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er adults face a heightened risk of chronic diseases due to physiological changes, functional decline, and dietary imbalances. Although nutrition education can enhance dietary habits, its influence on physical activity is less clear. This study, conducted at the Seongnam Senior Industry Innovation Center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assessed the effects of group-based nutrition education on 24 adults aged 65 and older (10 men, and 14 women; mean age 76.08 years). Participants engaged in a 12-week program that focused on hypertension, dyslipidemia, diabetes, and nutrition managem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physical activity capacity, and dietary intak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p=0.038) and waist circumference (p=0.003), while BMI, body fat, and blood pressure remained unchang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muscle mass index, and right-hand grip strength decreased. Dietary fiber intake saw a slight increase, while cholesterol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p=0.007).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in both the groups consuming less than 300 mg and those consuming 300 mg or more of cholesterol. Overall, group-based nutrition education led to improvements in dietary habits and anthropometric outcomes, but did not enhance physical activity levels. Combining nutrition education with structured exercise may b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health in older adults.
본 논문은 김정은 시기 북한의 핵위협 행태를 설명한 기존 연구 경향 을 분석하고, 합리적 행위자 모델(rational actor model)을 적용한 연구 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틀을 모색한다. 합리적 행위자 모 델은 핵보유국이 억지나 강제를 목적으로 가하는 강압적 핵위협이 도발 (provocation)로 인식되어 상대국의 저항 의지를 고조시키고,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위기가 확전(escalation)되는 과정과 외교적 협상을 통한 위 기가 해소되는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 은 핵 위기의 발생뿐만 아니라 위기의 고조와 해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핵위협 사용의 동기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두려움(fear), 분노(anger), 자긍심(pride) 등 감정적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한 심리적 행위자 모델 (psychological actor model)이 보다 설득력 있는 분석틀로 볼 수 있음 을 주장한다. 이러한 대안적 관점에서 볼 때, 강압적 핵위협과 도발적 핵 위협을 개념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북핵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 하기 위해서는 억지력 강화 정책을 넘어서 상호 간 신뢰를 구축하고 상 호 안보에 대한 재확신(reassurance)을 제공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term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key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cator species in Mulgeum, a major downstream site of the Nakdong River, from 1993 to 2020. Monthly phytoplankton densities ranged from 189 to 52,757,982 cells mL-1, with diatoms dominating yearround (29.1~93.4%). Notably, cyanobacteria exhibited the highest growth rates, which could exacerbate algal blooms under long-term climate change.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s, five environmental factorsdissolved oxygen, transparency, total phosphorus, phosphate, and discharge-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monthly variations in most taxa. Cyanobacteria were most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while chrysophytes showed minimal dependence on specific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roup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to five clusters, with each cluster characterized by distinct conditions and indicator species. A total of 122 species were identified as indicators, with green algae contributing the most. Cluster 1, characterized by high transparency and low phosphorus, was dominated by Stephanodiscus hantzschii, a common species in eutrophic waters. Cluster 4, associated with high phosphorus, highlighted Cyclotella ocellata as a key indicator, emphasizing phosphorus as a crucial determinant for diatom structur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hydrological and nutrient factors in shaping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rovide insights into ecological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The results can inform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to mitigate eutrophication.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비자가 쉽게 건강기능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모를 통하여 인증마크를 개발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등 2000명으로 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의 필요도가 매우 높았고, 텍스트 형태보다 텍스트/그래픽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기능정보의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인체에 작용하는 기전을 포함한 영양·기능정보가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사업의 일환으로 어린이 식품 품질인증제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친숙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하여 식품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어린이에게 올바른 식품선택기준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품질 인증마크를 개발하였다. 눈높이는 8~13세의 초등학생으로 하였고, “안전한 식품, 바른 영양, 건강한 어린이”라는 식약청 vision에 따라 로고 컨셉은 안심·미소, 인증·검증·보호, 건강으로 하였다. 명칭은 식약청내 공모를 통해 제안된「어린이용우수식품」, 「어린이안심식품」,「어린이우수식품」등 세 가지 안으로 하였으며, 명칭에 따라 총 36가지의 품질인증 로고시안을 제안하였다. 설문지는 이 중「어린이우수식품」으로 디자인된 12가지 시안으로 구성하였고, 초등학교 학부모(331명) 및 어린이(321명)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부모와 어린이의 선호도를 종합한 결과 시안 8이 16.1%로 가장 높고, 시안 6(15.5%), 시안 3(14.0%) 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먹거리 안전성 확보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부모와 어린이의 선택권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바르고 안전한 식품을 선별하기 위한 검증으로 어린이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presents a rapid and quantitative radiochemical separation method for Nb isotopes in radioactive waste sample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with anion exchange resin after Fe coprecipitation. After radionuclides were leached from the radioactive waste samples with concentrated HCl and HNO3, the Nb isotopes were coprecipitated with Fe after filtering the leaching solution with 0.45 micron HA filter, while the Sr, Tc and Ni isotopes were in the solution. The Nb isotopes were separated in HCl medium with anion exchange resin. The purified Nb isotopes were measured using a low level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fter installing quenching curve with standard Nb-94 isotopes. The separation method for Nb isotop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neutron dosimeter sample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after validating the Nb activity concentration with gamma spectrometr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