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30년대 이후부터 소위 여성호르몬이라 지칭되는 에스트로겐이 남성 생식에 유해함이 잘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녹아웃한 형질전환생쥐(estrogen receptor knockout, ERKO)를 사용한 연구들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남성 생식에서 주용한 역할을 담당함이 밝혀졌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자를 포함한 설치류 수컷 생식기관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분포, 발현 및 기능에 대한 근간의 연구들을 요약하고, 아울러 녹아웃 생쥐 모델과 그
        22.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ibutyltin chloride (TBTCI) is an organotin compounds that have been widely used as antifouling agents and bioaccumulated in the food chain. TBTCI has been known to induce imposex in female gastropods. There are several reports that TBTCI increased testosterone level and inhibited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estradiol by the aromatase cytochrome P450 enzyme. In this studi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BTCI on steroidogenesis in testes, We dosed to 4-week-old Spragus-Dawleys (SD) male rats with TSTCI (0, 1, 5, 10, and 20mg/kg/day) daily by gavage for 14 days. TBTCI significantly decreased the weights of seminal vesicle, prostate, cowper's gland and LABC at 10 and 20mg/kg/day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weights of liver at 10 and 20mg/kg/day and adrenals at 20mg/kg/day. mRNA levels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StAR) and P450 aromatase were decreased and mRNA levels of cytochrome P450 17-hydroxylase/ lyase (P450c17) were increased by TBTCI. TBTCI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testosterone level in dose-dependent manner. From above results, we found that TBTCI altered mRNA levels of enzymes related steroidogenesis, weights of organs and serum testosterone levels. This suggests that change of hormone levels may be due to alteration of mRNA levels of steroidogenic enzyme in testes,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hormone levels in testis organ in order to find a relation of enzyme related to steroidogenesis with hormone level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FDA Grant KFDA-03131-EDS-010.
        23.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로토닌(serotonin, 5-HT)은 아민류 가운데 카테콜아민과 더불어 중요한 체네 생리 및 행동 조절을 담당하는 신경 전달물질이다. 특히 'Prozac'으로 잘 알려진 항우울제는 5-HT의 세포내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로써 광범위하게 사용중인 약물인데, 알려진 부작용으로 사정 능력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는 5-HT에 의한 성 행동 또는 성 기능 조절기작이
        24.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 콩 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 79168 및 만숙성의 동북 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일본국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질소고정연구실 망실에서 진행하였으며, 등숙기간 중 체내성분의 영양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질소고정활성과의 관련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Acetylene 환원능(ARA) 등 각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 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 다. 조사는 Fehr et al. (1977)의 콩 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 R4 ), 입비대기( R6), 성숙시기( R7) 등과 일부품종은 착협시( R3 ) 및 R4.5, R6.5, R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 중 질소고정활성의 경시적 변동과 각 기관 건물중과의 관계를 우선 보고하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의 질소고정활성을 Acetylene 환원법으로 측정한 결과 pot당 Acetylene 환원능(p-ARA)은 공시품종 모두 R6에서 최고에 달한 후 급속히 저하하였다. 근류중당 Acetylene 환원능(s-ARA)은 조숙성 품종에서는 R4 ~ R4.5에서 최고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만숙성 품종에서는 R6까지 상승하고 기후 급속히 감소하였다. 근류중 및 숙주 각 기관의 건물중은 생육 각 단계 모두 숙기가 늦은 품종에서 커서 p-ARA도 만숙성 품종에서 높았다. 2. p-ARA와 각 기관 건물중은 모두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표준신회귀계수에 의한 상대적 기여도에서 보면 엽 > 근류 > 자실의 순으로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협곡, 근, 경은 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성숙시기에 있어서 지상부 총중 및 종실중은 조숙종에서 그 Biomass가 작았으나 수확지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