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sture forma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to avoid yield reduction. This experiment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ll fescue-centered mixed-seeding combinations on yield and vegetation changes in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for two year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2.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three replication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control (C), tall fescue-based mixture-1 (T-1), and tall fescue-based mixture-2 (T-2). The tall fescue (TF), orchard grass (OG), perennial ryegrass (PRG), Kentucky bluegrass (KBG), and white clover (WC) were used. The emergency rate of grasses (70.0 to 73.3%) did not differ among mixed seeding combinations. Overwintering rates (81.7 to 83.3%)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 plant height of grasses was similar at each harvest date, with the highest height (86.2 cm) recorded in the second harvest of the first year, followed by that (58.4 cm) in the third harvest of the first year; it was least (38.9 cm) in the fourth harvest of the second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mong the mixed seeding combination treatments in the first, third, or fourth harvests of the first year (p>0.05). For second-year grasses, dry matter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date among the treatments (p>0.05). Based on mixed seeding ratio, orchard grass showed the highest yield at 70% in the C treatment, followed by tall fescue at 80% and 60% in the T-1 and T-2 treatments, respectively, in the first harvest after s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value between treatments (p>0.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harvest (p<0.05). Therefore, it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through mixed seeding combinations centered on tall fescue.
        4,0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벌레(Ramulus mikado)는 1990년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경북을 중심으로 대발생을 하였던 돌발 해충 으로 2020~2023년에 수도권에서 대발생 사례가 다수 보고 되었다. 대벌레의 대발생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지목되 고 있지만, 대벌레 개체군과 생물적·비생물적 환경 조건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 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기주식물과 대벌레 발생 양상에 대한 관계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2022년부터 2023년 까지 대벌레 대발생 지역 중 하나인 청계산 일대 등산로를 따라 조사구를 선정한 뒤 주요 기주식물이자 우점종인 신갈나무, 아까시나무, 잔털벚나무를 대상으로 대벌레의 발생 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지점 간의 대벌 레 평균 밀도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기주식물에 따른 밀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ism is an internationally accepted design style. In addition, traditional Korean costume is not the clothing of the past, but its form is also used in modern fash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in order to deri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and examine the global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structure. For this study, photographic materials from museums, schematic drawings of relics, and Hanbok production books published by government agencies were analyzed. Further,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Korean costume, especially the modernism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aul Greenhalgh and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is a cut based on basic shapes, along with a silhouette appea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can be divided into universality, functionality, and simplic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m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universality is expressed as standardized form, functionality as practical aesthetics, and simplicity as sustainable diversity. Furthermore, Korean costume has a difference in that was greatly influenced by various Eastern ideas and aesthe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findings provide a perspective of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in line with globalization by utili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an international style.
        5,400원
        4.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 anoxic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removal of dissolved As(III) by Si and Al oxides including natural sand, chemically washed sand (silica), alumina, and activated alumina. Despite the similar surface area, natural sand showed greater extents of As(III) sorption than chemically washed sand. This was likely due to the high reactivity of Fe(oxyhydr)oxide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natural sand. For both sands, As(III) sorption was the greatest at pH 7.1, in agreement with the weakly dissociating tendency of arsenous acid. Also, the least sorption was observed at pH 9.6. At basic pH, elevated silicate, which originated from the dissolution of silica in sands, would compete with As(III) for sorption. Due to the highest surface area, activated alumina was found to quantitatively immobilize the initially added As(III) (6.0×10−7 -2.0×10−5 M). Alumina showed As(III) sorption compared to or greater than chemically washed sand, although the former had less than 6% of the surface of area the latter. The greater reactivity of alumina than chemically washed sand can be explained by using the shared charge of oxygen.
