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 제품혁신, 비즈니스프로세스혁신(이하 BP혁신),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기존에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제품혁신과 BP혁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의 원자료에서 결측치를 제외한 3,982 개의 기업의 응답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 제품혁신, BP혁신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P혁신은 제품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제품혁신과 BP혁신의 긍정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BP혁신이 제품혁신의 경로를 거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제품혁신과 BP혁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위해 BP혁신과 제품혁신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 점이 있다.
신제품개발은 기업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활동이다. 특히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신제품개발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진다.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흡수역량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신제품개발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작하였다. 기업가적 지향성과 흡수역량은 경영전략차원에서 경쟁력 강화의 중요한 자원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이들 간의 관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연구 시도는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261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제품개발 성공에 있어 기업가적 지향성과 흡수역량의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하부요인 중에 혁신성은 신제품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흡수역량의 경우, 외부지식을 탐색하는 잠재적 흡수역량은 신제품개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기존 지식과 자원을 활용하는 실행적 흡수역량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흡수역량이 혁신성을 불완전매개하고 진취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가적 지향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에 직결되기 위해서 기업의 지식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탐색, 활용하는 흡수역량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 활동이 기업가적 지향성의 방향과 정렬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