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81.
        201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morning-afternoon asymmetry of the geosynchronous magnetic field strength on the dayside (magnetic local time [MLT] = 06:00~18:00) using observations by the 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s (GOES) over a period of 9 years from February 1998 to January 2007. During geomagnetically quiet time (Kp < 3), we observed that a peak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skewed toward the earlier local times (11:07~11:37 MLT) with respect to local noon and that the geosynchronous field strength is larger in the morning sector than in the afternoon sector. That is, there is the morning-afternoon asymmetry of the geosynchronous magnetic field strength. Using solar wind data, it is confirmed that the morning-afternoon asymmetry is not associated with the aberration effect due to the orbital motion of the Earth about the Sun. We found that the peak location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shifted toward the earlier local times as the ratio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t MLT = 18 (B-dusk) to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t MLT = 06 (B-dawn) is decreasing. It is also found that the dawn-dusk magnetic field median ratio, B-dusk/B-dawn, is decreasing as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is increasing. The morning-afternoon asymmetry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ppears in Tsyganenko geomagnetic field model (TS-04 model) when the partial ring current is included in TS- 04 model. Unlike our observations, however, TS-04 model shows that the peak location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shifted toward local noon as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grows in magnitude. This may be due to that the symmetric magnetic field associated with the magnetopause current, strongly affected by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increases. However, the partial ring current is not affected as much as the magnetopause current by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in TS-04 model. Thus,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partial ring current at geosynchronous orbit is much larger than that expected from TS-04 model as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increases.
        83.
        200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교량상을 이동하는 차량의 차축하중을 교량의 동적거동을 계측하여 추정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으며, 교량을 보로 모델하여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가속도는 교량에서 직접 계측하였으며, 변위는 가속도와 같은 위치에 부착한 변형률을 변환하여 계산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절점하중벡터는 속도별로 준비해둔 절점하중변환행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을 수치예제와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수치예제에서는 계측오차와 속도 및 위치오차가 하중식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8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이더 리프렉터를 소형어선, 어망 부이, 어업용 바지선 등에 장착할 경우 최적설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최적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단계로써 소형어선, 어망 부이, 어업용 바지선 등이 파랑에 의하여 어떠한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해양 부유체식 어업용 바지선 구조물을 대상으로 파랑에 의한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어업용 바지선 구조물의 파랑 중 응답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종 영향인자, 즉 파의 길이, 수심, 입사하는 파의 방향 등이 바지선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이러한 응답 특성을 토대로 어업용 레이더 리프렉터를 바지선이나 소형 선박에 설치하였을 경우 파랑에 의한 영향이 레이더 반사 면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8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육지면적의 부족, 육상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로 해양의 이용 및 개발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해양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시간이력해석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파랑하중에 의한 부체변형을 이용한 시간변위이력 산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주기 및 진폭의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물의 동적 시간이력응답 결과를 분석하고 초대형 부유식 상부구조물 시설계안의 동적구조안전성을 평가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