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판적 수용 측면에서 한문과 교육과정 한시 영역의 목표와 내용 ‘지식’의 선정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전 세계적인 교육 변화의 화두로, 2000년대 초반부터 급부상한 미래 대비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 방식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수많은 비판을 받아 왔지만, 그 비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교 교육에 적합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지속되리라는 전망에 따라, 한문과 교육과정 한시 영역의 목표와 내용 지식 선정에 있어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목표 설정 시,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 및 한시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역량 관련 내용을 포함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내용 지식 선정 시,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 한시의 특수성 및 교육과정 실행을 고려하여, 강력하고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유를 통한 철학적 사고 형성과정에서 비유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논의와 함께 비유가 가지는 다양한 제한성에 대한 탐구의 논문이다. 유아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철학적 사고에 이르기 위해 비유는 그 디딤돌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비유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유는 듣는 청중의 발달정도나 관심분야 또는 이해정도에 따라 그것의 사용이 제한 될 수 있다. 더불어 비유는 화자의 의견을 그대로 전달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자기와 다른 관점의 의견을 지닌 대상을 설득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그 설득력이 다소 떨어진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위대한 발명이나 발견을 이루어낸 과학자, 철학자, 그리고 학자들 대부분이 이런 비유의 디딤돌을 거쳐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비유의 도관적 경향성의 극복을 통해 철학적 사고 형성을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비유는 문자로 쓰여진 기호의 문장들이 유아의 삶과 연결고리를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비유적 상황을 잘 찾는 교육방법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상상력이 풍부한 유아, 창의적 유아, 인성적 유아, 지적유아등 교육목적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좋은 교육도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