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daily written communication, speakers occasionally use the nonstandard, abbreviated form “ㅕ” instead of the standard “ㅟㅓ” when combining verbs ending in “ㅟ” with suffixes beginning with “ㅓ”.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ㅕ”using corpus data and investigates the sequential aspects of its usage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First, eight verbs ending in “ㅟ” are selected, and the frequency of “ㅟㅓ” and “ㅕ” in four types of uncorrected written corpora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in messenger and online conversation corpora, the “ㅕ” form is used in a majority of instances for verbs such as “바뀌다” (to change) and “사귀다” (to dat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relational context,” such as speaker-listener intimacy, contact frequency, and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fect the usage, wherea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no linear causal relationship. Meanwhile, conversation analysis show that the use of the abbreviated form “ㅕ” is related to affiliation achieved within sequential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promote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linguistic phenomena by analyzing them through the parallel application of two empirical methodologies.
        6,600원
        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traces the origin of the current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back to the 19th century to engage in a discursive analysis of Romanization. Central to this discussion is the question of what the object of the discourse is, as discourse is not inherently given but is constructed through a particular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Romanization in the 19th century to identify the object of the Romanization discourse and the trajectory it followed. Furthermore, it investigates 19th-century texts that addressed Romanization issues to seek for the perception of the West in Joseon during that era. The shift in Western perceptions of Joseon led to the initia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Romanization systems.
        6,000원
        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 하여 [華]로 표기된 한자가 무엇을 의미하고 그 속에 포함된 한자의 원류를 찾아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에 출판된 자전석요(字典釋要)(1909), 한선문신옥편(漢鮮文新玉篇)(1913), 자 전대해(字典大海)(1913), 자림보주(字林補註)(1924) 등의 한자자전을 중심으로 [華] 로 표기된 한자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살피면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전거(典據)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원류를 파악하고 이 한자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변용되어 사용되는지를 살펴서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당시 사용된 한자의 실태와 역사적 변천사의 재구를 실현함으로써 언어 문자학사와 지성사의 연구는 물론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 연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아울러 한자문화권의 주요 국가인 중국과 일본 등 같은 성격의 자료 비교를 통해서 당시 사용된 한자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8,1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동해 표기에 관한 학술 논의의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새로운 지명 사용의 환경 변화에 비추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제안하는 목적을 갖는다. 지난 30년의 학술 논의가 가져온 가장 큰 성과는 동해 표기 분쟁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키고 분쟁의 해결이 필요함을 사회정의, 평화, 인권 등 인류 보편가치의 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해법으로서 두 이름을 함께 쓰는 방법의 가능성과 혜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분쟁지명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 증진, 문화적 가치 존중과 사회변화에 대한 요구, 영향력 있는 MZ세대의 등장, 지구적 환경에 대한 관심사 증가 등에 주목하였고, 각 변화의 단면을 고려하는 연구 주제가 제안되었다. 향후 연구의 지향점은 모든 세대가 수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명 사용의 요소로 정리된다.
        4,500원
        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주변이 표시된 유럽 고지도와 고해도를 연구할 때, 존 해리슨에 의한 해상시계의 발명이 있었던 18세기 후반 이전의 지도와 이후의 지도를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초자오선이라는 경도의 기준은 프톨레마이오스가 설정하고 네덜란드 지도제 작자들이 지속해서 사용했던 카나리아 제도였거나, 자편각이 0이 되는 자오선의 발견에 따라 아조레스 군도, 베르데 곶 등 대서양의 다양한 자오선이 본초자오선으로 채택되었다. 1884년 워싱턴 D.C. 국제회의를 통해 표준화될 때까지 자국 천문대 기준으로 경도 좌표 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수십 개의 본초자오선이 존재하였었다. 그리니치 본초자오선 채택 이전의 지도와 해도들의 경도 표기를 통해 제작 국가와 발간연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본초자오선과 상관없이 해상시계의 사용 이전의 부정확한 경도 측정으로 인하여 한반도의 모양과 위치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300원
        6.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韓國에서 漢字와 漢文에 대한 교육이 국가 차원에서 일대 전환을 이루는 시기는 甲午改革 이후부터이다. 국가의 鄕校, 四學, 成均館 및 민간의 書院, 書堂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종래의 전통적 교육은 기본적으로 漢文 能力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대적 학교 교육 체제가 추구하는 보통교육과 기술 및 직업 교육은 기본적으로 言文一致를 전제로 하는 國文 能力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甲午改革 이후 근대적 학교 교육 제도와 言文一致의 語文政策을 본격적으로 수립하고 추진해 나간 국가 기관은 學務衙門이다. 이 논문은 먼저 학무아문 官制에 나타나 있는 學務衙門의 管掌 사무 내용과 새로운 관리 임용 방식을 규정한 銓考局 條例의 주요 내용을 통해 전통적 교육 체제에서 근대적 학교 교육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漢文이 상대화되고 國文이 새롭게 등장하게 되는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국가의 公式 文書 表記 규정인 公文式의 내용을 재검토함으로써 학무아문 이 추진한 語文政策의 성격과 그 의의를 재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4,900원
        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onetically if the spelling error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related to learners’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plain, tense, and aspiration sounds of foreign Korean learners using a Pra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ata produced by 18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eign Korean learn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in plain and aspiration sound among initial obstruent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remely strong or very weak pronunciation of the word, because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intensity of range in plain sounds. Second, the more accurate the learner’s perception was, the more accurate production can be made.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by 0.178 each time the perception rate increased by 1.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s establish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is a relationship that increases by 0.652 each time the pronunciation increases by 1.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may often write words as they pronounce them.
