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41.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년(1989-2008년)간의 우리나라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남해안의 기상재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년 동안에 남해안에서 발생한 기상재해는 총 149건으로 연평균 7.5건이었다. 7월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월, 9월의 순이었다. 7-9월의 기상재해가 전체의 약 42%를 차지하였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여름에 가장 많았고(전체의 약 39%), 그 다음은 가을, 겨울, 봄의 순이었다. 여름에 기상재해가 가장 많은 것은 주로 태풍과 호우와 같은 기상현상 때문이다. 태풍 중에서도 특히, 남해안에 상륙하는 경우가 대규모의 인적 물적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와 같은 태풍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9112호 글래디스와 0215호 루사 그리고 0314호 매미를 들 수 있다.
        4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6년 2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51과 130속 152종 1품종 18변종 등 총 171분류군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출현종은 Calystegia soldanella(갯메꽃), Ischaemum anthephoroides(갯쇠보리), Imperata cylindrica va. koenigii(띠), Vitex rotundifolia(순비가나무), Carex pumila(좀보리사초), Carex kobomugi(통보리사초) 등으로 나타났다. 본 지역에서 조사된 171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113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dible source, E)은 73종류(40.5%), 약용자원(Medicinal source, M)은 61종류(33.9%), 초지자원(Pasture source, P)은 22종류(12.2%), 관상자원(Ornamental source, O)은 16종류(8.9%), 섬유자원 (Fiber source, F)은 7종류(3.9%), 목재자원(Timber source, T)은 1종류(0.5%)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분류군이 조사지역내 분포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 III IV V등급 식물은 24과 28속 2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171분류군의 16.9%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9과 16속 19분류군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71종류의 7.0%이다.
        4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floristic composition table and cluster analysi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veget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was classified mainly into 2 communities such as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the Lysimachia mauritiana-Rosa wichuraiana community. The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community were classified as the lower rank o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On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Lysimachia mauritiana and Rosa wichuraiana group, also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in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which is similar to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shown in the synoptic table. On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relev, inland coast with Jejudo was Lysimachia mauritiana and Rosa wichuraiana of group such as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and island coast with Geomundo was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of group such as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