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꿀벌은 한 마리 여왕벌을 중심으로 일벌 및 수벌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사회성 곤충이다. 꿀벌은 여왕벌 이 깨어나면 처녀비행 (반경 2.4~7.4km )을 하여 공중에서 여러 마리의 수벌들과 교미를 한 후, 자신의 봉군 내부로 돌아와 평생을 살아가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계통 증식 또는 품종 육종에서 외부의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된 지역에서 교미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될 수 있는 국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격리교미 연구를 2020년부터 2023년 봄부터 가을까지 수행하 였으며, 육종을 위한 격리교미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은 전남 - 낙월도, 전북 - 위도, 왕등도, 식도에서 수행되었으며, 섬 크기, 경관 환경 요인, 교미 시기 등에 의해 격리교미의 성공률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Korean EFL learners’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of English liquids /l/ and /r/ to test the Korean learners’ relative acquisition difficulty of the two English liquids.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 hypothesis from Flege’s (1995) Speech Learning Model asserts that the greater the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between an L2 speech sound and the closest L1 sound, the more likely learners will be to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1 and L2 sounds. Fifteen Korean EFL learners were asked to judge how well English /l/ and /r/ in various phonological environments represent the Korean liquid, using a scale ranging from 0 (“not like”) to 6 (“exactly the same”). The results of the judgment task showed that Korean L2 learners perceived English /l/ to be more similar to Korean /l/ than English /r/ in syllable-initial, consonant cluster, and intervocalic positions, but not in syllable-final posi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which investigates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 and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