        5,5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nse, aspect and epistemic modality belo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have the effect of transforming virtual events into actual events. Linguistic typology studie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future tense into epistemic modality is a common feature of human languages. The future tense markers "- 겠 -" and "Yao"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ve the conceptual meanings of "speculation" and "intention", which are used to describe the future events. The description of the future events can be divided into objectively inevitable events and subjectively inevitable or possible events. For these two cases, due to the uncertainty of future events, both of them show strong subjectivity. Therefor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peaker's certainty of subjective evaluation: inevitability, possibility and virtual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 겠 -" and "Yao" in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explain the cognitive mechanism behind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5,100원
        9.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 8월 뉴욕에서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총회에서 한국과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본해 지명의 부당성을 주장하면서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일본해는 19세기 서구에서 확립된 유일한 명칭이므로 일본해 이외에 다른 명칭을 단호히 거부하고 있다. 그동안 한일 간에 동해와 일본해를 둘러싼 논쟁과 분쟁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한일 대학생들의 동해/일본해 지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대학생들은 일본해 지명에 대해 좋지 않은 이미지와 감정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표준 지명으로 한국의 대학생들은 동해를 선호하고, 일본의 대학생들은 동해/일본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한일 대학생들은 공통적으로 한일 정부의 논의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4,500원
        1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art of research on the Chinese subjective decrement marker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combinatorial aspect and semantic characteristic of them through a synchronic and diachronic research especially into ‘不怎么’ and ‘不那么’, both of which are of profound significance for expressions denoting the subjective decrement. By means of doing so, the work seek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further to clarify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whereby they are used as markers showing the subjective decrement. “Quantity is an important category with which humans perceive, understand and make expressions of the world”, and “the quantitative category of the linguistic world is divided into objective quantity and subjective one”. The subjective quantity is defined as that which comes to have subjectivity due to the speaker'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objective quantity, and is usually divided into large and small one.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ive quantity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and there have been remarkable achievements made with regard to it even in Chinese language studi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that most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e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of expressions denoting the large subjective quantity and small one. What needs to be paid attention to, in this respect, is that the Chinese language also has expressions for the subjective decrement such as ‘不怎么’ and ‘不那么’ in addition to those for the large and small subjective quantity. For all that, few researchers have observed and analyz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ive quantity.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considers ‘不怎么’ and ‘不那么’ to be the subjective decrement markers most of all, analyzing the combinatorial aspect and semantic characteristic of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rough a synchronic research. Then, another analysis of their degrees of lexicalization is conducted through a diachronic research into their semantic expansions and frequency increas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ir periodic examples. The work, in the last analysis, deduces their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along with the background analysis of how meanings of the subjective decrement have come to be generated in them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not in other interrogatives or demonstratives.
