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은 도시를 관리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마찬가지로, 도시공원은 도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존재로서 정책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 도시공원에서 행정의 대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민들의 도시공원 민원을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아산시의 도시공원에 대한 전자민원을 분석하여 인식과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해결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민원에 대한 일련의 분석과정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아산시의 도시공원 민원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했으며, 키워드의 출현빈도,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활용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방법을 통해 지역별 민원에 대해서 분석한다면 지자체의 민원 행정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원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과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최근 예당저수지의 방문객 증가로 인해 현재 많은 개별사업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예당저수지의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향 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진행되었다.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 제시를 위해 예당저수지 방문객이 남긴 블로그 리뷰를 텍스트 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된 경관인식을 바탕으로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은 형태소 측면, 경관유형 측면, 시각자원관리 측면, 경관과 이용행태 측면을 고려하여 자연성, 경관대상, 시각이미지, 조망점, 이용행태 총 5가지 측면에 대한 경관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예당저수지의 체계적인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관리 우선대상을 선정했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키워드 출현빈도가 높은 곳일수록 방문객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경관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경관관리 우선대상 선정은 추후 예당저수지를 경관관리 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블로그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하여 방문객들이 남긴 리뷰로 예당저수지의 경관인식과 경관관리 방향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 최근은 물론 오래전에 예당저수지를 다녀간 방문객의 경관인식 또한 조사할 수 있었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데이터만 존재한다면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도출된 키워드를 활용해 경관인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검증하거나 분석결과에 대해 뒷받침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또 본 연구에서는 조사기간에 대해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예당저수지의 경관인식 변화를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Yesan-gun was selected to receive a “Village Community Garden Project” in 2018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improve the urban landscape by working with neighbors to create a happy living space for residents. Yesan-gun selected Sapti Park, located in Yesan-eup, as the project site. The projec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design charrette method (an intense period of collaborative creativity) to allow residents to propose and design park concepts themselves for the community garden construction project to ensure that that the park facilities would provide something for everyone to enjoy. This study followed the actual design project that actively introduced the design charrette in planning the community garden, describing the entire design process from planning to construction and revealing how the opinions of residents were projected onto the design drawings.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advance user-participation design methods by reviewing the progress of the design charrette process and to examine how storytelling, the act of conveying ideas through a fun and persuasive story, transformed the plans for the community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