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들의 분포가 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생물 간의 경쟁이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은 경쟁자의 풍부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개미는 경쟁을 연구하기에 이상적인 생물이다. 본 연구는 경쟁의 강도와 온도와의 관계와 경쟁이 개미의 분포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온이 다른 6개 조사지에서 유인트랩을 이용하여 경쟁을 조사하였고,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풍부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에서 나타난 패턴의 일반성을 밝히기 위해 한국개미조사자료(344개소)를 이용하였다. 개미의 종간경쟁 강도는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 종모양의 패턴이 나타난 반면, 종내 경쟁 강도는 계속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 조사자료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경쟁과 종풍부도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개미의 경쟁에서 일본장다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추종이었다. 그러나 개미의 경쟁은 개미의 분포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온라인 게임 시장에 대해 장르 구분에 의거한 경쟁 구조를 가정하고, 장르에 따라 분류된 하부시장 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경쟁 강도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플레이타임 합계 기준으로 볼 때, 온라인 게임의 장르별 점유율은 "RPG 〉 FPS/RTS 〉 스포츠 〉 아케이드/포커 〉 고스톱 〉 보드/레이싱"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2)플레이타임 점유율 기준으로 볼 때, 장르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하부 시장 구조 내에서 게임 간 경쟁 강도는, "RTS 〉 레이싱 〉 FPS/스포츠 〉 고스톱 〉 포커 〉 아케이드/보드 〉 RPG"의 순서로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경쟁 강도의 높고 낮음에 대한 평가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경쟁 강도가 높을수록(RTS 〉 레이싱 〉 ·s), 이용자가 가지는 게임에 대한 충성도와 재이용률이 낮은 반면 교체이용 성향이 높게 나타나므로, 신규 게임의 시장 진입 장벽이 낮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반대로 경쟁 강도가 낮을수록(·s 〉 아케이드/보드 〉 RPG), 이용자가 가지는 게임에 대한 충성도와 재이용률이 높은 반면 교체이용 성향이 낮게 나타나므로, 신규 게임의 시장 진입 장벽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