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nal dysplasia is a developmental disorder of the renal parenchyma involving anomalous differentiation. It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metanephric ducts surrounded by primitive mesenchyme, fetal or immature glomeruli, fetal or immature tubules, interstitial fibrosis, and dysontogenic metaplasia involving tissues such as cartilage. Renal dysplasia has been rarely reported in rats. Here, we observed a small left kidney in a rat used in a short-term repeat toxicity study. The rat showed no clinical signs throughout the study. All parameters, including those reflecting kidney functions, were normal upon hematological examination and urinalysis. Grossly, the kidney was small (5 × 8 mm) and its surface appeared normal.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cortex and medulla were poorly demarcated and contained immature/atrophic glomeruli, immature renal tubules, and mesenchymal cells. The cortex contained immature glomeruli, atrophic glomeruli with cystic dilatation of Bowman’s capsular space, and some atypical tubules. Primitive metanephric tubules in the medulla were larger in diameter than normal collecting ducts, lined by a tall columnar epithelium with pale cytoplasm and basal nucleus, and surrounded by loose mesenchymal cells. Occasional tubules contained pale eosinophilic homogenous material in the lumen. Thus, this was diagnosed as a case of renal dysplasia on the basis of histologic features and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renal dysplasia in Sprague Dawley rats.
        3,000원
        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액정을 이용하는 X-선 검출기에서 전면광원을 적용하는 액정 X선 검출기를 제안하였고 X선 영상을 찍 어 작동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빛을 이용하므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잡음이 적고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액정을 이용하는 검출기는 광도전층을 이용하여 입사 X선을 액정의 분자 배열 변화로 유도하고 액정을 통과하는 빛의 변화량을 읽도록 한다. X선을 조사하고 잰 빛의 투과율과 이것에 대응되는 기준투과율 곡선의 전압으로부터 X선 조사량을 교정(Calibration)하는 과정을 정립하였다. 비정질 셀레늄을 광도전층으로 적용하였으며 200℃ 이상의 고온 처리가 필요한 배향막 공정 대신 패럴린 배향막을 사용하는 공정을 확립하였다. 제안된 액정 X선 검출기의 경우, 방사선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였다. 제안된 방식의 X-선 검출기를 제작하고 액정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며 X-선 라인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고정 바이어스에서 시간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관찰하였다. 영상사진으로 10 lines/mm의 선패턴을 구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검출 패널의 위상이 3π 정도인 17인치 시제품에 적용하여 저선량 액정 X선 검출기의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