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의 성간성유인, Trap형의 개발, 일영에 따른 성유인의 변화, 교미후 성유인력의 감퇴 및 유인시각들에 관한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놈에 대해서 숫놈은 유인되나 숫놈에 대하여 암놈은 유인되지 않았다. 2. Trap A형(직경 10cm, 높이 11.5cm원통형분유통 양쪽에 직경 4.8cm의 둥근 구멍을 만들고 통내부에 토양점차제를 바른것) 이 가장 유인효과가 좋았다. 3. 암놈의 성유인력은 우화후 4일까지 계속되나 1-2일에 가장 유인력이 컸으며 일영이 진행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였다. 우화후 2일까지 전체 유인율은 이었다. 4. 교미후 암놈의 성유인력은 급격히 감소하는데 그 유인율은 미교미한 암놈 에 대하여 교미한 것은 에 불과하였다. 5, 흰불나방의 성유인은 오전 3-7시에 일어나는데 유인최성시각은 오전 4-6시로서 약 가 이 시각에 유인되었다.
        4,000원
        22.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흔히 흰불나방의 피해를 입는 7개의 기주식물에서 채집된 흰불나방의 기주식물별 용의 크기와 포란수 및 그들간의 상관을 실내사육하여 보고된 결과와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의 체중은 기주식물의 종류와 자웅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웅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이태리푸라, 가래나무, 버즘나무, 네군도 단풍나무, 낙우송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고 웅용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낙우송, 버즘나무, 가래나무, 네군도단풍나무, 이태리 포푸라,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다. (2) 포란수는 기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의 평균치의 순위는 이태리포푸라, 가래나무, 낙우송, 네군도단풍나무, 버즘나무, 수양버들 및 벗나무 이었다. (3) 기주식물별 흰불나방의 용중과 포란수는 실내사육에 의하여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야외집단의 경우가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 공시기주식물은 모다 용의 크기와 포란수간에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23.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을 재료로 곤충의 교미습성중 우화시간, 교미시간, 1회교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나방의 우화후일령이 교미율에 미치는 영향등을 밝히기 위하여 실내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흰불나방은 오후 3시부터 우화가 시작되어 오후 12시경에 끝나며 우화최성시각은 오후 7-8시 사이었다. 이때 암컷은 숫컷은 우화하였다. 2) 흰불나방은 오전 5-6시 사이에 교미하여 그 외 다른 시간에는 교미하지 않는다. 1회 교미시간은 최단이 7시간, 최장이 17시간이며 그 평균은 12시간이었다. 3) 흰불나방은 2회까지 교미할 수 있으며 1회 교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실내시험결과 암컷은 1회 교미가,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 이었으며 숫컷은 1회 교미가 ,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암컷의 교미는 1회가 , 2회가 , 미교미가로서 야외의 것이 실내의 것에 비하여 2회교미하는 율이 높았다. 4) 흰불나방은 우화후 4일까지 교미한다. 우화된지 6-15시간후부터 교미하는데 이때에 의 높은 교미율을 보이지만 4일에는 의 낮은 교미율을 보인다. 5일 이후 교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웅보다 동일 일령인 것 끼리 교미하며 일령이 다른 것과는 거의 교미하지 않는다.
        4,000원
        24.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식이식물의 종류가 흰불나방의 용체중과 포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들의 영향은 식이식물의 N 함량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기 위해 실내에서 시행되었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용체중은 식이식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또한 그것은 자웅성별에 따라 그 차는 더욱 현저하였다. 식이식물의 종류에 따르는 자웅별 용체중의 차는 그 순위에 있어서 일치하였으며 가장 체중이 큰 것은 뽕나무로 사육한 것이었으며 가장 체중이 낮은 것은 사과로 사육한 것이었다(제1표. 제1도). (2)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과과 동일경향을 나타내었다. 란수가 가장 많은 것은 역시 뽕나무였고 가장 낮은 것은 사과였다(제2표, 제1도). 용체중과 포란수에는 고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제4표). (3) 공시식이식물의 N함량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를 나타내었다(제3표). 식이식물의 N 함량 용체중 및 포란수에 근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상관관계에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제4표)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