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육조단경』에 나타난 무상(無相)과 무주(無住)의 의미 를 통해 돈오(頓悟)와 무념(無念)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육조단경』에서 드러나는 육조 혜능의 선사상은 『열반경』의 불성사상과 『금강경』의 반야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혜능은 일체중생이 본래 구족하고 있는 반야의 지혜와 자성(自性)의 청정한 본성을 깨달아 망상과 미혹에서 벗어나 지혜인(智慧人)이 되도록 설법하고 있다. 이처럼 지혜와 자성을 단박에 깨닫도록 하는 혜능의 주장은 남종선의 근본적인 깨달음의 입장과 일치한다. 남종의 반야사상은 수증의 실천론으로서 무념, 무상, 무주의 선법(禪法)에서 정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혜능은 모든 중생에게 동일한 불성이 존재한다는 초기 선종의 흐름을 따르면서 자성(自 性)과 자심(自心)의 불성 관점을 구체화 시키고 있다. 『육조단경』은 선 사상의 핵심으로 돈오(頓悟)를 제창하면서 수행론인 동시에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할 경지로서 무념, 무상, 무주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육조단경』에서 돈오의 배경으로 제시된 불성론과 반야론 입장에서 무념, 무상, 무주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7,7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ity of silence research has been limited in a negative perspective in which silence was stigmatized as passive non-behavior or counterproductive behavior in the organiza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broader and balanced approach of silence as a way of active communication in daily communication and investigated its social functions. The Eighty college studen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asking context cues, the reasons, and the consequence of intentional silence in daily life. The reasons and consequence were categorized to extract their structural factors. Eleven factors of silence reasons were abstracted: “partner caring”, “conflict avoidance”, “thinking arrangement”, “dissatisfaction”, “discomfort”, “embarrassed”, “annoyingness”, “misunderstanding”, “no-idea”, “uninterestedness”, and “ignorance”. The silence consequence data revealed 11 factors such as “turning topic”, “understanding and accepting silence”, “apologizing”, “partner's efforts of resuming communication”, “escaping discord”, “continuation of partner's unilateral speaking”, “misunderstanding”, “partner–embarrassed”, “awkwardness”, “stop communicating”, and “nothing happened”. Furthermore, the analyses on frequencies of silence reasons by partner's gender or relational attribute(vertical vs. horizontal) showed the pattern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found in verbal communication literat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silence is not meaningless inaction but active and goal-driven communication. Its functional implications in cultural contexts were discussed.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