        4,000원
        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추속 식물은 수선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약 1000여종에 이른다. 한국에서는 24종의 자생종이 분포하며 유전자원으로서 큰 가치를 지닌 분류군이다. 그러나 자생부추속 식물에 대한 연구는 일부 종에 대하여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갯부추, 두메부추, 울릉산마늘과 같이 최근 분류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부추속 4종(강부추, 한라부추, 갯부추, 산부추)에 대한 온도 및 명암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조사하였다. 발아 특성은 발아율, T50, 평균발아일수, 발아균일도, 발아속도로 평 가하였다. 강부추와 갯부추는 5℃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한라부추와 산부추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갯부추 는 남부지방 해변가, 강부추는 강이나 하천주변에 서식하며 한라부추와 산부추는 주로 산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는 종별 생육지의 환경조건에 따른 차 이로 추정된다. 5℃에서 강부추의 발아율은 명조건(70.0%)보다 암조건(93.3%)에서 향상되었으며, T50과 평균발아일수도 단축되었다. 한라부추는 15℃에서 암조건이 명조건보다 발아율이 증가하고 15℃와 20℃에서는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 되었다. 그에 따라 발아속도도 증가하였으며 발아균일도도 상 승하였다. 갯부추는 5℃에서 발아율은 명조건(70.0%)보다 암 조건(83.3%)에서 상승했고, 15℃에서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가 증가하였다. 산부추는 15℃와 20℃ 에서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가 증가하 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처리구에서 명조건보다 암조건이 일부 발아특성을 향상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4종의 종자는 대부분 15~25℃에서 90%가 넘는 발아율을 보였으나, 다른 발아특성은 온도와 광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강부추와 산부추의 T50,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는 20℃와 25℃에서 가 장 향상되었고, 한라부추와 갯부추는 25℃에서 T50과 평균발 아일수가 가장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도 가장 빨랐다. 결론적으로 발아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강부추는 광과 관계없이 20~25℃, 한라부추는 광과 관계없이 25℃, 갯부추는 암조건 25℃, 산부추는 명조건 25℃와 암조건 20~25℃를 발아 에 적합한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4,000원
        1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미는 산림 및 농작물 해충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벼 재배지에서 볏짚이나 논둑 등에 월동한다. 이 연구는 월동시기부터 모내기 전까지 유기 벼 재배지에 서식하는 거미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미의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이용하였고, 농업과학원 유기재배포장에서 2018년 1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거미를 채집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논은 거미가 월동 서식처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볏짚을 걷어내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조사 결과 6과 15종 359개체의 거미가 채집되었다. 그 중에서 애접시거미가 119개체(33%)로 가장 많았고, 들늑대거미(23%), 턱거미(17%), 각시긴손접시거미(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4월 중순(7회)에 가장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고, 채집이 이루어질수록 거미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울토마토의 수경재배 중 붕소+칼슘+규소 및 칼슘+규소의 복합 엽면시비가 수확 후 품질과 MAP 저장 중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엽면시비한 방울 토마토(‘Unicorn’)는 반숙 과상태에서 수확하여 산소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한 5oC, 11oC, 그리고 24oC에서 25일, 15일, 10일간 저장하였다.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한 방울토마토가 3가지 저장온도 모두에서 호흡과 에틸렌 발생이 억제되어 MAP 저장중 가장 낮은 생체중 감소와 가장 높은 외관상 품질을 보였다. 수확 후 조사한 방울토마토의 경도, 산도, 비타민 C 함량은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3가지 온도 모두에서 MAP 저장 후에도 모두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과피색, 라이코펜 함량과 당도는 수확 후에는 엽면시비 처리로 차이가 없었으나, 3가지 온도 모두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붕소+칼슘+규소 복합처리는 방울토마토의 수확후 생리 작용을 억제하고 경도, 산도, 비타민 C 함량을 높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ynastid beetle Allomyrina dichotoma has been used as a herbal medicine. Recently, we performed de novo RNAsequencing of Allomyrina dichotoma and identified several antimicrobial peptide candidates based on in silico analysis.Among them,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 Allomyrinasin, was selected and we assess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of Allomyrinasin against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Allomyrinasin decreased the nitricoxide production of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264.7 cells. In addition, quantitative RT-PCR, ELISA and Westernblot analysis revealed that Allomyrinasin reduced cytokine expression levels in the Raw264.7 cells. Taken together, thesedata indicated that Allomyrinasin ha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264.7 cell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