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MRI 검사 시 임플란트 자석 틀니의 자기 유지력 변화와 구조물 간의 금속 인공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론 자기 유지력 변화의 평가를 위해 자석 구조체를 고속스핀에코 시퀀스로 검사하며 자력을 30분 간격으로 최대 90분까지 측정하였고, 금속 인공물 평가를 위해 자석 구조체와 임플란트 팬텀의 축상면 이미지에서 금속 인공물 크기를 측정하였다. 자석 구조체의 자력은 1.5T 검사에선 1.11 ∼ 5.29G의 차이를, 3.0T 검사에선 0.78 ∼ 2.97G의 차이를 보였으나 검사 시간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금속 인공물의 크기는 1.5T 장비에서 임플란트 팬텀은 15.02mm ∼ 21.97mm, 자석 구조체 팬텀은 87.86mm ∼ 102.54mm, 3.0T 장비에서 임플란트 팬텀은 19.15mm ∼ 25.81mm, 자석 구조체 팬텀은 94.18mm ∼ 125.56mm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자석 구조체의 자력은 MRI 검사 시간에 따른 유의미 한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자력을 가진 구조물이 일반적인 구조물보다 더 큰 금속 인공물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RI 검사는 임플란트 자석 틀니의 자기 유지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금속 인공물을 줄이기 위해 검사 전 자력을 가지는 삽입물은 제거되어야 한다.
An Australian cattle dog (case 1: 6-year-old castrated male) and a Shih-Tzu dog (case 2: 8-year-old castrated male) were referred to the Gyeongsang Animal Medical Center due to anorexia and depression. Physical examinations, complete blood counts, serum chemical analysis, radiography, ultrasonography, and bone marrow biopsy were performed. Upon physical examinations of cases 1 and 2, enlargement of superficial lymph nodes was not identified. Hematologic findings in these dogs included leukocytosis with severe lymphocytosis, anemia, and thrombocytopenia. Upon radiography, both dogs showed splenomegaly. Upon examination of a peripheral blood smear in case 1, immature lymphoid cells, featuring decreased 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 and nuclear pleomorphism, were present. Biopsy samples of the bone marrow in case 1 revealed hypercellularity as well as a large number of immature lymphoblastic cells similar in shape to cells in the peripheral blood. The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features of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samples in case 2 were small lymphocytes. Thus, the dogs were tentatively diagnosed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and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respectively. After diagnosis, the CLL patient was administered chlorambucil and prednisolone therapy. Due to its similarity to human leukemia, the canine leukemia model provides a valuable model for research into human leuk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