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s not primarily about Blake’s influence upon Yeats, though it is concerned about the question of influence and tries to suggest what influence Blake has upon Yeats. Rather, its main concern is about how Yeats wages “Mental Fight” with Blake, his “master,” in order to define himself. Indeed, the figure of Blake stands like a pair of bookends around the literary career of Yeats. But Yeats’s relationship with Blake was a constant warefare between a poetic odd couple. In fact, Yeats’s whole career might be compared to beating on a wall, which Blake managed to pass through like a ghost. According to Yeats, Blake failed to eliminate himself properly from his poems. Because he was “a man without a mask,” he could not efface his own presence from his work. In other words, he could not become an impersonal medium for the voices out of the spiritual world. To outwit Blake and, in effect, to stake out his own spiritual territory, Yeats rejects not only Blake but also, in a sense, that part of himself which he has created in the mythic image of Blake. As the result of it he can subvert Blake. Now for Yeats, a “master” is not someone he emulates. Or he does not embody the way one has hoped to embody the voice of the Immortal Blake; rather, a “master” was his opposite or contrary, someone against whom he struggles to define himself. Even after “The Symbolism of Poetry” Yeats was not prepared to look like Blake, “a man without a mask.”
노래로 만들어진 가사가 매우 뛰어난 시적,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는 사례는 매우 많다고 할 수 있다. 밥 딜런(Bob Dylan)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그런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고, 딜런 만큼 노래의 문학성을 인 정받고 있는 톰 웨이츠(Tom Waits)의 가사 역시 문학적인 성취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 외에도 죠니 미첼(Joni Mitchell), 레오나 드 코헨(Leonard Cohen), 루 리드(Lou Reed)와 같은 가수들은 종종 시인 으로 여겨지며 그들의 노래 역시 훌륭한 시로 평가받기도 한다. T. S. 엘리엇의 많은 작품들은 음악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헬렌 가드너에 의해 엘리엇의 『네 사중주』가 음악적 구성을 갖고 있다 는 사실이 지적된 후로, 많은 연구들은 엘리엇의 작품이 갖고 있는 음악적 요소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반대로 엘리엇의 작품이 음악에 영향을 준 것도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 다. 엘리엇과 대중문화의 관계를 생각해 볼 때, 엘리엇의 몇몇 시들은 1960년대 이후 대중음악에 산발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이 명확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엘리엇의 문학이 현대 대중음악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또 그 문학적 영향이 어떻게 남아 있는지를 1960년대 이후 대중적 으로 널리 알려진 노래의 가사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