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seasonalit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xternal sources of variation affecting cambial ac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newly divided cells, and therefore influencing stem growth of trees. Here,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easonal concentrations of metabolites of current-year stem tissues in 6-year-old Pinus densiflora at June, August, and October. 76, 75, and 78 metabolites were assigned at June, August, and October by GC/MS. Among these compounds, 55 metabolites were commonly found in all three tim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s in each times. Among 56 metabolites, the concentrations of three inositol-methylated derivatives, myo-inositol, ononitol, and pinitol in current-year stem tissues at Augus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eights of nursery-grown trees. Furthermore, we found that such metabolit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em diameter at 27 years for two consecutive years. Therefore we suggest that seasonal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inositol derivatives may explain much of the natural variation seen for tree stem size in even-aged pine forests. And these have the potential as metabolic markers of inherently rapidly growing trees in the early selection of those conifer families.
        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시나무의 클론간 생장 특성(전체 건중량, 줄기 건중량, 잎의 전체 건중량)과 대사물질간의 관계를 구명하여 조기선발을 위한 생장 관련 주요 인자를 구명하고자 사시나무 삽목묘(유묘)를 대상으로 우량클론과 일반클론간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였고, 수체내의 대사물질을 분석하였다. 사시나무 유묘의 줄기 건중량과 잎 내의 glucose, sucrose, inositol 등 당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으며, 잎의 건중량과는 줄기 내의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시나무 잎 내의 대사물질은 우량클론에서 glucose, sucrose, inositol 등과 같은 당류가 일반클론보다 고도의 유의 차이(p<0.01)가 있게 높게(1.3배 이상)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ythronic acid, malic acid, pentanedioic acid 및 proline도높게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량클론의 줄기내의 대사물질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이 일반클론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1.2배 이상)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더불어 succinic acid, maleicacid의 함량도 고도의 유의차이(p<0.01)로 우량클론에서 높게 함유하고 있었다. 생장이 우수한 사시나무 클론은 유묘의잎에서는 당류가 줄기에서는 아미노산류가 높게 함유하여 이러한 복합적 인자가 사시나무 우량클론 선발을 위한 대사 표지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