화되기 전의 빈영양화 초기 단계의 묵논과 같은 습지에 복원되어야 하며, 꼬마잠자리는 다른 잠자리보다 환경에 예민한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서식처 복원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6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비오톱지도화가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실제적 계획수단으로 활용될 있도록 비오톱지도화의 출발지인 독일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의 전국 비오톱지도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설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국토 및 연방정부차원, 주정부차원, 도시 및 정주지차원에서 양국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전반적 특성 및 경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독일은 국토전역에 걸쳐 경관생태권역별로 차등 있는 자연 및 경관을 보호, 관리하기 위해서 경관생태유형도와 경관생가치등급도를 작성하였다. 한국은 생태자연도나 녹지자연도가 전국단위에서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추진된 지도화로 들 수 있다. 둘째, 독일 주정부차원에서는 주로 자연지역과 그에 준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지도화가 실시되었고, 각주마다 비오톱 적색리스트가 작성된 반면, 한국의 경우 이에 준하는 도차원의 비오톱지도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독일의 도시 및 정주지역의 비오톱지도화는 대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중 소도시와 농촌지역에서도 실시되었으나, 한국의 경우 대도시와 같이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오톱 지도화가 전국토의 균형 있는 자연환경 및 비오톱 보호 관리를 위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자연지역 및 반자연지역의 비오톱지도화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국토전역에 적용할 수 있는 비오톱유형목록 및 비오톱적색리스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200원
        6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70.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3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 For the investigation, 373 fifth-grad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Incheon and Gangwhado were surveyed by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0.0 program. As for the frequency to take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bab and kimchi are taken almost everyday, and gug, jjigae, jorim, gui, namul are taken frequently. And juk, jeongol, jeon, sanjeog, jutgal, hangwa and umryo were shown to be taken occas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by the residence and the gender. The students in urban area take hinbab, jabgokbab, hobakjuk deonjanggug, sangsunjorim, jangiorim more frequently than the students in rural area. The students in rural area take mandu, kuksoo, yeongunjorim and kongiorim more frequently than the students in urban area Female students take sangsunjorim, jangiorim, sangsungui, bulgogi, sangsunjeon, hobakjeon, sukchae, jutgal and oiji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Most of the schoolchildren answered that in the future they would like to take the traditional foods more frequently than now.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y the gender. As for the food such as bibimbab, gug, jjigae, jeon, namul and jang-aji, female students responded to take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The 39.1% of them responded that the taste is the point to be most improved in the fut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y gender and the residence In order to make the taste of traditional food more attractive to modem people, the 37.8% of them replied it does not need to change the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However, similar percentage of the schoolchildren(35.7%) answered it is needed to change partly the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As for the effect of traditional foods on health, the 68.4% of schoolchildren thought that the our traditional foods are healthier than western foods.
        4,000원
        73.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dispersants, i.e., Hypermer KD-2 and poly(l-vinyl-2-pyrrolidone) (PVP), and their concentration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Ni nanoparticles () in ethanol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visual inspection, a transmission profile (Turbiscan), and a zeta potential measurement. The transmission profiles measured by Turbiscan showed that the particle size increas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sample for suspensions with both the dispersants without showing any particle coalescence and sedimentation. The visual inspection also confirmed that the Ni suspensions with Hypermer KD-2 and PVP were very stable for more than a year. The zeta potential values varied from positive to negative with increasing the dispersant's concentrati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suspensions was not affected by both the dispersant's concentration and the zeta potential values. The observed suspension stability of Ni nanoparticles was attributed to the steric effect for the Hypermer KD-2 and to the bridging effect for the PVP.
        4,000원
        7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9년 로마프리타지진 및 1995년 효고현 남부지진등 많은 교각에서 휨-전단 파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교각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휨파괴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이었다. RC 교각의 내진성능은 교각의 소성힌지구간의 성능에 좌우되고 있으며, 소성힌지의 연성은 곡률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연구는 지진하중의 손상을 입은 RC교각의 휨전단거동에 관한 소성힌지구간 내의 곡률변화를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7기의 실험체는 형상비 2.5에 횡방향 구속력, 주철근의 겹침이음 그리고 섬유보강을 변수로 가지고 있다. 이 실험체는 유사동적실험 수행을 통해 손상을 주었으며, 유사동적실험 후에는 일정한 축력,P=0.1f_{ck}A_g을 유지하면서 변위제어방식으로 유사정적실험을 실시하여 잔류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초에서 15cm 구간에 가장 큰 곡률이 발생하였으며 파괴도 이 단면에 집중되었다. 또한, 연성도 분석결과 주철근이 겹침이음 된 RC 교각이 낮은 곡률연성도를 보였으며, 이를 섬유보강한 실험체의 휨강성과 곡률연성도는 현저히 개선되었다. 그리고, 교각의 곡률변화를 분석하여 횡구속력을 고려한 등가소성힌지길이 산정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제안된 식을 적용하여 변위연성도와 곡률연성도 관계를 분석하였다
        4,200원
        79.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년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된 불광천을 대상으로 하여 한 하천 내에 정비방식이 다른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으로 구분하여 식물상 및 식물종의 출현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3년 5월과 8-9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식물상은 하천의 양안에 출현한 모든 식물을 동정하여 정리하였고. 식생은 200m를 기준으로 하여 Belt-transect 방법을 이용하였다. 2003년 5월 및 8-9월은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33과 73속 88종의 식물이 출현하였고.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36과 76속 90종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율 (Naturalized Index:Nl)은 직강화 하천구간은 22.7%,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21.1%였고,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Index:Ul)는 직강화 하천구간이 7.8%.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이 74%로 직강화 하천구간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보다 약간 높았다. Belt-transect 조사법에 의한 식물종 출현빈도 결과는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하안에는 여뀌와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이에 반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서는 하안에는 갯버들, 여뀌, 소리쟁이.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즉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 구간은 제방에는 구간에 따른 차이가 없고, 하안의 경우에는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 도입된 갯버들이 출현하여 차별을 보였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