        6,600원
        11.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명과 지명을 의미하는 단어가 한자음과 원지음으로 표기되는 양상과 용법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인명이나 지명을 의미하는 두 가지 표기 단어가 동의어가 아니라 유의어라고 가정하고 한자음 표기 단어와 원지음 표기 단어의 차이와 언어학적 레지스터를 밝히기 위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한자음 표기와 원지음 표기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말뭉치와 소셜미디어 등에서 단어가 출현하거나 검색되는 빈도를 조사하였다. 빈도의 측정 결과 1986년 이후 현행 외래어표기법에서는 중국의 고유명사를 중국 현지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하였지만, 매체의 특성이나 텍스트의 성격에 따라서 이전과 마찬가지로 한자음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적은 않았다. 둘째, 말뭉치로부터 한자음 표기 단어와 원지음 표기 단어가 출현하는 문장들을 추출하고, 용례 문장에 포함된 명사들로 구성된 텍스트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명사들의 연결중심성과 하위집단을 분석한 결과 한자음 표기 단어가 사용되는 문맥과 원지음 표기 단어가 사용되는 문맥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700원
        1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유입된 한자어는 국어화한 보통명사, 고유명사, 새로운 개념어, 그 외 개별 음역 차 용어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국어화한 보통명사는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하고, 개별 음역 차 용어는 단어마다 특유의 독음법이 정착하였다. 반면 고유명사와 새로운 개념어는 한국 한자 음과 중국 원지음을 기반으로 한 표기라는 두 가지 독음 방법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한자는 다른 외국어와 달리 국어의 영역에 있었으나 현대에 와서 외국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한자어의 독음에 대한 논쟁은 이러한 인식 차이에서 기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 서 중국에서 유입된 한자어를 분류하고 그 독음 표기가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분석한다.
        4,900원
        1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중국 지명과 인명을 어떻게 표기하고 읽는지에 대해서 한자문명의 공통자산으로서 한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일본어 안에는 음성언어가 한자를 중심으로 한 문자언어와 상호보완적인 의존관계에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한자가 일본어 안에서 시니피앙(signifiant)으로서 갖는 위상과 기능을 검토하고 그것이 중국 고유명사를 어떻게 적고 읽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직결됨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근대 이후 일본에서 중국의 인명과 지명을 어떻게 표기하였으며 그것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하는 역사적 경위를 살펴본다. 또한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안의 서로 다른 언어권 간에 지명과 인명을 차용할 때에 한자음을 취할 것인가 현지음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의 성질에 대해서도 고민해 본다.
        5,100원
        1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떤 주장을 두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는 일은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다. 그 책무를 다하려는 이 작업은 따라서 ‘중국어 원지음 표기와 한국어 정체성 보존’이라는 구체적 문제에 접근하는데 어떤 방법이 더 타당할지를, 또 이를 토대로 어떤 제언이 가능할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주된 방법론적 틀은 수렴과 분기의 변증법적 관계설정으로 삼는다. 궁극적으로는 문화적 고정성과 유동성의 모순을 한쪽으로 환원·포섭하려는 이론 생산 및 논의 주체의 욕망을 들여다보려 애씀과 동시에 그것이 생성시킬 벡터의 정당성은 다름 아닌 대중문화의 향유 주체인 대중과 일상적 언어생활의 영위 주체인 언중의 억눌린 욕망이 해방되는 장을 상 정할 때 비로소 획득될 수 있다는 주장을 내어 놓으면서 또 다른 비판적 종합을 기다린다.
        5,800원
        1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ing on anchogongs(按草工) in yeonggeonuigwes(營建儀軌), which were recorded with few details and in unsettled transcriptions. First,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anchogongs in 18th censtury are analyzed by comparing to anchogongs in more detailed early 19th century yeonggeonuigwes and those in extant buildings. Second, with the resul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are presumed in changing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in those uigwes. In 18th century uigwes, most of anchogongs are functioned as matbo-anchogongs and only four anchogongs in a gate building were used as jongryang-anchogongs. It is mainly because the sorts of buildings in 18th century yeonggeonuigwes had only several varieties: most of the buildings belonging royal shrines.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had been changed for reflecting functional developments of anchogongs in 18th century. However, reflections were much later than changes of actual functions.
        4,000원
        1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제 강점기의 국어는 근대후기 국어와 현대국어를 잇는 과도기로서, 두 시기의 표기상의 특징이 혼재하고 있다. 이 시기에 출판된 근대적 성격을 띤 한자 자전의 한글 뜻풀이 표기 방식은 현대국어 표기법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일제강점기 자전의 한글 뜻풀이를 국어의 음운 현상과 연계시켜 그 표기 양상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당시의 한자 자전이 지닌 자료적 가치와 시대적 위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5,200원
        1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som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vocabularies that have to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problem of decode, the problem of meaning, the meaning of explain meaning, and the problem of form analysis. Especially, correct decode and interpretation of Uigwe’s Korean ancient architecture borrowed character can correct old decode and interpretation. Furthermore, I confirmed that I could correct the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that was expiscated wrongly. Especially borrowe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머름[meoreum](paneling) have been known only far away 遠音[meoreum]. In addition, there were also 遠驗[meolheom] ·亇乙軒[meolheon] ·亇乙險[meolheom] · 亇乙音[meoreom], and so on.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decode these notations, it has become possible to assume that the original words of the modern language 머름[meoreum] also came from *멀험[meolheo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kinds of people like 付叱心[bussim] ·夫叱心[bussim] ·扶叱心[bussim] ·富叱心[bussim] ·富心[bussim]과 北叱心 [bussim] ·北心[bussim]. You can also check the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However, corresponding words are difficult to find in modern Korean languages. However, in Jeju dialect, we can confirm the corresponding word. This word was us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firmed that it is dead language today. As mentioned above,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about the decode and meaning of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made of borrowed character in existing architectural dictionaries, Korean dictionaries, and Korean ancient architecture related papers. Also, although the form is being confirm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things that need to be clarified, such as what the decode is, what the meaning is, and the origin I have also confirmed a number of things that need to be properly expomed in the original form, the original word. In the future, those who study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and traditional architectural vocabulary should also be interested in these things and research it properly.
