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act germinal vesicle (GV) arrest and release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fertility of mammals inducing human. Intact germinal vesicle release, maturation of oocytes is maintained by very complex procedures along with folliculogenesis and is a critical step for embryonic development.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has been suggested a key factor for meiotic arrest but so far its mechanisms are controversy.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s of cGMP 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in cumulus-enclosed oocytes and denuded oocytes. Spontaneous maturation was inhibited by a cGMP agonist, 8-Br-cGMP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s both in cumulus-enclosed oocytes and denuded oocytes.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evere in denuded oocytes than cumulus-enclosed oocytes. The Rp-8-Br-cGMP and Rp-pCPT- 8-Br-cGMP did not severely block GVB compared to 8-Br-cGMP. The spontaneous GVB inhibitory effects were different by the existence of cumulus. Based on them it is suggested that the cumulus modulates the role of cGMP in GV arrest.
        23.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ytological changes of the epithelial cel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atal phases of the seminal vesicle related to the spermatogenic stages in the testicular lobules during spermagenesis in male Neptunea (Barbitonia) cumingii (Gastropoda: Buccinidae) were investigated monthly by electron microscop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N. (B) cumingii is dioecious, and an internal fertilization species. The male genital organ is located near the tentacles.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ley 50 μm in length. The axoneme of the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les at the periphery and one pair at the center. The process of germ cell development during spermatogenesis can be divided into five succesive stages: (1) spermatogonia, (2) primary spermatocytes, (3) secondary spermatocytes, (4) spermatids, and (5) spermatozoa. A considerable amount of spermatozoa make their appearance in the testicular lobules (or acini) and some of them are tranported from the testis towards the seminal vesicles until late July.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al phases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seminal vesicles of N. (B.) cumingii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phases: (1) S-I phase (resting), (2) S-Ⅱphase (early accumulating), (3) S-Ⅲ phase (accumulating), and (4) S-IV phase (spent). However, in case of N. (B.) arthritica cumingii, the developmental phases of the seminal vesicle were devided into three phases: (1) resting, (2) accumulating and (3) spent. Granular bodies in the inner layer of the seminal vesicles are involved in resorption of digestion of residual spermatozoa.
        2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베지클인 glyceryl citrate/ lactate/ linoleate/ oleate를 이용한 수중유형 형태의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해 항산화 효과, 세포 생존력, 단백질과 관련한 효소의 영향, 피부 침투도 그리고 피부에 대한 보습 및 탄력 등의 약용화장품적인 측면에서의 전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항산화력 및 세포 생존력에 대해선 각각 DPPH법과 MM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에 대한 또 다른 성질은 2D-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및 컨포칼, in-vivo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은 MMP발현에 관련한 단백질 억제 및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막고 라디칼의 소거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종전의 레시친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보다는 새로운 베지클을 이용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피부 침투가 매우 효과적임을 CLSM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28일 동안의 한국 성인 여성 11명을 통한 보습 및 탄력 인비보 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형태의 나노에멀젼을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에 유화조건, 유화제 종류, 유화제 농도 그리고 아스타잔틴 농도에 따라 최적화를 되었다.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은 제타포텐셜, FF-SEM, 입도분석기,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160 ~190 nm로 균일하였으며 레시친에 의한 나노에멀젼 보다 glyceryl citrate/lactate/linoleate/oleate에 의한 나노에멀젼이 더욱 안정하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졌다. 아스타잔틴의 봉입도는 HPLC, FF-SEM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으며, 제형 구성 후 보관조건에서의 안정도 및 제타 포텐셜 값도 -41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라토닌(N-acetyl-5-methoxytryptamine)은 포유동물의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과 생체 리듬 등을 조절하고 난소 기능과 번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강력한 scavenger로서 항산화제의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멜라토닌이 생쥐 난구세포-핵낭(germinal vesicle, GV) 시기 난자 복합체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3주령의 ICR 암컷 생쥐의 난소에서 회수된 난자-난구세포 복합체
        2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성숙의 Germinal Vesicle(GV 단계에서 성숙한 Metaphase II(MII) 단계가 되는 난자성숙 과정은 핵과 세포질의 성숙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수정과 배 발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GV 난자는 prophase I 단계에 arrest 되어 있다가 meiosis 과정을 거쳐 성숙한 MII로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기작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성숙 난자와 성숙 난자간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