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a numerical model, the tidal phenomena in the Korea Straits were studied. The co-tidal and co-range charts of the main four tidal components of M2, S2, K1 and O1, were made. The tidal range for M2 tide in the southern coast is more than 200cm, and as going to the Japan Sea it abruptly decreased to only few centimeters around the amphidromic point which locates at the southern part of the Japan Sea. And the overall features of the other tides are similar to the M2 tide. Each calculated charts were relatively coincided with those of observed tide by Ogura(1933). For storm surge, the typhoon Thelma in July, 1987, was modelled. The water level by the pressure and wind under the elimination of the tidal effects shows the anti-clockwise rotation and the valid concentric contour around the typhoon center. As the typhoon approaches to the Japan Sea the water level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outhern coast which has over 50㎝surge due to the shallow depth. The entire features of water level were comparatively coincident with the observed.
        4,000원
        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와 동지나해의 해수순환에 관한 수치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저지형을 포함한 1층 모형 바다위에 여덟방위의 바람을 차례로 불려 나타나는 해상순환을 비교하였다. 바람의 영향만을 보기 위하여 해류가 존재하지 않는 폐쇄된 바다 위에 바람을 불린 결과 황해의 순환은 풍향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대체로 남서풍 성분이 탁월해지면 시계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지고 북동풍 성분의 풍향하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지나해의 대륙사면을 따라 쿠로시오 해류를 포함시키면 남쪽 동지나해 부근에서는 풍향에 관계없이 시계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지고 북쪽 황해내부에서는 풍향에 의한 영향이 감소함을 볼 수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