        4,000원
        1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ese often use some pronouns as Exclamatives tone markers, such as "zhe" "Na" "zheme" "name" "Shenme", and they can be noun phrases, adjective and verb phrases constitute a minority of some commonly used exclamation structure, these exclamation structure have different features. The author intends to syntactic structure, semantic features and pragmatic aspects of a preliminary study on them. The adverb marked exclamatory sentence features: first, if the adverb in the exclamatory sentences, then the sentence is generally exclamation exclamatory center adjectives, state adjectives cannot be used in exclamatory sentence; second, adverb as a marker of exclamatory sentence semantics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speaker's subjective standard, objectivity weak. This kind of Exclamatives objective level is relatively low, the subjective color is very obvious, this type of exclamatory sentence is judged from the speaker's subjective standard, objective understanding and others are not consistent. The characteristics of exclamatory sentences marked by pronoun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Ni" "zhe" and the noun predicate constitute an exclamatory sentence, the way of expressing feelings is negative. General ellipsis. "Ni" "zhe" after the addition of nominal predicate exclamatory sentences can only use the second person pronouns. But behind the plus noun predicate, second person or third person can use; second, "Shenme" "hedeng" "zenme" "Zenyang" "duoshao" interrogative pronouns in exclamatory sentences are used to represent the exclamatory mood, then you no longer have the pronoun itself with the interrogative mood.
        5,100원
        1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에 따라 분류된 소비자 그룹에 대하여 아웃도어 재킷의 행택 타입에 따른 정보 이해도와 기능성 의류제품 정보 표기의 대안적 방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행택타입에 따른 이해도 를 알아보기 위해서 투습방수성능 표현한 네 종류의 행택(‘그림만으로’, ‘그림+한국어 설명’, ‘그림+외국어설명’, ‘그래프’)을 제시하여 행택을 통해 알 수 있는 성능을 답하게 하였다. 기능성 재킷의 인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을 위해, 20-60대 472명의 남녀를 세 그룹(‘비전문적/브랜드ㆍ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 ‘고가 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적용하여 행택 타입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 자 유형과 관계없이 ‘그림만으로’ 표기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래프’ 표기 방법을 가장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답률에 있어서는 ‘그래프’표기 방법이 가장 높았으며 소비자 유형 중 특히 ‘전문적/기능성 중시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의류를 인식하는 유형에 따라 정보 표기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문적/기능성 중시 집단’은 대안적 표기 방법에 있어서 ‘세탁 후의 성능변화’ 등과 같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표기해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능성 의류를 인식하는 유형에 따라 행택(hang-tag)에 표현 된 성능정보의 표현방법에 따른 이해수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으므로 연령, 성별 등의 단순 인구통계학적 분류보다 타겟층의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유형, 제품의 특성 등을 종합하여 적합한 표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300원
        20.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05년 을사늑약 전후에 저술된 현채 일가의 지리교재를 분석하여 그들의 동해 지명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까지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를 북해로 불러왔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1905년 러일전쟁 이후 이 바다에 대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외래지명 일본해가 공식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나아가 일본해는 을사늑약 이후 한국에서도 통감부의 관여로 공립 보통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당시 한국의 민간 지리교과서 집필자들은 일본해 지명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현채와 그의 아들 현공렴은 을사늑약 이후에 지리교과서, 지도, 지도집을 완성하면서 일본해에 대한 자주적 입장에서 동해 또는 대한해를 사용하거나 최소한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했다. 하지만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공 ․사립학교를 불문하고 모든 지리교과서와 지도에 이 바다의 명칭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본해로 통일되었다.
        5,1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