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isk factor of Gallbladder stone in Busan and Kyungnam area.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patients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mong the patients who came to the P hospital from June 2016 to December 2016. Among them, risk factors were analyzed on 353 people at the same time when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ematological te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to the Gallbladder stone was performed by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In consider of difference verification result for calculations odds ratio about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nduct verify adequacy by calculating forecasting model from variable. As a result, Gallbladder stone risk factors have relevance to age ɤGTP with probability model and values to calculated. Age was showed sensitivity 49.7%, specificity 82.2%,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rea under curve 0.724. Forecasting probability sensitivity 69.3%, specificity 62.4%,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rea under curve 0.699 showed, ɤGTP confirmed validity of forecasting model
        2.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과 상호작용으로 단일 금 나노입자로부터 나타나는 2차 전자의 발생과 입자 크기, 입사 에너지 간 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CNPX MC code를 이용하여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X선 에너지는 50, 100, 150 kV와 6, 15 MV를 사용하였다. 물 팬텀 내부에 30, 50, 70, 90, 110 nm 직경의 단일 금 나노입자를 위치 시켜 10 nm 간격으로 계수 체적을 지정하였다. 금 나노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의 차이는 입자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나타내었으며, X선의 에너지가 낮을수록, 금 입자의 직경이 클수록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에너지가 낮을수록 나노입자의 크기와 전자 발생 간 선형식에서 높은 기울기 값을 나타내 었으며, MV X선에 비해 kV X선에서 현저히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다양한 선량 증가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