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근로자가 인식하고 있는 친구의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 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3차 자료(2023) 중 ‘보통 읽기 자료 그룹’에 속하는 발달장애인 중 446명을 대상으로 결측치를 제거하고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장애유형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유무와 생활만족도 간 긍정적 자아개념은 이들 사이를 부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근로자가 인식하는 친구의 유무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 긍정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발달장애인 근로자가 직접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복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인권활동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배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유아 16명과 비교집단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자아개념과 배려행동연구를 하였다. 인권 활동은 교실에서 진행이 되었으며, 실험집단은 대집단활동 시 인권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1주일에 2번씩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대집단활동 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인권에 관한 활동을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인권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유아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인권활동을 실시한 결과, 배려행동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행동, 능동적 행동, 규범적 행동, 가치부여적 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었다. 영유아의 인권활동이 영유아를 둘러싼 환경속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과 타인을 배려하는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 이러한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현장의 연구노력은 앞으로도 더욱 다양하게 시도되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