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ergence and re-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pose ongoing threats to public health.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gent-based simulation model (ABM) to predict the spread of novel infectious diseases during early outbreak phase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trol measure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impact of interventions such as maskwearing, vaccination, and social distancing on outbreak dynamics and the reduction of symptomatic cases. Using demographic and COVID-19 outbreak data from South Korea, we constructed a detailed contact network model encompassing workplaces, schools, households, and communities. Using demographic and COVID-19 outbreak data from Seoul, South Korea, we constructed a detailed contact network model encompassing workplaces, schools, households, and communities. Key transmission parameters were inferred using Approximate Bayesian Computation. The resulting ABM platform, implemented in a C-based R package, allows for flexible scenario simulation involving 56 adjustable parameters, including mask-wearing, vaccination coverage, and social distancing. Simulation outputs demonstrated the model’s capacity to reproduce observed transmission patterns in workplace and school outbreaks, enabling public health authorities to anticipate outbreak dynamics and assess interventions. This framework provides a valuable decision-support tool for controlling future infectious disease incursions.
바나나잎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바나나잎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미치는 효과를 B16F10 세포주를 활용하여 cell viability, mRNA 발현 및 tyrosinase (Tyr) 활성 저해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10%의 바나나잎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합성을 6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정량적 real-time RT-PCR을 수행한 결과 바나나잎 추출물이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 tyrosinase mRNA 발현을 각각 20 / 40 / 60% 가량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바나나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자외선 조사 직후 바나나 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의 육안평가 결과 유의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바나나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뿐 아니라 향후 기전 연구 수행을 통해 다양한 산업화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광나무(L. lucidum)는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 열매, 줄기, 잎 세 부위 추출물의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였다. 광나무 추출물은 human skin fibroblasts에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들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광나무 세 부위 추출물 가운데, 열매 부위에 가장 많은 양의 ursolic acid 와 oleanol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장 강한 COL1A1 upregulating 효과와 MMP-1과 MMP-2 downregulating 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항주름 효능을 보이는 광나무 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