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세균이 효과적으로 병원력을 발휘하는 데 대상 곤충의 면역저하가 요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곤충의 면역저하가 병원세균의 살충능력에 직접 연관된다는 가설을 세웠다. 곤충병원세균을 5령 누에(Bombyx mori)의 혈강에 접종하였을 때, X. nematophilus는 다른 곤충병원세균인 Staphyiococcus gallinarum 보다 1,200배 높은 병원력을 보였다. 비록, 두 곤충병원세균은 누에의 혈구세포에 대해서 독성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X. nematophiius는 S. gallinarum과 비교해보다 빠르고 높은 세포독성 영향을 보였다. 세포성 면역반응에서 5농도로 세균이 접종되었을 때, 누에는 약 20개 정도의 소낭을 형성하였다. 특히, 살아있는 X. nematophilus가 접종된 누에에서 소낭 형성은 크게 감소하였지만, S. gullinarum은 소낭 형성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두 세균 모두는 prophenoloxidase (proPO)의 활성화를 억제시켰다. 그러나 X. nematophilus.가 S. gallinarum보다 높게 PO 활성화를 억제시켰다. 라이소자임의 활성유도는 S. gallinarum접종 후 4시간에서 관찰되었으나, X. nematophilus를 접종하였을 때는 라이소자임의 활성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누에에서 X. nematophilus가 S. gallinarum보다 더 큰 면역저하를 유발하여 병원성을 높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곤충병원세균에 의해서 유발된 면역저하는 곤충병원세균의 병원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다.
        4,000원
        2.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고냉지 배추재배 지역에서 53개의 이병 뿌리와 22개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배추 생육 초기에 뿌리 썩음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조사하였다. 이병된 뿌리에서 검출된 13개 곰팡이 중에서 Pythium ultimum, Pythium echinocarpum, Rhizoctonia solani의 3종이 자주 검출 되었으며 배추에 병원성이 있었다. 채취한 토양에 본엽 엽기의 배추를 이식하여 발명 유무를 온실에서 조사 하였을 때 토양 표본에 따라 5내지 100%의 식물이 이들 균에 의하여 감염 되었다. 토양내 이들 3종의 균의 밀도를 배추 식물의 감염 빈도에 의하여 조사 하였을 때 차항 2리 지역의 토양에서는 P. ultimum이 우점종 이었고 P. echinocarpum은 용산 2리, 횡계리, 문맥 지역에서 주로 밀도가 높았다. 매봉산 지역의 토양에서는 R. solani 균만이 단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P. ultimum 과 P. echinocarpum이 동시 분포하는 지역에서는 대체로 P. echinocarpum 균의 밀도가 P. ultimum에 비하여 더 높았다. 주요 30품종의 유묘를 가지고 온실에서 품종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6개 품종이 P. ultimum 에 대하여 저항성이었고 3개 품종이 중도 저항성 이었다. P. echinocarpum에 대해서는 저항성 품종이 없고 2개 품종이 중도 저항성 이었으며 R. solani균에 대해서는 모두가 이병성 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