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멀젼은 섞이지 않은 두 물질을 분산시스템으로 혼합시켜 놓은 것이다. 에멀젼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화입자 크기, 연속상 및 분산상 종류, 연속상과 분산상의 비, 유화제 종류 및 유화기기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 극성도에 따라 에멀젼의 점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를 유기개념도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및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오일 극성도가 높을수록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 및 유화안정제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점도는 감소하였다. 극성 오일간 극성도를 수치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유기개념도 이용하였으며 유기개념도상의 해석과 에멀젼의 점도 측정 결과가 실리콘 오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치하였다.
A filtration-tapingmethod was demonstrated to fabricate carbon nanotube (CNT) emitters. This method shows many good features, including high mechanical adhesion, good electrical contact, low temperature, organic-free, low cost, large size, and suitability for various CNT materials and substrates. These good features promise an advanced fieldemission performance with a turn-on fieldof 0.88 V/mm at a current density of 0.1 mA/cm2, a threshold fieldof 1.98 V/mm at a current density of 1 mA/cm2, and a good stability of over 20 h. The filtratio-taping technique is an effective way to realize low-cost, large-size, and high-performance CNT emi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