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30년에는 24.3%로 고 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추계된다(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 구소, 2010). 이에 노인들이 주체적이고 의미있는 노후생활을 보람있게 보낼 수 있는 방안으로써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노인자원봉사 참여동기 및 자원봉사 활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사회적지 지와 노화불안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본 논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특성 및 만족도, 자아통합 및 성공적 노화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자원봉사활동 특성 및 만족도가 자아통합을 매개효과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궁극적인 목표는 고령자를 위한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성공적 노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원 봉사 활동에 관한 문헌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 하였다. 경기도 및 서울 일부 지역노인 들을 대상으로 총389 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고 있는 노인들의 자아통합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이 밝혀졌고 노년기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을 주는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면 첫째, 자원봉사 분야에서 노인들의 전문 봉사활동 기회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재원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지속적인 자원봉사를 위해 체계적인 노인 건강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측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특성,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활동이론, 확산이론, 교환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는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이론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적합성을 설명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으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어려움, 둘째 잠재적 노인 자원봉사자 활용의 소극성, 셋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미흡, 넷째 자원봉사활동의 법적, 제도적 지원체계와 재정지원의 미흡,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체계적인 조직 관리의 미흡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활성화방안으로는 첫 번째, 노인에 대한 의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하며, 두 번째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련법을 제정 및 지속적인 활동의 동기부여 등을 위한 다양한 보상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