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x waterfront users who are currently being used to select indicators for waterfront development. It can be classified into urban type, inland type and coast typ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waterfront space is located. These waterfront design elements include accessibility, public activity, and waterfront characteristics. Waterfront environment involves selecting the elements for considered and examined these with resepect to the goals of the study.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most waterfronts, it is analyzed that users who are located within 30 minutes' distance of walking are most likely to use it. As shown in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is study, the unsatisfactory satisfaction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was found to be low in Unam pon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waterfront space is also low. In the case of Chunggye Chu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eekdays showed that the office workers, such as the offices located in the surrounding area, were mainly resting places. In the case of Naesungchu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indicators that can help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as a survey on the users during the festival period. In this study, waterfront location, purpose of use,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subdivision are presented as indica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waterfront.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indicators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users.
        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변공간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공간 재생의 의미를 이해해 보고자 한다. 특히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핵심적 인 의도로 가지는 문화도시전략에서 문화예술의 역할을 해항도시의 수변공간개발에서 문화정책 및 그 실현과정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수변공간을 둘러싼 역사적 건축물이나 수변 경관 등 개성적이고 매력 있는 도시경관과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공간 창출을 통한 성공 적인 수변공간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일본 요코하마를 대상으로 살펴본다. 요코하마는 일본의 ‘문화예술창조도시’ 전략의 일환으로 ‘창조도시 요코하마’라는 문화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그 중 공간계획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내셔널 아트 파크 구상’은 문화예술공간 창출을 통해 수변공 간 재생을 실현하고 있다. 이 사업의 기본적 의도와 구체적 실행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해항도시의 수변공간개발에서 문화예술이 가지는 역 할을 이해하고 수변공간 재생에 있어서 문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