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101.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nature, many small insects are using jumping as a survival strategy. Among them, fleas jump in a unique method. They use an elastomer, 'Resilin’, an extensor muscle and a trigger muscle. By contracting the extensor muscle, the elastic energy, that makes a flea to jump, is stored in the resilin. After storing energy, the trigger muscle begins contracting and pulling the extensor muscle. When the extensor muscle crosses the rotational joint, direction of torque generated from the extensor muscle reverses, ‘torque reversal mechanism’. Simultaneousl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resilin releases rapidly and is converted into the kinetic energy. It makes a flea to jump 150 times its body length. In this paper, miniaturized jumping robot using flea-inspired catapult mechanism is presented. This mechanism is based on the 4-bar linkage and the reversal joint and is actuated by Shape Memory Alloy (SMA) coiled springs describing the flea’s muscle. The robot prototype is fabricated by SCM process using glass fiber prepregs and a sheet of polyimide film. The prototype is 20mm link length, 34mm width and 2.0g weight and can jump 103cm.
        102.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ructral technologies on the lightweight composite slab systems with sound reduction layers in the modular house. In this study, two kinds of slabs with minimum thickness was suggested reducing the floor impact soun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the flexural strenth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one-way full scale specimens. From the results of test, we know that the proposed slabs had ductile behavior and would be safe sufficiently.
        10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합재료 구조물에서 치수효과를 고려한 파괴 메카니즘은 아직 적절한 이론이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복합재료 강도는 구조물 설계 시 중요한 재료상수이므로 이 강도를 정확하게 산정함에 있어 치수효과를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대형 구조물일수록 실제 복합재료구조물의 강도는 실험실 강도보다 현저하게 적다. 복합재료 구조물의 파괴 강도 영역을 얻기 위해서는 감소된 강도를 강도이론에 사용하여야 한다. 그 영역은 Tsai-Wu의 응력 공간을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파괴에 대한 치수효과를 취급하는 한 과정을 제시하여 Filament Winding 이외의 방법에 의한 제작이나 유리섬유 이외로 만들어진 구조물의 치수효과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고 강도를 측정하는 데 지침이 되게 하고자 하며 복합재료 구조물의 여러 가지 파괴이론들도 또한 언급한다.
        104.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단순지지된 샌드위치 슬래브 교량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더나 가로보를 포함한 대부분의 교량시스템에서 교량 상판은 특별직교이방성판으로 거동한다. 이러한 단면을 갖는 시스템은 Navier 해법이나 Levy 해법 형태와는 다른 경계조건 또는 불규칙한 단면을 갖게 되어 해석적 해법을 얻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유한차분법이 이용되었다.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교량을 설계하기위하여, 단면은 가장 경제적이면서 응력에 유리한 폼코어 형태를 채택하였고, 응력을 산출함에 있어서는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복합신소재 특수기술자의 실험을 기초로 질량이 증가에 따른 파이버의 인장강도 감소를 나타내는 공식을 도출하였다. 이 공식으로부터 치수 증가에 따른 인장강도 감소량을 구 할 수 있다. 파괴강도는 Tasi-Wu의 파괴강도이론을 이용하였다. 파괴강도해석은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장강도의 감소를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