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의 안전과 보안의 유지는 공급망의 각 단계에서 화물운송 및 여객의 인명 안전을 보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ISPS Code는 선원과 선박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SOLAS 협약에 채택되었고, STCW 2010 마닐라 개정에 따라 선원은 반드시 보안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효과적인 선원의 교육과 훈련은 선박의 보안 관련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이행활동의 수준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원들이 이수한 보안교육과 선원의 보안인식 및 선박의 보안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 선박 보안 교육을 이수한 선원들은 선박 보안에 대한 인식이 높고 (2) 이러한 보안 교육 및 보안 인식은 선박의 보안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3) 보안 인식은 보안 교육과 보안성과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안 교육과 훈련은 선원의 보안인식과 보안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해운산업에서 보다 경제적․운영적 및 이미지 측면에서 주요 이점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Ports play a key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s integral hubs where passengers and cargoes are loaded, discharged, and transshipped. However, the function of ports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expanding on roles as industrial clusters, as well as logistical centers. Such roles combined, reap numerous and significant benefits, mainly with growth of jobs and wealth creation, for the local population living in the city, and beyond. Citizens’ awareness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ports may not be positive, because of a range of negative factors such as emissions, noise, and road congestion, which can influence their perception. This study’s contribution focuses on empirically evaluating the perception of Busan citizens of the local port, by applying Q methodology. The links connecting the port-city and local population, are assessed by identifying: 1)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Busan citizens of the port; 2) Factors perceived as positive as well as factors perceived as negative by Busan citizens. There are four main fac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1) Port functional knowledge; 2) Lack of social connectedness port-city; 3) Environmentally concerned and; 4) Absent port’s ripple’s effect. Policy recommendations suggest focusing on improving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rt, for each of the four main fac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최근 무인화 선박과 관련하여 해양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적인 응용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기술, 안전 및 보안 문제와 관련하여 무인 선박의 운영 가능성을 시험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많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처럼 선박은 매우 빠르 게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결국에 선원이 승선하지 않아도 되는 무인화 및 지능형 선박의 개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 지 선원들의 관점에서 선박의 기술적 변화와 앞으로 도입될 무인화 선박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4차 산업 혁신 중에 하나 일 선박의 자율운항기술은 선원의 일자리, 선원의 노동과 윤리적 분야, 교육과 훈련 등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선원의 선상 근무가 필요 없 는 무인 선박의 개발에 앞서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본 연구는 무인화 선박에 대한 선원의 지식과 인식이 어떠한 지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를 테스트하는 데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하였다.
Shortage of trained seafarers is an issue, which many ship-owners are facing and,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 shortfall of both officers and rating will worsen in the next few years. The key role of seafarer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in international trade, as they are the ones responsible for safely manning and operating ships. In developing countries, they also perform a strategic aspect in terms of contribution to GDP, mainly by earning foreign currency and increasing national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Myanmar is still considered a developing country with an economy, which has only recently started growing steady. It is also one of the major seafarers supplying nations and the contribution, which seafarers have on the national GDP may b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eafarers’ impact towards the Myanmar national economy. The paper describes the status of Myanmar seafarers, and the seafarers’ current and forecasted impact towards the Myanmar economy through a regression model. The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to make Myanmar seafarers more competitive internationally and increase their economic contribution nationally.
항만은 단순히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생산 네트워크 및 복잡한 공급망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허브로 발전해 왔다. 항만은 지역적 수준에서 국가적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항만 및 항만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회귀모델을 활용하여 부가가치 및 고용수치에 대한 정보가 미비한 이탈리 아 내 항만 17곳의 부가가치 및 고용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탈리아 항만 시스템 개선의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해당 항만들의 효과 와 지역경제 내에서의 역할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해당 항만의 정책 입안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이탈리아 항만들이 지역 경제에 간접적 효과보다는 직접적 효과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형 항만에서는 더 큰 사회경제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aritime piracy and its economic implicatio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attacks registered in the Gulf of Aden, The paper also aims to investigate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ong with Sovereign States, should allocate resources in order to make the seas a safer place and describe how closely inter-related maritime piracy, preventive and punitive measures put in place by Governments are. Elements of economics and ergonomics ar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properly investigate the major legal issues relating to maritime security. The paper proposes a cost-benefit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in theory what is the rationale behind engaging in criminal behavior and recommend some solutions to the issue to be undertake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concluded that in order to cost effectively fight piracy, a mix of more coordinat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laws, standardized and increased punishment levels among jurisdictions and extended patrol controls are needed.
Recently, the fierce competitions in the shipping industry and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have heavily influenced ports’ operational strategies. In order for port authorities to remain competitive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to develop National policies, ports are required to analyse and improve operations’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efficiency of 19 Italian ports in 2013, handling different types of cargoes, is asses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ith constant return to scale (CRS) and variable return to scale (V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Italian ports and evaluate whether differences in size and specialization of each port (or cargo handled) are directly correlated with ports'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