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무궁화 품종 이름에 대한 자료를 찾아 정리하면서 수정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발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1979년대와 1980년대에 명명한 무궁화 품종 중 외국의 품종 이름을 우리말로 개명하여 부르는 것들은 원래 이름으로 바꾸어 주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 2000년 이후 공공기관 외 회사, 개인 등이 신품종 등록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매우 많은 품종들이 등록되고 있는데 기존 품종들과의 구별이 쉽지 않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세 번째, 일본 품종의 경우 일본식 한자로 명명되어 있는데 도입 이후 품종명을 한국식 한자로 발음하고 명명, 명찰을 부착하여 한국품종으로 오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식 한자가 아닌 원래 일본 품종명으로 적고, 일본식 이름으로 불러 주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우리나라 무궁화는 학명으로 Hibiscus syriacus 인데, H. syriacus와는 이종인 H. sino-syriacus(대륜목근), H. paramutabilis(노산부용), H. mutabilis(부용) 등과 교배한 후대 들을 무궁화(H. syriacus)로 통합하여 부르고 있으나 이는 종간 잡종으로 구분, H. x hybrida로 구분해서 한다. 마지막으로, 1968년부터 외국에서 도입된 무궁화가 265품종에 달하는데 이 들 중 동일한 이름으로 중복 도입된 품종이 많아 적절한 명명 관리가 필요하다.
        4,000원
        2.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일품종이 가지는 도열병 저항성의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도체내에 함유하는 질소, 규산 및 Flavonoid함량을 분석하고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재배한 풍광에서 이들 성분함량이 도열병 발병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수도체내 규산과 Flavonoid 함량은 질소 시비량과 반비례하고 규산 시비량과는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 도열병 상습답에서의 도열병 발병율은 체내 질소함량에 정비례하고 규산함량에 반비례하였다. 3.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통일에서는 저항성의 요인이 되는 규산 및 Flavonoid의 체내함량이 이병성인 풍광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4. 규화세포의 수는 고엽일수록 많고 생육의 진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풍광에서 보다는 통일에서 현저히 높았다. 5. 이들 체내 성분의 함량은 통일이 갖는 도열병 저항성의 한 요인인 것으로 보였다.
        4,000원
        3.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엽고병(Fusarium niwate)의 효과적인 접종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균의 분생포자의 증류수 현탁액을 벼 유묘에 분무접종할 때, 접종 후 습실에 1일 보존했을 경우에는 거의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일간 보존한 겅우에는 어느 정도 병반이 나타났다. 2) 벼 유묘에 바람이나 또는 나무막대기로 물리적인 상처를 입힌 다음 증류수 포자현탁액을 분무한 결과 상당한 병만이 형성되었다. 3) 포자현탁액에 벼 잎 추출액, glucose, polypeptone, yeast exract 등의 용액을 첨가 분무접종했을 때 병반형성이 양호하였다. 4) 포자발아상태는 종류수중에서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분을 첨가한 용액중에서는 발아력도 좋았고 균사의 융합도 양호하게 일어났다. 5) 본 접종시험의 결과 통일품종은 재래 장려품종인 풍광에 비해 본 병에 대해 약했다.
        4,000원
        5.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국내외 재래종과 야생종 대두 계통들의 trypsin inhibitor의 변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이 시도되었으며 1706계통의 한국산 재래종과 103계통의 한국 야생종콩, 그리고 167계통의 외래 재배종과 71계통의 외국 야생종 대두가 공시되었다. 2. Trypsin inhibitor를 함유하지 않은 ti/ti형과 Ti c/c형은 한국 재래종에서만 발견되었으며, Ti* c형을 Hymowitz도 일본 대두품종에서 보고한 바 있으나 그도 이 계통은 한국 도래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한 바 있다. 3. 한국기원의 콩에서 trypsin inhibitor에 관한 이형접합형의 출현빈도가 외국 기원 콩 계통에서 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재래종에서 3.6%(N=61)와 야생종에서 9.7%(N=10)이었으며 종합적으로 보아 중국, 일본 등의 대두에 비해 한국 기원의 콩이 가장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